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용카드 가맹점수수료에 대한 카드 고객의 지불의사액

        남승오 한국지급결제학회 2018 지급결제학회지 Vol.10 No.2

        Since the credit card activation policy in 1999, it has grown to become a major payment tool in commerce, and as much as the increased market size, so have the card-related issuers, merchants and customers. Especially in Korea, where the ratio of self-employed people to those employed and small business owners among self-employed businesses is high, the rate of credit card merchant account fees, including credit cards, has become a very important policy issue. A total of 11 the rate of merchant account fee adjustments since 2007 are indicative of this situation. The financial authorities was used to adjust the rate of credit card merchant account fees by calculating the eligible costs involved in card payments, and the key to the cost calculation scheduled for 2018 is reducing marketing expenses. They say that they can reduce merchant account fees by reducing the cost of one-time marketing. However, marketing costs are primarily aimed at increasing the size of the card market by increasing the benefits of card customers, thereby increasing the benefits of both merchant and credit card issuers and even card customers. Thus, reducing one-sided marketing costs is likely to reduce the overall benefits of the card market and thus not achieve the targeted policy effect. In this study, we estimate credit card customer's WTP for their benefit from credit card, other than the annual fee, to see if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ard customer are willing to pay for making up the card issuers’reduced income. The results of the study estimated at 1,000 respondents using contingent value methods show an additional WTP of about 3,600 won per household. Currently, the total number of credit cards issued is about 100 million as of 2017, which can be expected to be an additional 36 billion won for credit card companies. Moreover, about 90 percent of respondents said they would pay extra fees other than annual fees for the benefits of using credit cards, which is seen as not wanting to reduce the current benefits from card customers. Therefore, a reduction in the rate of merchant account fees through the ongoing reduction of marketing costs by financial authorities is questionable in its effectiveness. In this study, we further looked at the impact of respondents’ willingness to pay additional costs on credit card benefi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households. We were able to confirm the estimation that the higher the education, higher income, lower the number of credit cards we have and the higher we have, the more likely we are to pay for them. By utilizing this technology, credit card companies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profits through customized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1999년 신용카드 활성화 정책이 추진된 이래로 상거래에서 주요 지불수단으로 성장하였고 증가된 시장규모만큼이나 카드사, 카드가맹점, 카드 고객도 크게 늘었다. 특히 취업자 대비 자영업자의 비율이 높고 자영업자 중에서도 영세한 사업자가 많은 우리나라의 경우 신용카드를 비롯한 카드수수료율이 매우 중요한 정책적 이슈가 되었다. 2007년 이래로 총 11번의 수수료율 조정은 이러한 상황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금융당국은 카드 결제에 수반되는 적격비용을 산정해 수수료율을 조정하는데, 2018년 예정된 원가 산정의 핵심은 마케팅비 축소에 두고 있다. 일회성 마케팅 비용을 줄여 가맹점 카드수수료를 인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마케팅 비용은 주로 카드 고객의 혜택을 증대시켜 카드 시장의 규모를 키워 가맹점과 카드사 그리고 더 나아가 카드 고객 모두의 편익을 늘리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일방적인 마케팅 비용의 축소는 자칫 카드시장 전체의 편익을 줄여 목표한 정책적 효과를 얻을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수료율 인하로 인한 카드사 수익의 감소부분을 카드 고객의 비용으로 일정부분 충당하여 카드시장 참여자의 편익을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카드 고객이 현재 제공받고 있는 신용카드 혜택에 대해 연회비 이외의 추가적 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지 살펴보고 그 금액은 어느 정도 되는지 추정해 보았다. 1,000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연구결과는 가구당 약 3,600원의 추가적 지불의사액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신용카드 총 발급 건수는 2017년 기준 약 1억 장으로 3천 600억 원의 추가적인 카드사 수익을 예상해 볼 수 있다. 또한 응답자의 약 90%가 신용카드 이용을 통해 얻는 혜택에 대해 연회비 이외의 추가적 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다고 한 것은 카드 고객의 입장에서도 현재의 혜택 축소를 바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금융당국의 마케팅 비용 축소를 통한 카드 가맹점수수료율 인하는 그 실효성에서 의문점이 든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응답자 및 가구의 특성에 따른 응답자의 신용카드 혜택에 대한 추가적인 비용의 지불의사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봤다. 고학력, 고소득, 나이가 적은 그리고 보유하고 있는 신용카드의 개수가 많은 사람일수록 더 추가 비용을 지불할 확률이 높다는 추정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활용하여 카드사에서는 맞춤형 상품 개발과 타케팅 전략을 통한 기업의 수익 향상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증권투자자의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지불의사액 추정

