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진로ㆍ흥미 탐색과 명리학의 상관성 연구

        나윤경 ( Na Yoon-kyong ),김만태 ( Kim Man-tae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2 동양문화연구 Vol.36 No.-

        본 논문은 명리학의 직업적성을 연구한 것으로 자신의 직업적성을 이해하고 직업을 선택한다면 직업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진로·흥미와 명리학의 상관성을 연구하여 적성에 맞는 진로 선택 방향을 학생들에게 제시하여 자신의 선천적 재능과 적성을 미리 알아 만족한 직업을 찾기를 바라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에 사는 초등학교 1학년 19명, 2학년 4명, 3학년 1명으로 직접 수집한 사주명리와 장래희망, 주니어 커리어넷 진로·흥미 탐색 검사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을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로 한정한 이유는 자신의 진로적성을 일찍 탐색하면 할수록 자신의 정체성을 파악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선행논문에서 밝혀낸 Holland의 직업적성에 대한 명리학적 특성의 결과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진로·흥미에 대한 명리학적 특성이 서로 부합되는지를 확인하려고 한다. 일간을 중심으로 명리학의 음양과 오행의 물상, 일간, 십성과 격국 등을 적용하여 직업적성을 분석하였고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진로·흥미 직업탐색 결과지와 명리학 선천적 직업적성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Holland의 직업적성에 대한 명리학적 특성의 사례분석은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서로 복합적, 유기적으로 상관성을 가지고 있어 동·서양의 융합적 분석은 서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Holland 직업 흥미 검사 결과 중 진취형과 관습형은 검사 결과에서 한 명도 나오지 않았는데 이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가치관이 아직 확립된 시기가 아닌 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진로ㆍ흥미ㆍ직업 탐색과 명리학적 선천적 직업적성의 상관이 조기에 분석되어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유익한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rofessional aptitude of Myeongli Science(命理學) and if we understand our professional aptitude and choose a job, we will be able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interest exploration and Myeongli Science in the low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esent them with career choice directions suitable for their aptitude to find a satisfactory job by knowing their innate talents and aptitudes in adva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 first graders, 4 second graders, and 1 third grader living in Seoul,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aju-myeongli’, ‘future hope’ and ‘Junior career net’ career interest search tests. The reason why the study target is limited to low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that the earlier they search for their career aptitude, the more advantageous they are to grasp their identity.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attempts to confirm whether it is consistent with the case analysis results of Myongli Science characteristics on Holland's vocational aptitude revealed in previous papers and whether they were consistent with the Myeongli Science characteristics of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Ilgan(日干)’, applies ‘Sipsung(十星)’ and ‘Gyeokguk(格局)’ between career interest exploration search results of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innate vocational aptitude of Myeongli Science was compared.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rovide systematic job information by using the advantages of the two theories by identifying job aptitude interests early in elementary school, and it was confirmed again that the case analysis of Holland's job aptitude was complex and organically correlated. However, none of the Holland vocational interest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enterprising’ and ‘conventional’ types were found in the test results, which seems to reflect the fact that the values were not established.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career, interest, and job search and reputational innate occupational aptitude will be analyzed early, which can be beneficial for students' career choices.

      • KCI등재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와 희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임정하(Lim, Jungha),김경민(Kim, Kyungmin),송지은(Song, Jieun),나윤경(Na, Yunkyeong),Tan Mei Xi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와 희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울, 경기 소재 5개 중?고등학교 학생 4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본심리욕구 및 희망과 학교적응 수준은 자기보고식 질문지법을 이용해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t-검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 희망과 학교적응에서 학교급별 차이가 나타나 중학생들이 고등학생들보다 기본심리욕구, 희망과 학교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학교적응은 기본심리욕구 및 희망과 정적 관련성이 있었다. 셋째, 희망은 기본심리욕구와 학교적응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즉,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는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희망을 통해 학교적응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본심리욕구와 학교적응의 하위요인인 학교공부에 대한 적응, 학교교사에 대한 적응,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과의 관계를 희망이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하지만 기본심리욕구와 학교친구에 대한 적응과의 관계에서는 희망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제공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hopes on the school adjustment levels of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made up of 45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Seoul and Gyeongi area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students reported greater basic psychological needs, hopes and school adjustment levels than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 school adjustment levels of these adolescent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hopes. Third, hope was found to play a partially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the levels of school adjustment exhibited by the adolescents in this stud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chool adjustment levels of adolescents could be improved by the fulfillmen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ho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