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규합총서(閨閤叢書)』를 통해 본 조선후기 사족 여성의 길쌈

        남미혜 동양고전학회 2022 東洋古典硏究 Vol.- No.89

        본 논문은 빙허각 이씨의 『규합총서』를 통해 조선후기 사족 여성의 길쌈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여성들은 부덕으로 길쌈을 강요받았으며 대부분의 여성들은 평생토록 길쌈을 업으로 삼았다. 조선시대 여성들은 많은 일을 수행했지만, 자신의 손으로 기록을 남기지 않았으므로 여성의 길쌈 노동에 대한 자세한 부분은 알려져 있지 않다. 조선시대 사족 여성들은 부덕을 실천하는 의미에서 길쌈을 수행하였다. 사족 여성들이 관심을 가지고 참여했던 길쌈은 무명과 양잠이었으며 사족 여성들이 직접 직조에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았다. 빙허각은 조선후기 대표적인 사족 여성이었지만 직접 길쌈을 수행하였다. 빙허각은 길쌈에 대한 지식이 매우 풍부하였는데 그 중 특히 사족 여성에게 중요한 의복 재료였던 양잠에 대한 지식이 풍부하였다. 『규합총서』 봉임측에서 가장 비중 있고 자세하게 기록된 부분이 바로 양잠이었다. 빙허각은 직접 양잠을 수행하면서 양잠 과정에서 주의할 일과 자신이 시험해서 효과가 있었던 경험담을 『규합총서』에 반영하였다. 봉임측 항목에서 소개된 풀솜 늘이는 방법은 현재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방법으로 『규합총서』에서만 그 내용이 보인다. 빙허각은 사족 여성으로서 길쌈을 직접 수행하고, 그 경험을 지식화하여 저술한 조선 최초의 여성이다. 『규합총서』의 편찬으로 인해 그동안 구전으로만 전수되던 여성의 길쌈 기술이 체계적으로 전수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Gilssam labor of noble women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based on Gyuhap-Chongseo by BingHurGak Lee. In Joseon, women were forced to do Gilssam labor as a woman's virtue, and most women did the labor throughout their lives. In Joseon, women performed a lot of jobs but did not leave records themselves, which is why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he details of their Gilssam labor. Noble women in Joseon did Gilssam to practice their virtue as women. They participated in such Gilssam works as cotton and sericulture with interest. They did not weave for themselves in many cases. BingHurGak was a representative noble women, but she practiced weaving herself. In Joseon, the Gilssam techniques were transmitted orally with no concerned books published. BingHurGak did sericulture herself and reflected on her experiences and knowledge of Gyuhap-Chongseo. She was Joseon's first woman that performed Gilssam herself as a noble lady and turned her experiences into knowledge. The publication of her Gyuhap-Chongseo established a foundation for the systematic transmission of women's Gilssam techniques that used to be handed down only orally.

