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대 교회 사막 교부와 장공 김재준 ― 안토니오스(Antonios of Egypt, ca. 251-356), 에바그리오스(Evagrios of Pontus, 345-399)와 장공(長空) 김재준(1901-1987)의 청빈 이해를 중심으로

        나현기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2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deal with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poverty of Early Christian Desert Fathers (Antony of Egypt and Evagrius of Pontus) and Kim, Jae Jun. In order to analyze their understanding of poverty, the article focuses on Vita Antonii of Athanasius, Praktikos of Evagrius, and Kim, Jae Jun’s autobiography, 범용기. The works are regarded as important primary sources, which help us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poverty and its theological meaning. Antony of Vita Antonii and Evagrius do not claim that poverty is the ultimate purpose of monastic life. Monastic poverty is not only the beginning of a spiritual journey, but a continuous process toward the monastic goal (restoring the image of God, attaining apatheia, and keeping in the love of God and neighbor). Even though they have differences in time and space, the poverty of Jae Jun Kim reflected in 범용기 is similar to that of the Desert Fathers. Poverty is necessary for attaining inner purification and restoring the image of God, that is, the perfect freedom of human beings. However, as monks, Antonios and Evagrios strongly advise against falling into avarice. They are interested in describing how to overcome inner desires. Unlike the Desert Fathers, Jae Jun Kim is not a monk, but attempts to practice the tradition of monastic poverty in the midst of the world. Thus, he allows Christians to save money for a minimal living. Rather than explaining inner purification, Jae Jun Kim has a great interest in creating “a cosmic love community” which frees human beings by fighting social structural evils on the basis of the purity. 이 논문은 초대 교회 사막 교부인 안토니오스와 에바그리오스의 수도원적 가난 이해와 장공 김재준의 청빈 이해를 비교한다. 그들의 청빈이해를 살펴보기 위해서 아타나시우스가 쓴 『안토니오스의 생애』(Vita Antonii)와 에바그리오스의 『프락티코스』(Praktikos) 그리고 김재준의 『범용기』를 분석할 것이다. 안토니오스와 에바그리오스가 주장하는 청빈은 자발적으로 부를 포기하고 가난하게 생활하는 것만은 아니다. 진정한 청빈은 수도 생활의 궁극적 목표인 하나님 형상의 회복, 아파테이아(apatheia) 의 달성, 하나님과 이웃에 대한 온전한 사랑을 이루기 위한 모든 과정을 말한다. 김재준의 청빈 이해는 시간과 공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사막 교부와 비슷하다. 청빈이란 단순하고 소박한 삶과 더불어 내적 정화와 하나님의 형상 회복, 즉 얽매인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로운 온전한 인간성을 회복하는 모든 과정이다. 초대 교회 사막 교부들과 김재준의 청빈 사상은 서로 다른 차이도 보인다. 사막 교부들은 철저한 부의 포기와 가난을 계속 강조한다. 반면에 김재준은 세상을 떠난 수도사가 아니었다. 그는 세상 한가운데 살면서 청빈 전통을 실천했다. 김재준은 생계 유지를 위해 돈을 모으고, 저축하는 것을 인정한다. 사막 교부들은 내적 청빈인 ‘악한 생각’과 싸우고, 극복하는 방법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김재준은 인간의 참 자유를 이루고자 한국 교회와 사회 안에 있는 구조악과 싸우는 일에 평생 관심을 보였다. 사막 교부들과 김재준의 청빈 사상을 비교하는 연구는 한국 교회에서 발전한 수도원적 청빈 전통의 한 흐름을 보여 준다. 코로나19로 큰 위기를 맞이한 한국 교회가 기억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이기도 하다.

