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검정제도 시행에 따른 초등사회과 교과서 구성체계 및 내용변화 양상 분석 : 2022년 적용 예정인 초등사회과 3-4학년군 검정 교과서를 중심으로

        나경훈 ( Na¸ Kyunghu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검정제도 시행에 따라 2022년에 처음으로 적용 예정인 초등사회과 검정교과서의 구성체계와 내용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심의를 거쳐 초등사회과 검정 교과서로 합격한 11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체계의 내용 조직 측면에서는 큰 변화를 찾기 어려웠다. 둘째, 구성체계의 내용 전개 방식에서는 일관성에서 벗어나 교과서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구성체계의 활동 구성 부분에서는 학생들의 흥미를 끌고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다양한 활동 자료를 제공하고자 노력하였다. 넷째, 교과서의 내용변화 측면에서는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검정 교과서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초등교사들이 교과서를 판단할 수 있는 분석 기준을 공유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연수를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내용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탈피하여 국가 수준 교육과정 구속력을 낮추어야 한다. 셋째, 만들어가는 교과서로서 교과서 수정·보완 시스템이 확충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nit framework and content change aspect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authorized textbooks that will be applied, for the first time in 2022,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authorization system. For this purpose, 11 types of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were analyzed after deliberation by th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difficult to show a significant change as part of content organization of the unit framework. Second, the content development method of unit framework deviated from consistency and showed differences between textbooks. Third, in the activity composition part of the unit framework, it tried to attract students' interest and provide various activity materials capable of self-directed learning. Fourth, in part of changes in the contents of textbooks, it was difficult to present a new alternative that could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urriculum.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authorized textbooks in the future. First, it is necessary to share the analysis criteria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judge textbooks and expand the training programs to utilize them. Second,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binding force of the national curriculum away from the content-based curriculum. Third, the textbook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system should be expanded as a textbook to be made.

      • KCI등재

        학교사를 활용한 구술사 활동의 실제 : 진위초등학교 학생들의 ‘진위를 기억하고, 기록하다

        나경훈(KyungHun Na)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3 사회과수업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학교사를 활용한 구술사 활동의 실제를 밝히고 초등역사 학습 방법론으로서 구술사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평택 최초의 공립학교인 진위초등학교의 역사를 바탕으로 진위초 학생들이 구술사학습을 실행한 과정과 결과를 반추하였다. 진위초등학교의 역사를 복합적으로 기록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령대의 진위초등학교 졸업생을 연구 참여자로 설정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인터뷰하여 채록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학생들은 구술사 활동을 실행하면서 교과서 안의 역사적 사실을 그대로 수용하는 입장에서 벗어나, 주체적으로 역사를 생산하는 활동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역사 방법론의 하나로서 구술사하기를 실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구술사 활동을 위해서는 초등교과 내 사회과뿐만 아니라 타 교과와의 연계가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에서 구술사의 주제는 넓게 펼치기보다 좁혀서 초점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과정 내 학습 주제로부터 구술사 주제가 도출될 필요가 있다. 넷째, 구술사 활동 사후 처리 과정에서 교차검토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reality of the oral history activities using the school histor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earch the possibility of it as a learning methodology.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history of Jinwi Elementary School, the first public school in Pyeongtaek, the process and results of Jinwi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plementing the oral method were reflected. In order to record the history of Jinwi Elementary School in combination, graduates of Jinwi Elementary School of various age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the recorded results are summarized by interviewing them. While implementing oral history activities, students went away from accepting the historical facts in textbooks as they were, and experienced the activity of producing history independen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realize doing-oral history as one of the elementary history methodologies. First, for oral history activities, linkage with other subjects as well as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 subjects must be accompanied necessarily. Second, the subject of oral history in elementary school needs to be narrowed and focused rather than unfolded widely. Third, it needs to be derived oral history topics from learning topics in the curriculum. Fourth, a cross-review must be conducted in the process of post-processing of oral activities.

      • KCI등재

        한국과 호주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비교를 통한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통합 방식 탐색

        나경훈 ( Na Kyunghu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4 초등교육연구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통합 방식에 대한 시사점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에 개정된 우리나라 2022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과 호주 HASS 교육과정 통합 방식을 비교하였고, 양국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들여다보았다. 분석 결과 2022 개정 초등사회과 교육과정은 학문 영역 중심의 다학문적 통합 형식이 짙었다면, HASS 교육과정은 학년별 대주제 중심의 통합 방식을 지향하며 간학문적 통합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 간의 경계넘기가 활발한 초등교육 내에서 우리나라 초등사회과 교육과정 통합 방식에 대한 실질적인 과제를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문서는 학문 영역 중심이 아닌, 학년별 대주재 중심으로 편제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학년별 공통 내용(소재)을 찾아 주제를 추출할 것이 아니라, 핵심 개념을 바탕으로 서로 연계할 수 있는 주제를 추출하는 것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과의 공통 기능을 정선하고, 타 교과의 기능 수준과 연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integration method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Korea through comparison of foreign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his study, we compared the recently revised 2022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tegration method in Korea with the Australian HASS curriculum, and explor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imed at multi-disciplinary centered on academic fields, and the HASS curriculum aimed at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centered on major topics by grade.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actical tasks for the integration method of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Korea within elementary education that crosses the boundaries between subjects were discussed as follows. First, curriculum documents need to be organized by major topics for each grade rather than disciplinary area-centered. Second, it is necessary to select a topic that can be linked to each other based on core concepts, rather than to select a topic by finding common content for each grade. Third,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the common functions of social studies and link them with the functional level of other su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