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남경희,한성민,천성준,이준우,김지훈 한국생태학회 2024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48 No.3
Background: Newly introduced transgenic plants can outcompete native species in natural ecosystems, threatening the biodiversity of a country. This study ascertained the weediness potential of plants according to the seed amount under the assumption that transgenic seeds were unintentionally spilled. Using sunflowers as the study system, 0, 50, 100, and 150 seeds were sown in 1 m × 1 m and 2 m × 2 m plots, and seed germination, survival, flowering, and competition between the surviving and wild plant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rmination rate of sunflowers depending on the cultivar, but differences were observed depending on the sowing density and plot size. As the number of seeds sown increased, the flowering and seed maturation of sprouted plants occurred earlier; the plant height and flower length of the surviving plants decreased. In addition, as the number of seeds increased, not only did the early importance of sunflowers increase, but the period of dominance over weeds also improved.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eediness potential of sunflowers varies with the number of seeds at the time of release, which may affect germination and growth, and compete with weeds in transgenic plants.
남경희 국립특수교육원 2003 특수교육 사례연구 Vol.4 No.-
1) 교실의 정보 인프라 구축 효과 ① ICT활용 교수·학습을 위한 물리적 환경이 확충됨으로 인하여 교수·학습의 효율성 증대와 교실 수업이 개선되었다. ② 모델학급에 설치된 LCD 프로젝터와 전동스크린, 네트워크 컴퓨터, DVD, Video, 실물화상기 등을 연결하여 활동적이고 입체적인 수업이 이루어 졌다. ③ 학생과 교사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꾸준히 실시함으로써 ICT 활용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고 ICT활용 능력이 향상되었다. ④ ICT활용 교수·학습 과정안의 다양한 멀리미디어 기자재를 활용한 효과적인 화면구성으로 중·하 수준 학생들의 학습태도 및 흥미를 새롭게 변화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2) 교수·학습 능력 신장 ① ICT활용 개별화 교수·학습과정안의 구안과 적용을 통해 ICT활용 수업에서의 개별화를 가능하도록 하였다. ② 다양한 웹 자료를 사용함으로써 하 수준 학생들의 주의집중 능력을 키울 수 있었다. ③ 언어장애가 심하며 반응이 적고 자기의사표현이 어려운 학생들도 학습용 CD를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었다. ④ 실패 경험이 누적된 중 수준 학생들은 에듀넷이나 여러 학습사이트를 찾아다니며 검색을 스스로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움으로써 자신감이 높아졌다. ⑤ 학습의 각 과정에 ICT활용 수업을 투입하여 반복학습과 평가, 과제해결, 참고자료, 보상학습 등에 효과가 컸다. ⑥ 학생들이 교과 수업에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만들어 발표하는 등 개인별 컴퓨터를 이용한 자료 활용 및 검색 능력이 향상되었다. ⑦ 다양한 웹 자료를 사용함으로써 하 수준 학생들의 주의집중 능력을 키울 수 있었다. ⑧ 언어장애가 심하며 반응이 적고 자기의사표현이 어려운 학생들도 학습용 CD를 이용한 학습이 가능해졌다.
남경희 韓國社會科敎育硏究會 1999 社會科敎育學硏究 Vol.- No.3
오늘날 일본 교육에서는 아동이나 학교·가정·지역사회의 실태, 향후 사회의 변화 등 다양한 요인들로 인하여 '살아가는 힘'의 육성이 특별히 강조되어지고 있다. 1995년에 발족된 제15기 중앙교육심의회는 1996년에 제1차 보고서를 문부성에 제출하였다. 여기에서 살아가는 힘이 핵심어로 내세워졌고, 이러한 맥락은 1997년의 중앙교육심의회 제2차 보고서와 1998년의 교육과정심의회 보고서에서도 그대로 계승되어지고 있다. 살아가는 힘은 문제해결력, 풍부한 인간성, 건강한 몸이라는 3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변화가 심한 현대 사회를 보다 지혜롭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하고, 행동하는 주체적인 사고력과 사회환경이나 자연환경 가운데에서 다른 것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마음을 가진 풍부한 인간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건강이나 체력은 살아가는 힘을 지탱하고, 삶을 의욕적으로 주체성 있게 영위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이와 같은 요소로 이루어지는 살아가는 힘의 본질은 단적으로 말해서, 변화 가운데에 스스로를 상실하지 않고 스스로의 삶의 가치를 감지하는 삶의 방식을 선택하고 실행하는 힘에 있다 하겠다. 그런데 일본 교육에 있어서 살아가는 힘은 자기교육력이나 신학력관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는 과제이다. 지금까지 주로 지적인 자질·능력의 측면에 기울어 왔던 학력관과는 달리 살아가는 힘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측면을 계승하면서도 거기에 덕육과 체육의 측면을 첨가하고 이것을 균형감 있게 육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면서 교육과정 구성을 교육 내용의 여유와 통합, 엄선이라는 기본 관점에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다면, 향후 21세기 사회를 지혜롭게 살아가기 위하여 필요한 살아가는 힘은 지덕체의 조화로운 발전이라고 하는 수위, 교육이 본래 추구하고자 했던 근본으로서의 회귀를 강조하는 매우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일본의 교육 개혁에서 논의되고 있는 문제들은 다른 어느 교과보다도 사회과와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의 논리를 면밀히 음미해 볼 가치가 있다할 것이다. Today rearing 'vitality' is emphasized in Japanese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vitality in a report of educational reform of Japan in order to offer a viewpoint of that in Korea. Having a view of the 21st century, Central Educational Commission of Japan submitted a report of educational reform to the Minister of Education in 1996 and 1997. The Curriculum Commission submitted a report in 1988, too. On these reports, main subject was to foster vitality. Vitality is consisted of three elements: problem-solving, humanity and health. Until now it has been taken a serious view of intelligent ability, but recently virtue and physical strength are treated as good as intelligence. That is, vitality is in need of symmetrical development of knowledge, virtue and physical strength. On this point, vitality is very extensive and inclusive concept to live wisely in the 21st century, Now for the purpose of this, curriculum reformation is promoted from reserve, integration and careful selection points of view. Arguments mentioned above are especially related to social studies than other sub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