        남승오 한국IT서비스학회 2018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17 No.4

        Blockchain can be highly secured by design and efficient for huge data so that man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have been interested in blockchain in nature. The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blockchain have been investigated by numerous studies and projects, however little is coincident regarding estimating about security investors' additional willingness to pay (WTP) and analyzing relationship with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investor for blockchain in the securities industry. This study surveyed on 1,000 heads of the household or homemakers that represents population well and estimated additional WTP using one-and-one-half-bounded (OOHB) dichotomous choice (DC) contingent valuation (CV) method. About 63% of respondents had additional WTP for blockchain. The mean WTP was KRW 48,206.92 and the median WTP was KRW 30,967.76. In addition to, the people who are high-income, highly-educated and having more financial asset were more likely to pay extra for their utility from using blockchain. The aggregated additional WTP was about 13% of the 2017 fiscal net income of the security industry. Consequently using blockchain, the strategic developing of securities targeting high-income, highly educated investors having more financial assets can increase commission income, which in turn can increase the company’s revenues.

      • KCI등재
      • KCI등재

        Bilaterally Simultaneous Medial and Lateral Discoid Menisci

        남승오,김지환,변영수,한인호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2

        Most discoid menisci are lateral and medial discoid meniscus is very rare. Several articles have reported on bilateral lateral discoid menisci as well as bilateral medial discoid menisci, and a few articles have reported simultaneous medial and lateral discoid menisci in the same knee. Only one case of simultaneous medial and lateral discoid menisci, bilaterally, has been reported. We present another case of a male patient with bilaterally simultaneous medial and lateral discoid menisci, diagnosed with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arthroscopy. The patient was treated by arthroscopic partial meniscetomy.

      • KCI등재

        청소년 환자에서 대전자부 삽입 대퇴골 금속정의 제거 실패와 실패의 원인

        남승오,김지환,변영수,김한상 대한골절학회 2015 대한골절학회지 Vol.28 No.1

        전자부 삽입 금속정은 삽입구를 찾기가 쉬워 대퇴골 간부 골절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젊은 환자들은 골절이 치유된후 보통 금속정을 제거하게 된다. 저자들은 대퇴골 간부 골절을 전자부 삽입 금속정으로 치료한 두 청소년에서 골절이 유합된후 1예에서는 금속정의 제거에 실패하였고 1예에서는 금속정을 제거하는 데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금속정을 제거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예에서 교합나사가 삽입되지 않은 근위 및 원위 교합나사 구멍을 통하여 신생 치밀골(compact bone)이 형성되어있었으며, 이는 제거에 실패한 예의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과 일치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교합나사 구멍을 통하여 형성된 신생치밀골이 전자부 삽입 금속정을 제거하는 데 실패한 원인으로 생각된다. 치밀골이 형성된 경우에는 금속정의 제거가 쉽지 않음을시사하는 소견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손목의 원위 교차증후군 - 3례 보고 -

        남승오,신동주,김태은,김성욱,조훈식 대한수부외과학회 2011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6 No.4

        원위 교차증후군은 장 및 단 요 수근 신전 건과 장 무지 신전 건이 교차하는 부위에서생긴 제 2, 3 신전 건 구획의 동시 건초염 또는 건증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교차증후군과는 다른 원위 교차증후군 3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한다. Distal intersection syndrome indicates simultaneous tenosynovitis or tendinosis of the second and third extensor compartment where extensor pollicis longus cross with the tendons of the second extensor compartment. We report three cases of distal intersection syndrome which differ from usual intersection syndrome.

