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이미지 향상을 위한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 연구

        나주몽,임영언 한국동북아학회 2009 한국동북아논총 Vol.14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age of South Korea and Korean people which Japanese-Korean get through visits to Korea and interchange experience with Korean people in transnationalism. And it is our wish to derive factors that affect Korean image-building and to seek ways of prompting competition on the network. The study on the image of Korea and Korean people that Japanese-Korean have was done by Fukuoka Yasunori and Kim Myoung-Soo in 1997 mainly about the sense of distance with Korea. Their study findings show that Japanese-Korean feel close to Korean physically, but not psychologically. Study's findings also show that the image of Korea is elevated when Korean-Japanese are provided with information, interchange opportunities, and when they are treated kindly by Korean students, and etc.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factors that elevate the image of Korea are: providing of information, interchange opportunity, good image of Korean students, offering information on studying abroad, and etc. The result of study reveals that Korean-Japanese receive culture shocks more strongly from Korean's unkindness,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m as there are a lot more contacts -either individual or public contacts or through the Internet -with Korean people although that the image of Korea and Korean people is reported to have improved since 1997.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rough information interchange and network activation, the image of Korea and Korean people can change from the negative image in the past. 이 연구의 목적은 재일한인들이 한국방문과 한국인과의 교류경험을 통해 인식하는 한국 및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가 어떠한가를 분석하여 이미지 제고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네트워크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재일한인의 한국 및 한국인이미지 관련 연구는 후쿠오카와 김명수가 1997년 모국과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 한국방문으로 물리적으로는 가깝게 느끼고 있지만 심리적으로는 멀어지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한 바 있다. 이 연구결과는 그로부터 10년 이상 지난 현시점에서 재일한인들의 모국이미지가 어떻게 변했는지 살펴보기 위해 2007년 한국청소년개발원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있다. 조사결과를 보면, 먼저 한국이미지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호감이미지는 정보제공과 유학생인상, 역량이미지는 정보제공과 교류기회 및 유학생인상, 역동성이미지는 교류기회와 유학생인상 및 유학정보, 그리고 친밀감이미지는 정보제공과 교류기회 및 유학생인상, 유학생호감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한국인이미지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호감이미지는 교류기회와 유학생인상, 역량이미지는 정보제공 및 유학생인상, 역동성이미지는 정보제공, 교류기회, 유학생인상, 유학정보, 그리고 친밀감이미지는 정보제공과 교류기회 및 유학생인상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조사결과, 재일한인들에게 한국인이미지 제고에 미치는 요인들은 정보제공, 교류기회 확대, 유학생인상, 유학생호감, 유학정보 등이었다. 조사결과 97년 조사에 비해 한국 및 한국인이미지가 많이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지만 한국에 있는 개인이나 단체와 접촉, 혹은 한국과의 인터넷이용이 많아질수록 재일한인들에 대한 한국인의 불친절, 재일동포에 대한 편견과 차별 등으로 인해 문화적 이질감을 더욱 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가장 큰 발견은 정보교류와 네트워크 활성화를 통해 과거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한 재일한인의 한국 및 한국인이미지 제고에 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시계열자료를 이용한 초광역지역의 사회적기업의 운영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나주몽,브라운 앨런 딕슨,변장섭 한국지역사회학회 2023 지역사회연구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의 지속성 측면에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 동안 경영공시자료를 제공한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시계열의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적기업들의 동태적 효율성을 분석한다. 특히 초광역권차원에서 사회적기업의 효율성과 인증유형별 효율성 실증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CC모형과 윈도우모형에 의한 효율성은 전체적으로 2016년에서 2017년에 약간 증가하였다가 2017년부터는 지속적으로 효율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인증유형 중에 일자리제공형의 사회적기업은 기업의 운영효율성이 가장 높으면서 시계열적으로 안정적인 효율성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광역권의 지역별 전체 효율성을 살펴본 결과, 가장 효율성이 높은 지역은 수도권으로 0.778이였으며 다음으로 광주전남이 0.737, 부울경 0.726, 대구경북 0.720, 강소권 0.711, 충청권 0.61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효율성이 낮은 초광역권은 충청권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중 주요항만의 상대적 효율성과 생산구조의 경쟁력 분석 : DEA(Data Envelopment Analysis)을 중심으로

