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찰벼 품종에 따른 소곡주의 이화학적 특성

        이진석,우관식,천아름,나장연,김기종 한국작물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54 No.2

        품종에 따라 제조된 소곡주의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원료로 사용된 보석찰, 동진찰, 해평찰, 화선찰, 눈보라, 상주찰, 신선찰의 특성을 검토한 결과 수분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백질 함량은 상주찰이 8.1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눈보라가 6.35%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백도는 화선찰이 가장 높았으며, 보석찰이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의 경우 백도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a 및 b값은 보석찰이 0.35 및 13.09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호화특성 중 호화개시온도는 68.03~68.08℃ 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하점도는 보석찰 및 신선찰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치반점도는 상주찰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품종별로 제조된 소곡주의 알코올 함량은 품종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도는 20.5~24.6ºBx 로 나타났고 탁도는 0.0344~0.0530 범위로 나타났다. L 및 b값은 상주찰이 각각 6.90 및 1.45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pH는 상주찰이 4.79로 가장 높았으며, 나머지는 4.70~4.74 의 범위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산도는 상주찰이 0.868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품종은 0.7998~0.8360 %의 범위로 나타났다. 품종별로 제조된 소곡주의 유리당은 glucose만 검출되었으며, 상주찰과 동진찰이 각각 10.843 및 10.331 g/100 mL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기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 succin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 및 oxalic acid 등이 검출되었다. 품종별로 제조된 소곡주의 동진찰을 기준으로 하여 나머지 품종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신선찰, 해평찰 및 화선찰이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quality of Sogokju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prepared with waxy rice varieties. Among tested waxy rice varieties, highest protein contents (8.11%) was observed in cv. Sangjuchal, and highest whiteness and L-value were observed in cv. Hwaseonchal,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latinization temperature could be observed among tested varieties, and cv. Boseokchal and Sinseonchal exhibited higher breakdown viscosity compared to the others. The alcohol contents of Sogokju with waxy rice varieties ranges from 13.0 to 13.4%, and the brix degree and turbidity were within the range of 20.5 to 24.6 ~circBx , and 0.0344 to 0.0530, respectively. The highest L-value (6.90), b-value (l.45), pH (4.79), total acidity (0.8384%), and glucose content (10.843 g/100 ml) could be observed in Sogokju made with cv. Sangjuchal. The organic acids such as succin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 and oxalic acid could be detected in Sogokju. Although no variety-dependant differences in appearance, aroma, and taste could be found in sensory evaluation, Sogokju made with cvs. Sinseonchal, Haepyeongchal, and Hwaseonchal showed higher overall quality than Sogokju made with cv. Dongjinchal, which is most widely used for Sogokju used for Sogokju production nowad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