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구마 생장점 배양 유래 바이러스 무병 유식물체 증식을 위한 액체배양 효과

        남상식,정미남,이준설,이형운,양정욱,황엄지,이경보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6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8 No.2

        The most common method of vegetative propagation of virus free plantlets is the use of shoots meristem culture in solid medium cultur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liquid medium culture for the growth of virus-free sweetpotato plantlets. Single-nodes derived from meristem culture of sweetpotato was examined in this experiment and three sweetpotato varieties ‘Singeonmi’, ‘Sinhwangmi’, and ‘Sinjami’ was used. The growth of plnatlets was greater in liquid medium culture than that of solid medium culture after longer incubation in 3 varieties. The total fresh weight of 5 week old plantlets after planting in solid culture were 2.17 g (‘Singeonmi’), 2.49 g (‘Sinhwangmi’), and 2.18 g (‘Sinjami’), but the fresh weight in liquid medium culture was 3.87, 3.88, and 3.35 g, respectively. Leaf number of ‘Singeonmi’ and ‘Sinjami’ plantlets after 5 weeks of liquid medium culture was 21.1 and 22.6, respectively and liquid medium culture showed 3 and 6.2 more leaf number than that of solid medium culture. Plant height of ‘Sinhwangmi’ and ‘Sinjami’ plantlets after 3 weeks of liquid medium culture was 4.1 cm and 3.4 cm, respectively, and liquid medium culture showed 1.1 cm longer stem length than solid medium. Overall, liquid medium culture of sweetpotato plantlets was more effective than solid medium in terms of leaf and stem growth.

      • KCI등재

        사샤 발츠 작품에서의 공간활용 분석

        남상식,강애란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3

        This study is about the use of space by Sasha Balz, and aims to find the use of it as an exhibition space and theatricality through her work.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existing Balz's space and the video, the analysis was centered on the work, and it was studied by focusing on finding out the meaning of the exhibition space by examining the use of'dancer's movement for space'. In analyzing Balz's space use, it was based on Michel de Serto's practical space, and proceeded with a research method to obtain the possibility of theatricality of the exhibition space through critics' criticism. The reason why the researcher was based on Michel de Serto's practical space, “by dividing place and space, space is the result of the place being changed by the movement of something practical and the place becomes a space with intention and direction” (Jang Se Ryong, 2003) because the argument is sim- ilar to Balt's idea. Based on this, the intention and direction of Balts in <Dialogue99>, the first of two analysis works, made one museum to survive itself, and the viewers met the intention and direction of Baltz in reality to the past. Creates a space that reminds you of your experiences. The second analysis work, Flesh, shows the dancers on the stage exhibiting their bodies, priced like meat placed in a butcher shop, to the audience. Their body is flesh as an object, and the performance here is the exhibition per- formance of the body. Through these exhibition acts, unusual dramatic and useless acts, the dance makes the act of exhibition and shows the audience another view that can be spoken by the human body. At this time, the place called the theater in the big sense and the place called the stage in the small sense are transformed into spaces by Balz. It can be seen that the stage no longer stays in the midday place, and the space is the sculpture that composes the stage and becomes the prop needed for the work, and it is also a dramatic, exhibition place, and expression object at the same tim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 dancer's movement exists for the space, resulting in an exhibition-like theatrica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to clarify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Baltic dance theatre, the ex- hibition behavior of body and space, is to expand the possibility of post-drama play to give up liter- ary character and pursue new theatricality. It is expected that its value will be exerted by appropriate use in connection with meaning. 이 연구는 사샤 발츠의 공간 사용에 대한 이야기로서 그녀의 작품에서 나타난 전시적 공간으로의 활용을 분 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기존 발츠의 공간에 대한 선행연구, 영상을 바탕으로 작품 중심의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공간을 위한 무용수의 움직임’사용을 살펴봄으로써 전시적 공간으로의 의미를 알아내는데 집중하여 연구하였다. 발츠의 공간 사용을 분석 해 내는데 있어서 미셸 드 세르토의 실천적인 공간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평론가들의 비평을 통해 전시적 공간의 방법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방법으로 진행 해 나갔다. 연구자가 미셀 드 세르 토의 실천적 공간을 기반으로 한 이유는, “장소와 공간을 구분하여 공간은 장소가 실천적인 무언가의 움직임에 의 해 바뀐 결과물이며 장소는 의도와 방향성을 가지고 공간이 된다”(장세룡, 2003)는 주장이 발츠의 생각과 흡사하 기 때문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두 개의 분석 작품 중 첫 번째, <Dialogue99>에서 발츠가 보여주는 의도와 방향 성은, 하나의 박물관을 현실 그 자체로 살아나게 만들었으며, 관람객이 현실에서 발츠의 의도와 방향성을 만나 과 거로의 경험을 상기시키는 공간을 만들어 낸다. 두 번째 분석 작품 <육체>에서는 무대 위 무용수들이 정육점에 놓인 고기처럼 가격표가 매겨진 자신의 몸뚱이를 관객들에게 전시하는 행동을 보여준다. 그들의 몸은 오브제로서 의 살덩이이며 여기에서 공연은 몸의 전시 퍼포먼스이다. 발츠는 이런 전시적 행동, 전형적이지 않은 극적, 무용 적 행동들을 통해 춤을 전시의 행동으로 만들고 인간의 몸으로 말할 수 있는 또 다른 전경을 관객에게 보여주고 있다. 이때 큰 의미에서 극장이라는 장소와 작은 의미에서 무대라는 장소는 발츠에 의해 공간으로 변모해간다. 무 대는 더 이상 한낮 장소에서 머무르지 않으며, 공간은 무대를 구성하는 조형물이고 작품에서 필요로 하는 소품이 되기도 하며 극적, 전시적 장소이자 동시에 표현 대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점은 무용수의 움직 임이 그 공간을 위해 존재된다는 것, 그에 따라 전시적인 연극성 역시 띠게 된다는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발츠 춤연극의 특징, 몸과 공간의 전시행동이 문학성을 포기하고 새로운 연극성을 추구하 는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가능성을 확대하는 작업임을 밝히는데 의의를 두며, 현대 공연예술에서 사용되는 공 간의 의미와 연관 지어 적절히 활용해 나감으로써 그 가치가 발휘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인간과 예술체 : 아방가르드 연극 운농과 새로운 연기의 방식 표현주의에서 바우하우스까지