        나주몽,경성림 한국동북아학회 2010 한국동북아논총 Vol.15 No.2

        As the Northeast Asia region, centered by China and South Korea, became one of Top 3 trade area in the world, together with EU and NAFTA, the competition in the cargo market has been speedily accelerated. Mega-trends of the world can be summarized by the larger logistics infrastructure of the logistics industry, hublization, and the higher added value, and the trend of deregulation of the logistics sector turns to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logistics companies, expansion of logistics infrastructure, logistics and distribution network to build service of advanced and high value-added logistics of anger around the world to pursue the development of policies. The port logistics is a key indicator to understand the market growth and competition of logistics. The port logistics takes important roles of connecting the marine transportation and 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and dominate the port host country’s economy directly. Therefore, all countries in Northeast Asia that is responsible for the backbone of international trade and logistics and port, and will focus on the role and value, and the ports of the larger, equipment modernization, providing incentives to attract and deliver cargo and by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the status of an international logistics hub will be able to. This comparative analyze study is based on the data of Containerisation International Yearbook, facing China's four ports and three ports in Korea, and analyze the non-parametric efficiency of the DEA technique to apply analytical techniques to compare the competitive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each container terminal. 이 연구의 목적은 한・중 주요 항만들의 효율성과 생산 구조를 비교하기 위하여 DEA 기법을 활용하여 각 항만별 기술효율성을 측정하였고 또한 투입-산출변수의 성장률에 대한 포지셔닝 분석을 통해 생산구조의 경쟁력을 고찰하고자 한다. 분석결과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항만의 연도별 기술적 효율성을 CCR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중국의 항만들이 한국의 항만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항만별로 보면 상하이항과 홍콩항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으로 광양항이 비효율적으로 나타났다. 비효율성의 원인은 투입요소의 기술적 결함에 있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조업규모가 최적이 아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규모의 효과를 제거한 BCC 모형에 의한 순수효율성 분석 결과, 홍콩, 상하이, 심천항이 효율적인 항만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천은 BCC모형에 의해 분석된 경영 효율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규모의 효율성 분석 결과 중국의 항만들이 한국의 항만들에 비해 효율적 이였지만 한국의 평균 효율성 값들이 최근년도에 근접 할수록 점진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었다. 넷째, 성장측면에서 생산구조의 경쟁력을 보면 부산은 상대적 효율성이 낮으면서 투입변수와 산출변수의 성장률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의 부산, 인천, 광양항은 처리량의 성장이 중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항만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중국보다 처리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정책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한국이미지 향상을 위한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 연구

        나주몽,심성문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09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Vol.200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재일코리안들이 한국방문과 한국인과의 교류경험을 통해 인식하는 한국 및 한국인에 대한 이미지가 어떠한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한국 및 한국인이미지 제고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네트워크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재일코리안의 한국에 대한 이미지관련 연구는 후쿠오카도 김명수가 1994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모국과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 당시 과반수이상인 56.1%가 1회 이상 한국을 방문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방문경험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에 대한 이미지를 질문한 결과 호감을 가지고 애착을 느꼈다고 응답한 비율이 42.3%, 복잡한 기분이나 소외감을 느꼈다고 응답한 비율이 57.7%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재일코리안들이 한국방문으로 물리적으로는 가깝게 느끼고 있지만 심리적으로는 멀어지고 있다는 현실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그로부터 10년 후 재일코리안들의 모국과의 거리감은 어떻게 변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2007년 한국청소년개발원에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있다. 조사결과를 보면, 먼저 한국이미지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호감이미지는 정보제공과 유학생인상, 역량이미지는 정보제공과 교류기회 및 유학생인상, 역동성이미지는 교류기회와 유학생인상 및 유학정보, 그리고 친밀감이미지는 정보제공과 교류기회 및 유학생인상, 유학생호감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재일코리안들은 한국에 있는 개인이나 단체와 접촉, 혹은 한국의 인터넷이 많아질수록 그들에 대한 한국인의 불친절, 재일동포에 대한 편견과 차별 등으로 인해 한국과의 문화적 차이를 더욱 강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이미지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호감이미지는 교류기회와 유학생 인상, 역량이미지는 정보제공 및 유학생인상, 역동성이미지는 정보제공, 교류기회, 유학생인상, 유학정보, 그리고 친밀감이미지는 정보제공과 교류기회 및 유학생인상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조사결과, 재일코리안들에게 한국인이미지 제고에 미치는 요인들은 정보제공, 교류기회 확대, 유학생인상, 유학생호감, 유학정보 등 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