      • KCI등재

        요안네스 카시아누스(Ioannes Cassianus, ca. 360-ca. 435)의 이집트 수도원적 가난 (Monastic Poverty)이해의 중요성과 그 의미

        나현기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7 서양고대사연구 Vol.50 No.-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John Cassian's concept of Egyptian monastic poverty can be understood through his monastic writings, De institutis and Collatines patrum. In order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John Cassian's radical poverty, Gallic and Egyptian's ascetic views of monastic poverty should be examined. First, we need to be bear in mind that Cassian created his own ascetic corpus to address the circumstances of fifth-century Gallic asceticism. The Gallic monks understood renunciation as the retention of money and its proper use for various monastic works. Their attitude towards radical poverty may be regarded as very flexible. Thus, Cassian attempted to explain how Gallic monks' spiritual progress had been undermined because they did not renounce their possessions. Second, if this is the case, how should the lives of the Gallic monks be modified? The alternative Cassian offers is simple: to regard Egyptian ascetic principles as the only apostolic and authoritative way. Cassian attempts to bring Egyptian monastic poverty (particularly, Antony, Pachomius, and Evagrius) to Gallic monks. However, Cassian intends to exaggerate the Egyptian understanding of poverty. On the basis of these two main contexts, Cassian does not simply and literally repeat Egyptian views of monastic poverty, but creates a unique understanding of poverty. Here we can find the three fundamental aspects of Cassian's monastic poverty: first, the continuous emphasis on external poverty based on human vulnerability; second, the role and place of radical poverty in Cassian's monastic scheme involving virtues attained through the practical stage and the ascetic idea for puritas cordis; third, the connection between Cassian's radical poverty and the ideal poverty of the Apostolic Church. 이 논문의 목적은 요안네스 카시아누스가 갈리아 수도원에 대안으로 제시한 이집트적 가난이해가 무엇이며, 자신의 수도문헌에서 어떻게 해석 및 적용하고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카시아누스의 '철저한 가난'이란 주제가 가지고 있는 중요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의 수도문헌이 저술되었던 5세기 갈리아와 깊게 영향을 받았던 이집트 수도사들의 가난이해를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우선 카시아누스는 자신의 수도문헌들을 5세기 갈리아 수도사들에게 전하고자 작성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갈리아 수도사들은 ‘수도원적 가난’이란 부를 포기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수도원 사업을 위해 적절하게 사용하는 일이라 간주했다. 그들은 가난에 대해서 매우 유연한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카시아누스는 갈리아 수도사들이 부를 제대로 포기하지 않았으므로 그들의 영적 진보는 실패하고 말았다고 주장한다. 이어서 카시아누스는 갈리아 수도 문화를 개혁하기 위해서 이집트의 수도원칙들을 소개하려고 한다. 특별히 그가 영향을 받은 안토니우스, 파코미우스, 에바그리우스의 가난이해를 자기만의 방식으로 해석하고 때로는 과장하면서 ‘이집트 수도원의 가난’을 이상화시킨다. 이러한 갈리아와 이집트의 영향을 바탕으로 카시아누스가 전개하는 가난이해는 단순히 이집트의 수도적 가난을 반복하지 않는다. 오히려 독특한 가난이해를 제시한다. 그의 가난이해를 세 가지로 측면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인간본성이 가지고 있는 취약성을 깊이 고민하며 지속적으로 외적 가난을 강조한다. 둘째, 카시아누스 자신의 영성신학에 가난이 차지하는 역할과 비중이 커지고 이런 이유로 에바그리우스의 신학과 차이를 보인다. 셋째, 카시아누스는 예루살렘교회를 이상화하며 가난이해를 정당화하려고 한다.

