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아 급성 천식의 치료에서 베타 자극제와 스테로이드제에 추가된 정맥 투여 아미노필린의 효능

        나영호(Young Ho Rah),배종우(Chong Woo Bae),정사준(Sa Jun Chung),최용묵(Yong Mook Choi)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8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8 No.1

        목 적 : Methylxanthine제의 기관지 확장제인 아미노필린 정맥주사는 그 효능에 대한 근거가 적고 유효 치료 범위가 매우 즘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오래 전부터 홉입 베타 자극제와 함께 천식의 급성 악화 환자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 급성 천식 상태에서 적절한 베타 자극제에 추가된 아미노필린의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시행되었으며 여러 연구 결과에 의해서 정맥용 아미노필린의 추가 투여가 아무런 유용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사실이 제시되었다. 이에 본 저자들은 흡입용 베타 자극제와 부신피질 스테로이드의 정맥 투여에 추가된 정맥용 아미노필린의 효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대상은 1996년 3월부터 1997년 9월까지 18계월동안 경회의대 부속병원 소아과에 급성 기관지천식 발작으로 입원한 만 5세부터 15세까지의 환아 30명을 선정하여 아미노필린을 투여받는 군(아미노필린군, n=15)과 투여받지 않는 군(대조군, n=15)으로 나누었다. 두군 모두 전 입원기간을 통해서 흡입용 albuterol과 정맥으로 methylprednisolone을 투여받았으며 아미노필린군은 정맥용 아미노필린을 추가로 투여받았다. 치료에 따른 효능의 평가는 입원기간, 최대호기속도(PEFR), 천식 증상점수 등을 근거로 하였으며 각 변수에 대해서 Student t-test와 chi-square 분석을 통해서 통계 처리하였다. 결 과 : 아미노필린군과 대조군의 연령, 성비, 치료 전에 측정한 PEFR의 정상추정치에 대한 백분을, 천식 중상점수(asthma symptom score) 및 심박수에서는 두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군의 치료에 따른 결과 변수 비교에서 아미노괼린군과 대조군의 입원기 간은 각각 5.1±1.0일과 5.3±1.2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아미노필린군과 대조군에서 치료 전과 치료 후 24시간의 중상점수 차이는 각각 2.0±1.1점과 1.9±0.9점으로 두군 모두에서 치료후 24시간에 치료전 비해서 증상점수의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으나 두군 사이 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EFR의 정상 추정치에 대한 백분을의 평균치는 아미노필린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치료후 12시간에 54그雲4%와 53±19%, 24시간에 58±15%와 60±20%, 48시간에 64±25%와 66±23%, 최종 측정치는 78±30%과 82±28%로 24시간 이후부터는 기저치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그러나 연구 기간의 어떤 시점에서도 두 군간에 PEFR의 정상 추정치에 대한 백분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Albuterol 분무 치료 24시간 동안의 albuterol 투여 횟수는 아미노필련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4.5±0.8회와 4.4±0.6회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아미노필린군의 평균 혈중 theophylline 농도는 10.2±1.7㎍/mL이었다. 부작용은 아미노필린군에서 더 흔하였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구역(nausea) 및 구토 중상이 아미노필린군에서 가장 흔하였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급성 천식 발작으로 입원한 경증 및 중둥중 환아의 치료에서의 베타 자극제의 흡입과 전신 스테로이드 투여에 정맥내 아미노필린을 추가로 투여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효과의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으며 중종의 급성 천식환자에서 아미노필린의 정맥내 투여로 이점을 기대할 수 있을 지에 대한 결정을 위해서 향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o determine if intravenous aminophylline adds any efficacy to nebulized albuterol and intravenously administered corticosteroid in children who hospitalized with mild to moderate asthma. Method : Subjects were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5 and 15 years admitted of acute asthma attack to Department of Pediatrics,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All patient received therapy with albuterol delivered with nebulization at 4-6 hour interval and intravenously adminstered methylprednisolone in standardized doses. Thirty patients were recruited to receive either an intravenous aminophylline(n=15) or not(n=15). The outcome variables were:duration of hospitalization, percent of predicted peak expiratory flow rates recorded at 12-hour intervals and side effects. When intravenously administered medications were discontinued, therapy continued with oral administration of theophylline. Twice daily assessments of clinical asthma symptoms were made by using a scoring system consisting of respiratory rate, wheeze and accessory muscle use. Results :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 study entry in age, sex, race, number of previous hospital admission, clinical symptom scores, or initial peak flow rates ` for the two groups. 2) Fifteen patients in the aminophylline group were hospitalized for an mean duration of 5.1 1.0 days, whereas 15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required 5.3 1.2 day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3) There was no differences in the absolute changes in their scores two scoring intervals(at 24 hours) between the two groups. 4) The two groups showed no differences in measurements of peak expiratory flow rates at any time interval and at the end of treatment. 5) The mean theophylline level for aminophylline group was 10.2 1.7 ㎍/mL. 6) In the aminophylline group, 6 of 15 patients who entered the study experienced adverse effects consisting of nausea/vomiting, abdominal pain, and irritability. Five of 15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had an adverse effec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for incidence of adverse effects 7)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for amount of albuterol therapy required. Conclusion : When the combination of systemically administered corticosteroid and inhaled albuterol is used in hospitalized asthmatic children with mild to moderate asthma, addition of theophylline provided no additional benefit.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evaluate if patients with more severe asthma exacerbation benefit for the use of intraveously administered aminophylline.