      • KCI등재

        유통산업 블록체인 도입을 위한 소비자 지불의사액 추정

        남승오 한국유통경영학회 2018 유통경영학회지 Vol.21 No.6

        Retail companies are actively considering the adoption of blockchain as a means to secure transparency and increase security in the distribution process with the world's food supply chain becoming more complex, and growing interest and need for safe food and reliable distribution systems. Since blockchain introduced as the concept of a secure block in 1991, it‘s adoption has been actively discussed not only in the financial industry but also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due to its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and building a blockchain platform and it’s using was progressing rapidly by domestic retail companies as well as global retail companies. Measuring consumer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which are consumers' benefits to the adoption of the blockchain, and the resulting additional revenue is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retail companies to make the blockchain investment decision. Thus, this study used the survey's 1,000 person response data to estimate the additional willingness to pay (WTP) for the prices of products. More than 75% of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y were willing to pay additional costs for the adoption of the blockchain and additional WTP was estimated to 7.24 to 7.94% of the commodity price from a conservative perspective. These additional willingness to pay probabilities were found to be higher in annual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levels, and higher in retail shop visits. In addition, the people who are older and single were more likely to pay extra. Based on the median WTP of 7.57%, the monthly revenue growth of large discount stores, department stores, convenience stores, and super supermarkets to the food sector is 101.7, 23.3, 71.8, and 31.5 billion won respectively, and these major retail companies’ annual revenue growth is 228.2 billion won. Thus, if the distribution industry provides benefit to users through one-time investment in blockchain, the distribution industry could achieve a 2.2 percent annual increase in sales in the food sector only. In addition, the efficiency of distribu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st reduction can be seen as side effects. 세계의 식품 공급망이 복잡해지면서 안전한 식품과 신뢰할 수 있는 유통체계에 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유통기업들은 유통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블록체인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블록체인은 1991년 암호화된 안전한 블록의 개념으로 소개된 이후 블록체인에 저장된 정보에 대한 투명성과 신뢰성으로 금융산업은 물론 유통산업에서도 이의 도입에 대해 활발히 논의되고 있고, 현재 글로벌 유통기업은 물론 국내 유통기업들도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과 이의 활용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블록체인의 유통산업 도입에 대한 소비자의 편익인 소비자 만족도와 신뢰도 그리고 이를 통한 추가적인 수익의 측정은 유통기업들의 블록체인 투자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설문을 통한 1,000명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여 기존 상품의 가격에 대한 추가적 지불의사액(WTP, Willingness to pay)을 추정하였다. 응답자의 75% 이상이 블록체인의 유통산업 도입에 대해 추가로 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금액은 보수적 관점에서 상품가격의 7.24~7.94%로 추정되었다. 추가 지불 확률은 연간 가구소득과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유통업체 방문이 많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나이가 많을수록 그리고 미혼인 경우가 기혼에 비해 추가적 지불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WTP 중앙값 7.57%를 적용했을 때, 주요 유통업체에서 식품분야에 한정하여 연간 기대할 수 있는 매출의 증가분은 대형마트, 백화점, 편의점, 기업형슈퍼마켓(SSM)에서 각각 월 1,017억 원, 233억 원, 718억 원, 315억 원으로 총 2,282억 원이며 연간으로 환산하면 약 2조 7,000억 원 정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통산업에서 블록체인 관련 일회성 투자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유익한 효용을 제공한다면 식품 분야로 한정해서 연간 2.2%의 매출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유통정보관리의 효율성과 비용절감 등의 유통업체의 효용은 부수적인 효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의 발행과 사용자 인식 및 수요

