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출판정책의 기본방향 정립을 위한 고찰

        석순(Nam Seok-Soon) 한국출판학회 2007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53

        이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서 한국 출판정책 기본방향의 재정립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출판정책과정에서 기본방향은 정책의 전반을 아우르는 좌표의 역할을 수행한다. 기본방향의 논의를 위해서 출판정책의 법률적, 이론적 배경의 탐색을 바탕으로 출판정책의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법률적 배경과 이론적 배경의 검토를 통한 출판정책의 기본방향은 〈국민의 지식문화복지의 향상〉을 구현하는데 두어야 한다고 명확하게 말할 수 있다. 이러한 바탕위에서 〈국가경쟁력 제고〉보다는 〈국민의 지식문화복지의 향상〉을 우선 가치로 설정하고 이에 맞는 정책의 심도있는 개발이 요구된다. 국민은 개인과 집단으로 구성되며 이들의 지식문화복지 충족과 개발이 이루어져야 국가의 지식문화의 경쟁력이 확보되며 이를 통하여 출판지식산업도 융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출판지식산업의 기반시스템을 공고히 하고 성장동력 개발에 집중해야 한다. 기반시스템은 출판휴먼웨어, 출판하드웨어, 출판소프트웨어로 구별되며, 성장동력은 출판지원동력, 출판생산동력, 출판유통동력, 출판소비동력이 유기적으로 개발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출판정책의 관점이 출판지식산업 자체만을 분절시켜 보지 말고 문화산업의 전반의 관점에서 보아야 하며, 글로벌 출판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reestablish the basic directions of publishing policies in Korea. In executing publishing policies, the basic directions play the role of coordinates directing the general trend of the policies. In order to discuss the basic directions, we explored the legal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publishing policies and suggested new basic directions of publishing policies. First, the basic direction of publishing policies should be set in 〈the enhancement of people’s welfare of knowledge and culture〉. Based on the direction,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e enhancement of people’s welfare of knowledge and culture〉 rather than 〈the enhanc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corresponding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in-depth research. Second, competitiveness in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begins with satisfying individuals’ and groups’ desire for the welfare of knowledge and culture. People are composed of individuals and groups,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in knowledge and culture can be attained through satisfying their desire for the welfare of knowledge and culture, and through this,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can prosper. Third, the base systems and elements of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should be solidified. The base systems are substructure for the prosperity of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and they can be divided into publishing humanware, publishing hardware, and publishing software, and they can be divided again into driving force for publishing support, driving force for publishing production, driving force for publishing distribution, driving force for publishing consumption. Fourth, for the revival of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efforts should be concentrated on developing driving force for growth. Driving force for the revival of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should be found in the structure of 〈support ? production ? distribution ? consumption〉. It is because the base and growth of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come from solid support system, producers’ competitiveness, healthy distribution system, and active consumption. Fifth, competitiveness in global publication should be attained. Publishing policies should not view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separately but see it as a part of the cultural industry, and need new approaching strategies to secure competitiveness particularly in East Asia by region and in the IT industry by area.

      • KCI등재

        소아암 아동청소년의 학교복귀 및 적응 어려움, 기존 서비스의 한계와 대안

        남석인(Seok In Nam),최권호(Kwon Ho Choi)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3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암 아동청소년의 학교복귀 및 적응 어려움을 파악하고 기존 서비스의 한계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만 18세 이상의 소아암 생존자 6명과 병원에서 소아암 환자와 가족에게 심리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강전문가 6명이며, 이들 두 집단을 대상으로 초점집단토론(focus group discussion)을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근거이론에 기반하여 분석한 결과, 학교복귀 및 적응 어려움(소아암으로 인한 차별경험, 부모의 과보호, 준비 가 부족한 학교), 기존 서비스의 한계(건강장애 제도와 서비스의 한계, 병원 내 사회복지 전문 인력의 부족, 자원의 부족), 서비스 지원방안(소아암 당사자의 역량을 강화시키기, 멘토링 프로그램, 가족역량강화 서비스, 교사의 이해증진 프로그램, 사회적 인식의 개선, 병원과 학교의 연계 서비스)으로 3개의 주제와 12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소아암 당사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고 변화된 모습을 수용할 수 있도록 심리적 지지와 멘토링 프로그램, 가족역량 강화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교환경 변화를 위한 단계적 지원과 사회적 인식 전환노력, 건강장애 제도의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chool reentry and adjustment difficulties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and to make suggestions to improve services for them. A focus group discussion was conducted on two groups, one group of 6 childhood cancer survivors aged over 18 and the other group of 6 health professionals providing psycho-social services for childhood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rough an analysis drawing upon grounded theor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school reentry and adjustment difficulties (discrimination against childhood cancer survivors, overprotection from parents, and unprepared school),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ervices (lack of health impairment system and services, a shortage of professional social workers and resources), plan for supporting services (empowerment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mentoring program, family empowerment services, promoting understanding of teachers, improvement of social awareness about childhood cancer, and affiliation between hospital and school for services) were came up in 3 themes and 12 sub-categorie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the need for psychological support, mentoring program, and family empowerment services so tha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is respected and their changed image can be acknowledged. And a stepwise support for the alteration of school environment, improving social awareness of childhood cancer, and reformation of health impairment system are discussed.

      • KCI등재

        왜 여전히 나는 소외되고 있는가?