      • KCI등재

        요안네스 카시아누스(ca.360-ca.435) 영적 성장 이해의 독특성

        나현기 한국교회사학회 2022 韓國敎會史學會誌 Vol.6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요안네스 카시아누스의 수도 문헌에 나타난 영적 성장 이해가 지니는 특징을 설명하는 것이다. 그동안 카시아누스의 영성 신학 연구는 에바그리오스를 포함한 오리게네스 전통과 비교하면서 유사점과 차이를 분석하는 데 집중했다. 그러나 갈리아 수도사들의 상황을 고려하면서 쓰인  제도집 과  담화집 의 배경과 두 문헌의 전체적인 구조를고려하면서 영적 성장 이해의 특징을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배경과 전체적인 주제와 구조적인 흐름을 고려해 본다면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살펴볼 수 있다. 카시아누스는 에바그리오스처럼 실천적 단계에서 관상적 단계로 나아가는 성장 과정을 제시하지만, 실천적 단계에서 8가지 악과싸우는 영적 전투의 중요성을 반복적으로 강조한다. 8가지 악에 대한 이론이 모든 이들에게 그대로 적용된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실천적 단계의 목표인 “마음의 청결”을 지속해서 유지할 수 없다고 본다. 시편 70편 1절의반복적인 암송을 “쉼 없는 기도”라 칭하고 성서 읽기와 기도를 통합해서일상의 수도 훈련에 적용했다. 카시아누스의 이런 영적 성장 이해는 갈리아 수도원에서 목격한 욕망에 취약한 인간의 한계에 대한 깊은 성찰의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안토니오스(Antonios of Egypt, ca.251-ca.356)의 수도원적 청빈(Monastic Poverty) 이해

        나현기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9 신학사상 Vol.0 No.185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deal with Antony’s understanding of monastic poverty reflected in his three monastic writings, Vita Antonii, Epistolae Antonii, Apophtegmata patrum. Antony scholars have mainly examined the authenticity of Antony’s writings. They have also been concerned with how Vita Antonii was coloured by Athanasius’ own intentions, how the image of Antony is remodeled in the writings, and who the historical Antony was. However, they have not paid much attention to some significant topics related to Antony’s voluntary poverty, monastic life, and theological thoughts, which had a profound influence on early Christians of his time. Thus, this article attempts to show an aspect of the spiritual formation of early Christianity and early Christian piety. Antony’s understanding of monastic poverty is as follows. First, his monastic renunciation is a continuous process toward inner poverty imagined as a fight against Satan’s temptation. Physical poverty is an act of the perfect renunciation of possessions. Second, Antony established his perfect anchoritic model for keeping poverty throughout monastic life. That is, he kept the principle of working for food and the other necessities of life, not keeping surplus articles or food, but distributing them to the poor, and keeping only minimum necessities. The monastic poverty of Antony was regarded as a significant rule of Early Christian spirituality. 이 논문의 목적은 사막 교부 안토니오스와 관련된 세 문헌, 『안토니오스의 생애』(Vita Antonii), 『안토니오스의 서신들』(Epistolae Antonii), 『사막 교부들의 담화집』(Apophtegmata patrum)에 나타난 수도원적 청빈 이해를 밝히는 것이다. 안토니오스 연구자들은 그동안 안토니오스의 문헌들에 대해서 주로 저자의 진정성, 저작 의도와 배경, 안토니오스의 다양한 이미지와 역사적 안토니오스이 차이 등의 주제에 관심을 가졌다. 안토니오스의 자발적 가난으로 시작된 수도 생활 방식과 사상은 당대부터 큰 영향을 주었지만, 이러한 주제들은 상대적으로 덜 연구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안토니오스의 문헌들에 등장하는 청빈 이해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초대 교회 영성 형성과 그리스도인들의 삶의 한 단면을 밝히고자 한다. 안토니오스의 청빈 사상은 크게 두 측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자발적 부의 포기를 의미하는 ‘외적 가난’에서 악마가 주는 유혹을 극복해 가는 ‘내적 가난’으로 이어지는 청빈의 두 단계, 즉 청빈의 발전 단계를 제공한다. 둘째는 수도 생활을 하면서 청빈을 유지하는 구체적인 삶의 방식을 제시한다. 그것은 노동을 통한 자급자족의 생활 방식과 최소한의 생필품만을 소유하고 잉여 식량을 가난한 이들과 나누며 지속적인 가난을 유지하는 삶을 말한다. 이러한 청빈 이해는 하나의 ‘신앙 생활 규범’으로서 초대 교회 수도원 운동과 그리스도인들의 영성 생활에 폭넓은 영향을 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