        남승오 한국지급결제학회 2020 지급결제학회지 Vol.12 No.1

        The Bank of Korea formulated a review of technical and legal requirements for issuing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CBDC) to counter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financial environment, and is speeding up its review of technology for pilot testing. However, CBDC is a fundamental new monetary system, not a technological advance in existing central bank services, resulting in financial and systemic risks for both regulators and participants in currency, credit and settlement systems. Another problem is tha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BDC have not been verified compared to contemporary currency in the absence of a clear consensus on the nature of CBDC and the type of issue. In addition,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potential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CBDC on existing monetary and credit systems is paramount and essential. The ongoing CBDC-related research in each country is being conducted with proof of concept of technology, functional reviews such as domestic inter-bank payments, securities payments or simultaneous foreign exchange payments, and tests similar to the actual environment. Such research is also conducted under the leadership of central banks of each country, involving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IMF), and few private-sector studies. In addition, the lack of proven research can be understood as a lack of proven research being planned in limited areas such as pilot operation for forecasting demand and technical review by users or consumers.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premium that users will pay in addition to the CBDC they own to cash in CBDC. If these estimates are deducted from the cash amount, they will become the value of the CBDC that customers feel, which will look at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bank’s CBDC research and promotion strategy and the potential for future adoption. Studies estimated using conditional valuation techniques across the country for 1,000 respondents showed that a premium of 1.07% per household (the lowest value of the median from the lowest amount of 95% confidence level) must be paid to exchange for cash currently used. The balance of the M1 in the 2019 consultation is 876.9 trillion won, and 1.07 percent of the total is 9.38 trillion won. CBDC is recognized as a replacement for existing currencies and as a complementary good. Financial transactions that correspond to users’ important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centralized ledger, where information on all financial transactions was stored in distributed ledger, can be concentrated in financial regulators, and if anonymity is guaranteed for a certain amount or less in a way that complements them, financial crimes such as money laundering and tax evasion using them will occur. We also need to take measures to solve two problems: concentration of information and acceptance of financial crimes. In addition, respondents and households added characteristic variables to examine their impact on premium willingness to pay, which is an additional cost in exchanging cash for CBDC. Estimated results showed that people with higher education, higher income, and more frequent use of gift certificates were more likely to pay a premium and exchange it. 한국은행은 국제 금융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의 발행을 위한 기술적, 법률적 필요사항의 검토를 공식화했고, 파일럿 테스트를 위한 속도를 내고 있다. 그러나 CBDC는 기존 중앙은행 서비스의 기술적 발전이 아니라 근본적인 새로운 통화체계라는 데에서 통화, 신용, 결제시스템의 규제자 또는 참여자 모두에게 금융 및 시스템적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CBDC의 특성과 발행형태에 대한 명확한 일치된 견해가 없는 상황에서 기존의 통화에 비해 CBDC의 장단점이 검증되지 않은 것도 또 다른 문제점이다. 추가적으로 CBDC의 도입이 기존의 통화 및 신용시스템에 어떤 잠재적 영향이 있는가를 확인하는 과정이 가장 중요하고 필수적이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각국의 CBDC 관련 연구는 기술에 대한 개념검증, 국내 은행 간 결제, 증권대금 또는 외환 동시결제와 같은 기능적 검토, 그리고 실제 환경과 유사한 테스트 등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각국 중앙은행 주도하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제통화기구(IMF)와 같은 국제기구 등이 참여하는 정도라 민간에서 이루어지는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그리고 사용자 또는 소비자의 수요 예측 및 기술적 검토 등을 위한 시범운영 등이 한정된 지역 등에서 계획되고 있는 것도 검증된 연구의 부족 현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CBDC를 현금으로 교환하기 위해 그들이 소유하고 있는 CBDC에 추가적으로 지불할 프리미엄을 추정하였다. 이러한 추정치를 현금 금액에서 차감해주면 그 값은 고객이 느끼는 CBDC의 가치가 되고, 이 가치를 통해 중앙은행의 CBDC 연구 및 추진 전략에 대한 방향과 향후 도입 가능성에 대해 살펴봤다. 전국에서 1,000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하여 추정한 연구결과는 가구당 보수적 관점(가장 낮은 금액인 95% 신뢰수준에서 중앙값의 하한값)에서 1.07% 정도의 프리미엄을 지급해야 현재 사용하는 현금과 교환될 수 있다고 나타났다. 2019년 협의의 통화량 M1의 평잔은 876.9조 원이고 이의 1.07%는 9.38조 원에 이른다. 이는 또 다른 비용으로 인식해야 한다. 추가로 응답자 및 가구의 특성변수를 추가하여 응답자의 CBDC에 대한 현금과의 교환에 있어 추가적인 비용인 프리미엄의 지불의사에 대한 영향력을 살펴봤다. 고학력, 고소득, 그리고 상품권 사용횟수가 많은 사람일수록 더 프리미엄을 지불하고 교환할 확률이 높다는 추정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CBDC는 기존의 화폐에 대한 대체재, 보완재의 역할로 인식되고 있다. 모든 금융거래의 정보가 분산원장에 저장되던 중앙집중된 원장에 저장되던 사용자의 중요한 개인정보에 해당되는 금융거래가 금융감독 기관에 집중될 수 있고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일정 금액 이하에 대해 익명성을 보장하면 이를 이용한 자금세탁, 탈세 등의 금융범죄가 발생할 것이다. 정보의 집중과 금융범죄의 허용이라는 두 가지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도 필요하다 판단된다.