      • KCI등재

        조선후기 사대부가 여성의 治産과 경제활동 ― 길쌈을 중심으로

        남미혜 동양고전학회 2016 東洋古典硏究 Vol.0 No.64

        조선시대에는 남성에게는 농업을, 여성에게는 길쌈 즉 직조업을 적극 권장하였다. 조선전기 사대부가 여성들에게 婦德으로 적극 권장된 길쌈은 양잠업이었다. 사대부가 여성들에게 양잠업이 권장된 이유는 사대부의 의복재료가 명주였다는 점과 아울러 양잠이 다른 직물보다 노동과정 및 방적과정이 비교적 수월하다는 데 있었다. 그러므로 조선시대 사대부가 여성들이 직접 방적⋅방직과정에 참여했던 길쌈은 명주길쌈이었다. 조선전기 여성의 부덕으로 권장되었던 길쌈은 조선후기 사회경제적 변화와 場市의 활성화에 힘입어 부를 창출할 수 있는 주요 산업으로 성장하였다. 조선후기에는 화폐경제의 발달과 함께 서민의 경제력과 의식이 성장하면서 조선 사회를 지탱해 왔던 신분제가 동요하였다. 경제력의 상승에 따라 신분간의 이동 현상이 활발해지면서 여성들의 생산노동, 治産능력을 높게 평가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었다. 조선전기에 婦德으로 권장되었던 길쌈은 부덕의 영역에서 벗어나 치산이 가능한 경제활동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조선후기 사대부가 여성들은 직접 방적⋅방직에 참여하였으며 길쌈을 통해 가정경제를 이끌어가거나 부를 축적한 여성도 나타났다. 조선후기 여성들의 적극적인 길쌈 참여에 따라 길쌈기술의 점진적인 발전이 가능하였으며, 직물의 명산지가 형성되었다. In the Joseon dynasty, agriculture was recommended for men, and as well as weaving was recommended for women. As womanly virtues, weaving, especially silkworm farming was highly recommended for women of the gentr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reasons for silkworm farming recommended, were that clothing material was basically silk, and also labor process of silkworm farming and spinning process were relatively much easier than those of other fabric making. Therefore, women of the gentry in the Joseon dynasty had become used to directly participate in the spinning and textile manufacturing process of silk weaving. As womanly virtues, the weaving which was recommended for wome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as growing into a major industry that could create wealth, owing to the socio-economic change and the activation of rural market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economic growth and social consciousness of ordinary people was greatly grown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onetary economy, and thereby it made the caste system supporting the Joseon society significantly shaken. With the rise of economic power, a phenomena of moving social status among people was actively occurred, and also a social atmosphere highly evaluating women's management of household economy and socio-economic activities was created. The weaving recommended for wome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egan to be recognized as economic activities of creating a wealth beyond the simple womanly virtues. Many women of the gent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directly and actively involved in the spinning and weaving, and several women appeared, who were leading the household economy or making a fortune through the weaving. Based on the active participation of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had been possible to make a gradual progress of the weaving technology and form several famous areas for the fabric.

      • KCI등재후보

        베트남 북부 하노이 소재 대학 한국학교육의 현황과 과제 : 국립하노이 인문사회대·외국어대, 하노이대학을 중심으로

        남미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0 한국문화연구 Vol.19 No.-

        본고는 베트남 북부 하노이 소재 대학 한국어학과의 한국학 교육 현황을 점검하고 발전 방안 및 과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1992년 12월 한국과 베트남 두 나라의 국교가 정상화된 이후 해가 갈수록 양국관계는 점점 더 긴밀해지고 있다. 더욱이 베트남에 한국기업이 많이 진출함에 따라 한국어와 한국학에 대한 수요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하노이 소재 대학에 한국어학과가 설치된 시기는 1993년으로 한국학 보급의 역사가 17년이 되었다. 그동안의 한국학 보급은 한국어교육에 중점을 두어서 한국어 관련 교과목의 개발이나 교재 개발 등에 있어서 일정한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한국어교육에 치중한 나머지 문화·역사·문학 등과 같은 한국학교육은 거의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 한국과 한국인, 한국문화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언어뿐만 아니라 역사·문화·문학·사상 등과 같은 한국학교육이 필요하다. 한국어교육이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른 하노이 소재 대학 한국어학과에서는 지금부터라도 한국학교육을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베트남에 한국학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정부 각 기관에서도 한국학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한국학교육을 전담할 수 있는 교원 양성 및 교재 개발, 교과목 개발 등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is report is intended for present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further development for the Korean studies education by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the Hanoi universities in Vietnam. Ever since the diplomatic relations formalized between Korea and Vietnam on December 1992, the foreign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has been getting closer as time goes by. Many Korean companies have been entering into Vietnam, thereby the demand for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tends to increase rapidly. For the spread of Korean studies, the first Korean language department was established in Hanoi universities in 1993, and thereafter almost seventeen years have passed. Up to now, as the Korean studies education have been focused on Korean language learning, some achievements are shown in the developments of teaching materials and educational curriculums for the Korean language. However, the present Korean studies is biased too much in educating Korean language, which gives the least consideration to itself. The Korean studies could be considered as an intensive course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 language is a means of understanding the culture and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of a natio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s in the Hanoi universities that have successively risen above the ordinary level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highly recommended to intensify the Korean studies education, from now on. Also, the institutions of Korean government helping the Korean studies education in Vietnam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t, and should make every effort to support the relating education, such as by training teachers who can take exclusive charge of the Korean studies, by developing the relevant teaching materials and educational subjects, and so on.