        남상식 한국연극교육학회 2000 연극교육연구 Vol.5 No.-

        Die vorliegende Arbeit hat sich zum Ziel gesetzt, die Revolution in der modrnen ‘Schauspiel’-Praxis und -Theorie (ja Schauspiel im wo¨rtlichem Sinne) wie sie sich zwischen Expressionismus und konstruktivistischen Experimenten am Bauhaus ereignete, anhand von Spieldokumenten bzw. Originaltexten zu analysieren. Die in den ersten drei Jahrzehnten des 20. Jahrhunderts besonders durch die Beteiligung der bildenden Ku¨nstler an der Bu¨hnenarbeit unternommennen Versuche zum entindividualisierten Theater bescha¨ftigten sich bei aller Vielfalt im wesentlichen mit dem Thema des menschlichen Ko¨rpers und der Erfindung der Kunstfigur. Sie konzentrieren sich dabei auf zwei Punkte: die Forderung, den menschlichen Ko¨rper wieder als Urelemente des Theaters zu empfinden und die Erforschung neuer Gestaltungsmo¨glichkeiten des Ko¨rpers auf der Bu¨hne. Die eher naturwissenschaftlich orientierte Erforschung des antirealistisch agierenden Ko¨rpers brachte die Ku¨nstler zur Auffindung von seinen Gesetzma¨βigkeiten, die in den Bewegungen und deren Gestaltungsmo¨glichkeiten begru¨ndet liegen und aus denen sich absolute szenische Formmo¨glichkeiten ergeben. Der Ausgangspunkt der vorliegenden Arbeit ist, daβ das moderne Theater das jenige Theater war, das selbst den Begriff des menschlichen “Ko¨rpers” als eine eigene Wirklichkeit des “Schau-Spiels” zum zentralen Punkt der theatera¨sthetischen Diskussion machte. Diese Arbeit hat den Zusammenhang untersucht, wie die theoretische und praktische Erforschung des menschlichen Ko¨rpers im Bereich des Theaters der klassischen Avantgarde vorgenommen wurde, wobei sie an einigen Beispielen (Expressionistischen Regietheatern, Schreyer, Schlemmer) die Bedeutungen einer fu¨r das Bauhaus typischen Kunstidee darstellt und erla¨utert und neue Begriffe des menschlichen Darstellens herzustellen versucht.