        남석인(Seok In Nam),한상윤(Sangyoon Han),김태현(Tae Hyun Kim),박유빈(Yu Bin Park) 한국노년학회 2022 한국노년학 Vol.42 No.3

        본 연구는 노인의 디지털 기술 사용 경험 전반을 심도 있게 살펴보는 동시에 노인 집단 내 디지털 격차에 주목하였다. 특히, 노인을 동일 범주로 압축하여 보는 데서 간과하는 집단 내 이질성과 노인 집단 안에서도 소외된 노인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기 위해당사자인 노인이 겪은 장기간의 현상과 경험을 분석할 수 있는 근거이론을 기반으로 접근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65세 이상의 디지털기기 활용 경험이 있는 노인 12명이 심층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54개의 개념과 26개의 하위범주 및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중심현상은‘디지털 세상 속 미로(迷路)에 서다’이며, ‘안 도와주거나 못 도와주거나’,‘정작 학습자인 노인이 사라진 교육’,‘용기가 부족한걸까 경험이 부족할 걸까’라는 인과적 조건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맥락적 조건은 ‘노인이 마주친 디지털 환경’과‘연령차별의늪에 빠지다’이며, 중재적 조건은‘일상을 담은 교육의 친근함’과‘마음 편히 요청할 수 있는 비공식적 도움’으로 나타났다. 이에 영향을받는 전략으로는‘두렵지만 맞서기’,‘도움 기다리기’,‘회피할수록 느끼는 소외감과 무력감’으로, 이로 인해‘디지털 세상 속에서 행복을찾는 나’,‘경계에 멈춰 불안해하는 나’그리고 ‘디지털 속도를 놓치고 멈춰있는 나’의 3가지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전반이 겪고 있는 어려움들, 그리고 그 안에 개별화된 특성과 욕구들에 대한 이해를 통해 노인 집단 내 디지털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시니어 디지털 플라자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 세대를 아우르는 디지털 포용 사회를 위한 정책 및 실천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verse experience of the use of digital technologies for older adults, while also paying attention to the digital gap within the older adult group. In particular,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the long-term phenomenon and experience of older adults were analyzed. During the analysis, we developed a discussion on intra-group heterogeneity that could be overlooked in treating older adults as a group.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older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had experience using digital devices. As a result of the study, 54 concepts, 26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were found. The core phenomenon of ‘standing in the maze of the digital world’ was discovered, and the surrounding causal conditions, contextual conditions, intervention conditions, behavior/interaction strategies, and outcomes were presented as a paradigm model. This study provides guidelines for digital inclusion policies and interventions, including building a senior digital plaza that takes into account the heterogeneity of the older population and reflects the needs, desires, and limitations of each group.

      • KCI등재

        노인-자녀 간 정서적 지원 교환양상이재혼인식에 미치는 영향 -자녀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남석인 ( Seok In Nam ),이은진 ( Eun Jin Lee ),김보미 ( Bo Mi Kim ),이은경 ( Eun Kyeong Lee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가족복지학 Vol.51 No.-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자녀 간 정서적 지원 교환양상이 재혼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녀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전국표본을 대상으로 하는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원자료이며,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와 사별 또는 이혼한 65세 이상 노인 3,638명을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SPSS 21.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 상관 분석 실시 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자녀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녀에게 제공하는 정서적 지원이 자녀에게 지원받는 정서적 지원보다 큰 경우에는 자녀관계만족도가 낮고 재혼인식은 높으며, 반대로 자녀에게 제공하는 정서적 지원이 자녀에게 지원받는 정서적 지원보다 적은 경우에는 자녀관계만족도가 높고 재혼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노인-자녀 간 정서적 지원 교환양상에 따른 자녀관계만족도가 노인의 재혼인식을 완전매개함을 확인하였고, 신체적·정서적으로 특히 취약한 홀로된 노인을 위한 가족적·사회적 측면의 개입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rgenerational exchange patterns and attitude of remarriage among the single elderly. The data of the study were drawn from the 2014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for the Elderly compli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the Health and Welfare. The survey was targeted to Korean elderly whose age is over 65, and this study analysed 3,638 people of the data who live alone after divorce or bereavement. As research methods,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e analysis,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SPSS 21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dditionally, bootstrapping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findings are follows: the elderly who provides more emotional support to their children rather than receives from their children shows high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low remarried recognition. On the other hand, the elderly who provides less emotional support to their children rather than receives from them shows low 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high remarried recognition in the emotional intergenerational exchange. Based on the results, we found tha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has the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emotional intergenerational exchange patterns and the attitude of remarriage among the elderly. And this study sugges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single elderly.

      • 유동층 반응기에서 카본블랙 촉매를 이용한 프로판의 촉매 분해에 의한 수소생산 연구

        우석(Nam, Woo-Seok),정재욱(Jung, Jae-Uk),윤기준(Yoon, Ki-June),이동현(Lee, Dong-Hyun),한귀영(Han, Gui-Young)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6 No.11

        A fluidized bed reactor made of quartz with 0.055m I.D. and 1.0m in height was employed for the thermocatalytic decomposition of propane to produce CO₂-free hydrogen. The fluidized bed was proposed for the continuous withdraw of product carbons from the reactor The propane decomposition rate used carbon black DCC-N330, Hi-900L as a catalyst. The propane decomposition reaction was carried out at the temperature range of 600-800?C, propane gas velocity of 1.0U_{mf} and the operating pressure of 1.0 atm. Effect of operating parameters such as reaction temperature on the reaction rates was investigated. Resulting production in our experiment were not only hydrogen but also several by products such as methane, ethylene, ethane, and propyle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