      • KCI등재

        순정효황후(1894-1966)의 권업모범장 行啓와 收繭式

        남미혜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학연구소 2023 梨花史學硏究 Vol.- No.66

        This study examines both Empress Sunjeonghyo's(純貞孝皇后) royal trip(行啓) to the Kwonup-mobum-jang(勸業模範場) and the Sugyeon-sik(收繭式). In the Joseon Dynasty, in order to encourage agriculture, the king held Chingyeong-ryae(親耕禮) to set an example to the people, and the queen performed Chinjam-ryae(親蠶禮) to encourage women to do gilsam(길쌈). However, the Chinjam-ryae, which had maintained from the King Seongjong, held by Queen Jeongsoon of the King Yeongjo was the last one until Empress Sunjeonghyo practiced sericulture at the Changdeokgung Palace. The reason behind the resumption of the sericulture ceremony was Japanese commercial interest in raw silk, especially produced in Joseon at the time. In order to expand the sericulture industry in Joseon, Japan induced the queen to display sericulture. In 1909, Empress Sunjeonghyo visited the Kwonup-mobum-jang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sericulture, and the Empress's royal trip outside the capital was unprecedented. Empress Sunjeonghyo's royal trip to the Kwonup-mobum-jang and the practice of sericulture, and the Sugyeon-sik were closely related to the Japanese policy of expanding the industry of the sericulture in Joseon. Empress Sunjeonghyo's sericulture began in 1909 and continued until 1939. The empress's Chinjam-ryae, which also began in 1909, was held in a different way from the traditional Chinjam-ryae. The Chinjam-ryae of the Joseon Dynasty, a ritual for the queen to pick mulberry leaves, was omitted, and only the ritual for harvesting cocoons was held. The ceremony of harvesting cocoons gradually became a regular event of the royal family, attended by high officials from Korea and Japa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朝鮮總督府) actively used the image of Empress Sunjeonghyo, as a means of propaganda. The empress's sericulture was produced as an motion-pictures. It was used as a tool to rationalize and propagate the Japanese colonial rule by issuing commemorative postcards containing photos of the Kwonup-mobum-jang and the Chinjam-ryae. Empress Sunjeonghyo's interest and passion for sericulture were very great. However, such interest and passion served as a means of exploitation rather than the development of the sericulture industry in Joseon at the time.

      • KCI등재

        17世紀 士大夫 家訓을 통해 본 家禮의식 — 草廬 李惟泰(1607-1684)의 庭訓을 중심으로 —

        남미혜 동양고전학회 2006 東洋古典硏究 Vol.24 No.-

        草廬 李惟泰(1607-1684)는 송시열과 함께 禮學을 대표하는 인물로 평가되고 있으며 宋時烈․宋浚吉․尹宣擧․兪棨와 함께 소위 충청5현으로 일컬어지는 조선의 대표적인 山林이다. 17세기에는 많은 禮書들이 학자들에 의해 편찬되었고, 사대부들은 朱子家禮를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러나 17세기 사대부들이 禮書의 내용 그대로를 현실생활에서 실천했는지는 의문스럽다. 본 연구는 17세기 士大夫 家禮의 실천의 문제를 李惟泰家의 家訓인 庭訓을 통해 살펴보았다. 庭訓은 기존의 훈계위주의 家訓류와는 다르게 현실생활의 경제적인 면을 강조하는 내용들이 많이 기재되어 있어 實用을 추구하는 사대부의 의식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조선전기 가훈에서는 성리학적 영향이 별로 나타나지 않는 것과는 달리, 庭訓에서는 성리학의 이념을 실천하고 朱子家禮를 실천하려는 모습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李惟泰는 의식의례나 일상생활에서 朱子家禮를 실천하려고 노력하고 있었지만, 상황에 따라 時俗을 따르기도 하는 융통성을 발휘하고 있었다. 당시 사대부들이 禮書의 내용 그대로를 현실생활에서 실천하기에는 여러 가지 면에서 한계가 많았을 것이다. 따라서 사대부 각 가문의 제반 상황의 차이에 따른 家禮의 실천상황은 다를 수밖에 없었고, 기본적인 형태의 차이를 가져오게 되었다. 그 결과 가문에 따라, 지역에 따라, 경제적 여건에 따라 사대부가의 家禮의 내용이 조금씩 차이를 보이게 되는 것이라 생각된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problem of theory and practice of Chu His's Family Rituals(朱子家禮) in the Sa-Dae-Bu class of the 17th century Chosun dynasty with special reference to Lee Yu Tae's(李惟泰) 『Chung Hoon』(庭訓). Contrary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family percepts in the early chosun period in which influence of Sungrihak(性理學) were not conspicuous, 『Chung Hoon』 shows a strong tendency of embodying the ideals of the Sungrihak. And the existence of many statements in it stressing the importance of economic elements in life also reveals the pragmatic attitude of the Sa-Dae-Bu (士大夫). Its author Lee Yu Tae, who has some flexibility in application of the theory to practice, can be regarded as a typical case of the pragmatic Sa-Dae-Bu of the time.