      • 최대호기속도 측정에서 Mini Wright Peak Flow Meter와 Microplns Pocket Spirometer의 비교

        나영호,배종우,정사준 대한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9 No.2

        목 적 : 최대호기속도(peak expiratory flow rate PEFR)와 같은 간단한 폐기능 측정은 기도폐쇄 정도의 평가와 천식 환자의 감시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기관지천식 환자에서 반복적으로 측정된 PEFR치는 환자의 경과를 관찰하는데 객관적인 지표로서 그 가치가 높다. PEFR 측정에는 mini-Wright peak flow meter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PEFR 이외에 FEV_1 및 FVC를 측정할 수 있는 Microplus pocket spirometer도 사용되고 있는 바, 본 연구자들은 PEFR 측정에 있어서 신뢰도가 검증된 mini-Wright peak flow meter와 Microplus pocket spirometer를 비교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연구 대상은 건강한 11-12세의 초등학생 80명(남아 37명, 여아43명)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조사 당시에 상기도 감염이나 기도 폐쇄 소견이 없었다. PEFR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mini-Wright peak flow meter(Clemente Clark, UK)와 Microplus pocket spirometer(Micro Medical, Ltd. UK)를 임의의 순서로 사용하여 각각 3회 측정하였다. 두 기구에 의한 각각의 PEFR 측정치간의 일치성(95% limits of agreement)과 각 기구에 의한 측정치의 재현성(repeatability coefficient)을 Bland와 Altman에 의해서 고안된 통계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1) 76명(95%)에서 Microplus pocket spirometer가 mini-Wright Beak flow meter보다 낮은 PEFR치를 나타냈다. 2) 두 기구의 PEFR 측정치의 95% limits of agreement는 2.7 L/min에서 144.3 L/min으로 차이범위가 넓었으며 측정치의 최대차이는 141.6 L/min 이었다. 3) mini-Wright peak flow meter와 Microplus pocket spirometer로 측정한 PEFR의 측정치의 재현성(reproducibility)을 나타내는 repeatability coefficient는 각각 27 L/min과 33.5 L/min로 Microplus pocket spirometer에서 높았다. 4) 두 기구의 사용 순서나 성별에 따른 PEFR 측정치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Microplus pocket spirometer는 mini-Wright peak flow meter와 PEFR 측정치의 비교에서 유사한 재현성을 보였으나 넓은 95% limit of agreement를 나타내어 두 기구간에 낮은 일치성을 보였다. 따라서 PEFR 측정에 의한 주기적인 폐기능의 감시에는 같은 기기를 계속 사용하는 것이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폐기능 수치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Peak expiratory flow rate(PEFR) monitor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iagnosis of airway obstruction and management of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This study compared the PEFR taken by a Microplus pocket spirometer and mini-Wright peak flow meter by assessing the extent of agreement between the instruments and the repeatability of measurements with each instrument. Methods : Eighty healthy children(age 11-12 years, 43 females, 37 males) performed three PEFR maneuvers on the Microplus pocket spirometer and on the mini-Wright peak flow meter in a random order. Agreement and reproducibility between the two instruments were assessed by the statistical methods proposed by Bland and Altman. Results : Seventy six(95%) of the PEFR taken by the mini-Wright peak flow meter were higher than that of Microplus pocket spirometer. The 95% limits of agreements(mean difference±2SD) between each instrument were very wide(2.7 to 144.3 L/min). The repeatability coefficient for the mini-Wright peak flow meter was 27 L/min and for the Microplus pocket spirometer was 33.5 L/min. Analysis by sex and order of usag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 The limit of agreement between the Microplus pocket spirometers and the mini-Wright peak flow meter was too wide to use interchangeably.