      • 한국의 자금세탁방지 분석모형에 관한 연구 : 혐의거래보고서를 중심으로

        남승오 순천향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순천향 사회과학연구 Vol.13 No.2

        In this study, Korean anti-money laundering (AML) analysis model is built, especially about suspicious transaction report (STR). Using the variables from historical STRs and the weights from survey are used to build model with data mining and statistical analytical tools, this model measures the suspicious scores about the STRs which was consisted of two types, Personal and transactional, and adds the scores from foreign transaction data and relational institutions data. These aggregated scores represent the degree of suspiciousness about a STR and are used to extract Must-Analyze-STRs.

      • 영문명과 한글명의 데이터 정제 과정에 관한 연구

        남승오 순천향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순천향 사회과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금융 거래의 특성상 대용량 자료에서 발생되는 데이터 품질 의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거래 주체 정보인 한글 및 영문 성명에 대한 데이터 정제 과정에 대한 다음과 같은 정제 규칙을 제시 하였다. 첫째, 데이터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존칭에 대한 부분을 제거하였 다. 둘째, 영문이름과 한글이름을 모두 한글 풀어쓰기 형태로 변환시켜 이름을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언어에 무관하게 동일인을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변 환하였다. 기본적으로 이름은 “음운(音韻) 대 음운(character-by-character)” 변환 방식을 사용하여 풀어쓰기 형태로 변환하였다. 셋째, 한글 이름이 영문 이름으로 표현되어 있는 경우 성과 이름의 순서를 변환시켜서 성과 이름의 순 서에 상관없이 동일인임을 인식하도록 하였다. 이름 중 성을 나타내는 부분을 찾아내기 위해 성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그 내용을 활용하여 “음절 (音節) 대 음절(word-by-word)” 방식으로 변환하였다. 영문이름과 한글이름 은 성과 이름의 순서에 차이가 있으므로, 만약 영문이름의 뒷부분에 성으로 사용되는 문자열이 존재한다면 이를 앞으로 위치변환을 시킨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인 인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름에 특수문자 및 괄호 안의 문자 등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제거하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