      • KCI등재

        바이러스 무병묘 정식시기 및 재배기간이 씨고구마 수량에 미치는 영향

        남상식,유경단,이형운,고산,이승용,이경보,강용구,양정욱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9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31 No.3

        Sweet potato is a vegetative propagation crop, and if the same seed sweet potato cultivates for the long term, the yield and quality of sweet potato decrease due to intensified virus infection. Recently, the demand for virus-free sweet potato seedlings has been increasing to the farmers, but the production and supply of virus-free seedlings are insufficient in Korea.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yield of virus-free seed sweet potato in different planting time and cultivation period. Proliferated seedlings derived from meristem culture was examined in this experiment. For planting time 4 varieties (‘Shinyulmi’, ‘Jinhongmi’, ‘Pungwonmi’, ‘Hogammi’) and for cultivation period 3 varieties (‘Shinyulmi’, ‘Pungwonmi’, ‘Hogammi’) were used. Plants were planted in late May, mid-June, and early July in 2015 and 2016. The cultivation period was analyzed when harvested at 110, 120, and 130 days after planting in mid-May in 2017 and 2018. Virus infection rates were determined by RT-PCR using pre-harvest leaves. The yield of 100~300 g tuber size suitable for seed sweet potato was increased in all four varieties cultivated in June. Although late planting in early July, produced 1,799~2,043 kg 10a-1 except 1,390 kg 10a-1 of ‘Dahomi’. ‘Pungwonmi’ and ‘Hogammi’ cultivar showed a higher yield of seed sweet potato in the longer cultivation period. The infection rate of SPLCV on ‘Dahomi’ was 13.3% in May and 6.7% on ‘Pungwonmi’ in June 2016. ‘Jinhongmi’ and ‘Dahomi’ infected with SPFMV was 6.7% and 13.3% in May and ‘Shinyulmi’ was 6.7% in June 2016. In the future, we hope to cultivate seed sweet potato produced by virus-free seedling cultivation year by year and investigate the yield and virus infection level to set up the seed sweet potato renewal cycle. 남부지역에서 고구마 바이러스 무병묘의 정식시기 및 재배기간에 따른 괴근 수량 및 씨고구마 생산량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바이러스 무병묘 정식시기에 따라 씨고구마로 사용하기에 알맞은 100~300 g 크기의 괴근 생산량은 6월 중순 정식재배에서 ‘신율미’ 2,364 kg/10a, ‘풍원미’ 2,625 kg/10a 수준이었다. 2. 바이러스 무병묘를 7월 상순에 정식하여 재배하여도 씨고구마로 사용하기에 알맞은 100~300 g 크기의 괴근 수량은‘신율미’ 2,043, ‘진홍미’ 1,799, ‘다호미’ 1,390, ‘풍원미’ 1,985 kg/10a 정도가 생산되었다. 3. 고구마 바이러스 무병묘 정식 후 110일, 120일, 그리고 130 일 재배 시 씨고구마 수량은 ‘풍원미’ 1,605, 1,907, 1,834 kg/ 10a, ‘호감미’ 1,816, 1,771, 2,137 kg/10a 수준으로 생산되었다. 4. 수확 전 채취한 고구마 잎에서 SPLCV, SPFMV, SPVG, SPLV 등 4종 바이러스 이병 정도를 검정한 결과 정식시기, 재배기간 등 품종에 따라 약간 차이는 있으나 낮게 검출되어다음해 씨고구마 종자로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였다. 5. 바이러스 무병묘 대량 증식에는 시설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고 증식량이 적어 면적 확대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무병씨고구마를 생산하면 면적 확대에 유리하다. 무병묘가 소량일 경우는 계속 증식하면서 7월 상순까지 본밭에 정식하여도씨고구마 생산이 가능하였다. 금후에는 무병묘로 생산한 연차간 씨고구마에 대해 품종별 수량과 품질 평가 후 씨고구마의적정 갱신 주기를 설정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