      • 학동전 정상 소아에서 연령별 혈청 총 IgE 집먼지진드기 특이 IgE 및 ECP 치에 관한 전국적 조사 연구

        이하백,박규창,양승,김용주,오재원,문수지,나영호,안영민,최재경,김광우,이승재,한동기,박진녕 대한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9 No.2

        목 적 : 혈청 총 IgE와 알레르겐 특이 IgE는 알레르기 질환의 진단을 위한 초기검사 방법의 하나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가장 주요한 알레르겐인 집먼지진드기(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 Dp, D.farinae :Df)는 조기 노출 및 감작에 의하여 천식, 비염 및 아토피 피부염의 발병 가능성을 높여 주고 있기 때문에 자주 검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한편, 알레르기 염증에 관여하는 호산구의 생산물인 eosinophil cationic protein(ECP)는 기관지 상피세포 손상, 기관지 염종 및 기관지 과민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진 후 혈청내 ECP 측정의 임상 응용이 활발하다. 본 연구는 학동기전 정상 소아에서 혈청 총 IgE 및 집먼지진드기 특이 IgE 및 ECP의 국내 정상참고치를 제시함으로써 알레르기질환의 진단에 필요한 기본적인 자료를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6년 5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서울, 경기, 강원, 경북, 전남 등 진국 5개 지역에서 무작위로 선정되고 그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9개 병원의 육아상담실에 내원한 그리고 보육기관에서 거주하면서 발열이나 상기도 감염 및 알레르기질환의 과거력과 가족력이 없는 7세 미만의 건강한 소아 4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로 부터 각각 말초 정맥혈을 채취 후, 원심분리하여 -20℃에서 냉동 보관 후 혈청 총 IgE, Dp-lgE, Df-IgE 및 ECP치를 fluoroimmunoassay(UniCAP, Pharmacia-Upjohn, Sweden)로 측정하고, 그 각각의 결과에서 기하평균과 신뢰구간을 구하여 분석 평가하였다. 결 과 : 1) 연령별 혈청 충 IgE는 출생 후 4새까지 서서히 증가하다가 이후에 완만한 커브를 나타내었다. 2) 혈청 집먼지진드기 특이 IgE(Dp-IgE와 Df-IgE) 치는 3세 이후 특히 남아에서 나이가 들면서 학동기까지 각각 서서히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3) 혈청 ECP치는 출생 후 4세까지 점차적으로 증가한 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4) 혈청 총 IgE, Dp-IgE와 Df-IgE 및 ECP치는 남아와 여아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5) 혈청 총 IgE, Dp-IgE와 Df-IgE 및 ECP치의 지역별 차이를 보면 Dp-IgE와 Df-IgE가 도시 지역에서 해안에 가까운 기타 도시 지역보다 다소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6) 혈청 총 IgE, Dp-IgE와 Df-IgE 및 ECP치 사이의 상관성을 보면 총 IgE와 Dp-IgE(r=0.321, P<0.001) 및 Df-IgE(r=0.324, P<0.001) 그리고 Dp-IgE와 Df-IgE(r=0.943, P<0.001) 사이에 각각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ECP치와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결 론 : 혈청 총 IgE 및 ECP치는 4세 전후에 그리고 집먼지진드기 특이 IgE는 3세 이후에 증가를 시작하는 것으로 미루어 조기 감작의 예방이 필요하며, 본 연구 결과는 학동전 소아의 정상 참고치로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use : Serum IgE have been shown to be related to allergic disease and used for an initial diagnosis of allergic diseases. House dust mite such as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Dp) and D. farinae(Df) is very important for inhalant allergens, which may be a cause and/or triggering factor of atopic diseases. On the other hand,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causes epithelial damages of the airway, and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has been used as a useful indication of allergic inflammation. To date,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longitudinal patterns of total and inhalant allergen-specific IgE, and ECP in normal children in Korea.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ference levels of serum total and Dp- and Df-specific IgE and ECP in healthy children under 7 years of age by the groups of different age and gender. Methods : Total, and Dp- and Df-specific IgE and ECP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fluoroimmunoassay(UniCAP, Pharmacia-UpJohn, Sweden) in serum from 449 healthy children under 7 years of age by using a population-based cohort followed from 1996 through 1997. All subjects were enrolled from eight large health organizations in geographically defined area such as Seoul and four local cities. Results : Serum total IgE concentration showed steady increase with age from birth to 4 years, and a plateau. In contrast, Dp- and Df-IgE levels showed apparently continuous increments after 4 years of age. ECP showed variable increase until 4 years of age and slow decrease afterward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ose results by gender and/or the living area, but much higher increments of Dp- and Df-IgE of boys from 3 years of age through 6 years were found. Conclusion : We found feasible results of total, Dp- and Df-specific IgE, and ECP in serum from healthy children under seven years of age, which may be useful for a re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