      • KCI등재후보

        18세기 영조대 양잠정책과 양잠업

        남미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9 한국문화연구 Vol.16 No.-

        조선시대 양잠업은 농업과 함께 중요한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조선전기에는 잠실의 운영과 국가의 적극적인 권잠정책으로 인해 주요 부업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조선후기 양잠정책에 가장 적극적인 관심을 보인 국왕은 영조였다. 영조는 친잠례를 거행하고, 각 도 수령들을 통하여 상목재식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영조대 상목재식 정책은 당시 ‘상정(桑政)’이란 용어로 표현되고 있었는데, 이는 영조대 정치의 영역에서 양잠업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영조의 양잠정책 추진은 당시 상업적 분위기의 고조와 함께 양잠업의 활성화를 가속화시킨 한 요인이 되었다. 조선후기에는 곡물·직물·채소 등 다양한 물품들이 상품화되었으며 이러한 물품들은 주요 산지가 형성되고, 전국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양잠업 부분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18세기에는 길쌈에 종사하는 군현수가 점차 늘어나고 있었으며 지역도 확대되고 있었다. 또한 조선후기 장시에서는 각 지역을 대표하는 고급 명주가 활발히 유통되고 있었다. 조선후기 양잠업에 종사하는 지역이 확대되고 명산지가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조선후기 양잠업은 쇠퇴가 아니라 점진적인 발전을 하고 있었다. In the Joseon Dynasty, sericulture was considered as a major industry along with agriculture.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sericulture was growing into one of main subsidiary works by virtue of running sericulture stations and encouraging active sericultural development policy by the n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Yeongjo was the king who gave attention to the sericulture encouragement policy greatly. The king Yeongjo used to hold the Chinjam-ryae ceremony by himself, and drove actively the mulberry trees planting policy through the local governors of each province. The mulberry trees planting policy by the king Yeongjo was called as Mulberry Tree Politics, or Sang-Jung(桑政), and this shows that sericulture played much of a role in the important political issues in the king Yeongjo dynasty. The active drive of the mulberry trees planting policy by the king Yeongjo caused to accelerate the sericulture activity, and resultantly to give the economy a welcome boost. In the Late Joseon Dynasty, a variety of products, such as grains, fabrics and vegetables were merchandised as commercial goods. These products were to become famous in many producing places, and to be recognized nationwide. Such phenomena were no exception in the field of sericulture. In the 18th Century, a gradual increase was shown in the number of counties and prefectures which were attending to work at weaving by hand, and the producing area were expanded also. In the Late Joseon Dynasty, many silk fabrics of high quality representing the famous producing places were shown and distributed actively in rural markets. Considering the facts that the areas attending to work at sericulture were expanded and some famous producing places were established, we can see that sericul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gradually prospering rather than declining.

      • KCI등재
      • KCI등재

        17世紀 被擄人 趙完璧의 安南 체험

        남미혜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논총 Vol.45 No.-

        본 논문은 정유재란 당시 일본에 포로로 끌려가 안남에 세 차례 다녀온 趙完璧의 安南 체험에 대해서 살펴본 글이다. 조완벽은 1597년 정유재란때 포로로 잡혀 일본으로 끌려간 후, 1604년부터 1606년까지 倭主인 스미노쿠라 료이(角倉了以)가 운영하는 朱印船에 승선하여 세 차례 안남에 다녀왔다. 조완벽의 체험담은 진주에서 소촌도 찰방을 역임한 金允安에 의해서 鄭士信, 李埈, 李睟光에게 전해지게 되었으며, 이들에 의해 「趙完璧傳」으로 入傳되었다. 조완벽은 갑자사화 때 화를 당한 知足堂 趙之瑞의 증손으로, 字는 汝守, 號는 松江, 본관은 林川이다. 경상도 진주지방의 명문세족인 河魏寶의 손주사위이며, 처가와 외가가 모두 진주지역의 명문세족이었다. 조완벽은 안남 방문을 통해 이수광의 시가 안남 유생들 사이에서 애송되고 있다는 사실과 함께, 안남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전하였다. 조완벽이 방문했던 지역은 安南의 乂安 興元縣이었으며, 당시 안남은 남북 두 개의 정권으로 대립되어 있었다. 조완벽은 흥원현에서 그 지역의 해외통상을 관리하던 고관 文理候와 지역 유생들에게 초대를 받고 이수광의 시를 매개로 하여 그들과 筆談을 주고받았다. 조완벽은 안남인의 의식주 및 풍속, 기후, 동식물․과일 및 산물, 처첩제도, 안남인의 성품 등에 대해서 매우 자세히 전하고 있다. 조완벽은 안남에서 많은 사람들을 만나 필담으로 대화를 나누면서 한자문화권 내부의 동질감과 이질감을 느꼈던 것으로 보인다. 안남인에 대한 조완벽의 인식은 긍정적인 인식과 부정적인 인식이 교차하고 있었다. 조완벽의 견문에 기초한 안남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17세기 조선사회에 안남에 대한 지식을 높이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17세기 조선에서는 국가가 아닌 개인이 국제무역선을 운항해서 외국에 나가 교역하는 행위 자체를 상상할 수 없었다. 그러나 당시 일본에서는 동아시아 국가들을 상대로 한 국제무역 행위가 이미 활발히 진행되고 있었으며, 조완벽은 이를 실제로 목격하고 동참했던 최초의 조선인이었다. This paper scrutinize the experience of Cho Wan-byuk in Annam, who was a captive during Japanese Invasion of 1597(丙子胡亂), and traversed Annam(安南) three times. Upon the Japanese Invasion of 1597, Cho Wan-byuk was abducted to Japan as a captive. In Japan, he was forced into labor on a Juinseon(朱印船), which was operated by a japanese slave owner named Suminokura Ryoi(角倉了以) from 1604 to 1606. During the period, he made three visits to Annam. Cho Wan-byuk's experience as a captive was heard by Kim Yun-ahn(金允安) who served as a Chalbang of Sochon Do in Jinjyu region. The story was spread by Kim Yun-ahn, and eventually reached Jeong Sa-shin(鄭士信), Lee Su-Kwang(李睟光), and Lee Jun(李埈), who later published Cho Wan-byuk Geon(趙完璧傳). Cho Wan-byuk was a great-grandchild of Jijokdang Cho Ji-seo(趙之瑞), who was executed during Gapjjasawa(甲子士禍). He had a childhood name of Yeosoo, and a pen name of Songgang, and his family clan originated from Imchon region. He was married to a granddaughter of Ha Wi-bo(河魏寶), a member of a powerful clan from Jinjyu region of Gyeongsang province. Both his wife's side and mother's side were all members of powerful clans in Jinjyu region. After three visits to Annam, Cho Wan-byuk spread the detailed informations about Annam nation, along with the fact that poetry written by Lee Su-Kwang was very popular and loved to recite among Confucian scholars in Annam. The area where he visited, was Hung Nguyen huyen(興元縣), Nghe An(乂安), Annam. At that time, Annam was controlled by two governments, North regime and South regime, confronting each other. Staying in Hung Nguyen huyen, Cho Wan-byuk was invited by a high government official, mun ri hu(文理候), who took charge of Foreign trade, and many other local Confucian scholars. In their meetings, he communicated with them by writing about Lee Su-Kwang's poetry. Cho Wan-byuk described in detail the basics of Annam people, such as food, clothing, shelter, culture, climate, flora and fauna, fruits, principle products, concubine system, and the character of Annam people, etc. After contacting and communicating with lots of people in Annam, he seemed to feel both of cultural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within chinese cultural zone. He expressed mixed feelings of positive awareness and negative awareness for the recognition of Annam people. Due to the detailed informations on Annam nation based on the knowledge of Cho Wan-byuk, the 17th century Joseon society had become motivated to better understand Annam. In the 17th century Joseon society, it could not be imagined the act itself, to navigate international trading ships and to trade abroad by individuals rather than a nation. But at that time in Japan, international trade practices against the East Asian countries were already in progress actively, and Cho Wan-byuk was the first Korean who had witnessed this activity and participated in actually.

      • KCI등재후보

        16세기 사대부 이문건가의 양잠업 경영에 대한 一硏究 ― ??齋日記?를 중심으로 ―

        남미혜 조선시대사학회 2003 朝鮮時代史學報 Vol.26 No.-

        A study on the management at a sericultural farm of Lee, Mun-gn's family in the 16th century- through the Mukjae's diary -Nam, Mi-hy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