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안 백석동 청동기시대 취락의 편년과 구조

        나건주,안성태,배상훈 한국문화유산협회 2011 야외고고학 Vol.0 No.10

        천안 백석동 유적에서는 한반도 중서부지역에서 가장 규모가 큰 청동기시대 취락이 확인되었다. 유적이 위치하는 아산만지역은 역삼동ㆍ흔암리유형 유적들이 밀집되어 분포 하고 있다. 아산만지역 중에서도 백석동 유적이 위치하는 곡교천유역 일대는 그 분포밀도가 가장 높은 곳에 해당한다. 여러 유적들 중에서도 백석동 취락은 존속기간이 가장 길었을 것 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시간에 따른 물질문화의 변화상과 함께 취락의 발달 과정을 파악하는 데에 있어 매우 양호한 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고의 목적은 천안 백석동 청동기시대 취락의 양호한 연구조건을 토대로, 유적의 정확한 시간적 위치와 그에 따른 물질 문화의 특징과 변화상을 파악하고, 취락의 형성과 소멸과정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백석동 유적의 편년은 발형토기의 구연부 형태분류를 통해 3시기로 구분하였다. 시기별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1期주거지의 분포는 구릉의 능선을 따라 線狀으로 배치되었다. 각각의 주거지는 독립적인 생활을 영위했던 것으로 보이며, 상호간에 관계는 병렬적이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2期에는 전단계에 점유되지 않았던 공간을 확보하여 주거지들이 조성되었다. 1期와 큰 구조적인 변화는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3期에 이르러 주거지 수가 급격히 증가 하게 되며, 일정공간에 군집되어 하나의 주거군을 형성하게 된다. 각각의 주거군은 입지 조건, 주거지 숫자, 주거지 구성 내용에서 차이를 보였다. 중핵적 주거군이 취락의 핵심지역에 위치하고, 그 주변부에 중ㆍ소규모의 주거군이 분포하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이후 백석동 취락은 청동기시대 중기에 이르러 소멸되는 양상을 보인다. 소멸원인은 논농 사에 적합한 지형적 경관을 갖춘 지역으로 취락구성원들이 이동해간 것으로 파악하였다. The largest Bronze Age settlement of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confirmed at the site of Baekseok-dong, in Cheonan. In the the Asan Bay area, where the site is found, sites of the Yeoksam-dong and Heunam-ri type are found densely distributed. Within the Asan Bay area, the Gokgyocheon region, where the site of Baekseok-dong is located,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distribution density. Of the numerous sites, it is assumed that the Baekseok-dong settlement had the longest period of existence.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site provides outstanding conditions in which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settlement, as well as the diachronic change in its material culture may be observe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more accurate spatial and temporal information on the site, as well as to bett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material culture from the site, based on pre-existing research. It also aims to present an account on the formation and extinction process of the settlement. Prior to undertaking the analysis, the chronology of the site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based on the analysis of pottery types. In the first period, the houses were arranged linearly along the ridge. Each residence maintained an independent living and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sidences is assumed to have been parallel. During the second period, the space which had not been occupied in the previous period was utilized in building the houses. There was not much structural change from the first period. In the third period, the number of houses increased dramatically and intensification occurred in certain spaces to form dwelling groups. Each dwelling group has certain differences in terms of location, the number of houses, and the contents of the residences. The dwelling group which formed the nucleus of the settlement was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settlement, with mid-sized to small-sized houses distributed around it. fterwards, the Baekseok-dong settlement came to be abandoned in the middle of the Bronze Age. The cause of this extinction of settlement was the movement of its members into areas which had more appropriate geographical features for rice paddy fields.

      • KCI등재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의 구조와 성장 : 충청지역 자료를 중심으로

        나건주 한국청동기학회 2014 한국청동기학보 Vol.15 No.-

        청동기시대 전기 취락의 구조와 변화과정을 통해 당시 취락사회의 성장과 그 배경에 대해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전기의 이른 단계에 소규모 취락단위로 이주해온 집단은 대규모 노동력을 필요치 않는 화전과 같은 농경방식으로 생계를 꾸려나갔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후 안정적으로 취락을 유지하고 자원예측성을 높이기 위해서 농경에 대한 의존도가 강화되고, 그에 따라 취락의 규모가 확대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아산만지역의 전기 유적에서 확인되는 탄화미 등의 자료로 보아, 당시에 벼재배는일반적 현상으로 생각된다. 천안 백석동 취락의 규모와 구조로 볼 때 수전의 경영도 가능하지 않았을까 추정해 보았다. 당시의 소규모 취락의 경우, 주변의 취락사회와의 관련 없이 단독으로 영속하기 어려웠을 것이며,주변의 취락사회와의 상호관련성을 유지하기 위한 네트워크가 형성되었을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을것이다. 또한 취락사회의 안정을 얻고 생태적·사회적 압력을 극복하기 위해 개별 취락조직의 확대를꾀하였을 것으로 보았다. 이렇게 형성된 대형취락들은, 일정한 공간적 거리를 두고 분포하는데, 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growth and its background of the then settlement societyin the early bronze age. It is thought that the immigrant group, who moved to a small scale settlement unit in an earlystage of the bronze age, earned a livelihood by farming method like slash-and-burn farming thatobviated large-scale labor force. It's presumed that afterwards, in an effort to maintain a settlement stably and enhance resourcespredictability, reliance on farming came to be intensified, and accordingly, the size of a settlementmight have been expanded. Judging from the data like carbonized rice which is identified in theearly ruins of the bronze age in Asan Bay area, the then rice cropping is thought to be a generalphenomenon. In the light of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settlement at Baeseok-dong, Cheonan, this studypresumed that it might have been possible to manage a rice paddy with water as well. In the case of the then small-scale settlement, it might have been difficult to continue to existpermanently single-handedly without having to do with its neighboring settlement society.Nevertheless, it might be possible to taking into account the possibility of network formation formaintaining interrelationship with its neighboring settlement society. In addition, this study madea guess that people in the early bronze age might have obtained stability of settlement societyand attempted at expansion of individual settlement organizations in order to overcomeecological, social pressure. The large settlements formed like this pattern were distributed at acertain spatial distance, which, this study presumed, might have been attributable to asocioeconomic factor.

      • KCI등재

        9세기 중반 淸海鎭 勢力의 分裂과 日本의 新羅政策 變化

        나건주 백산학회 2023 白山學報 Vol.- No.125

        This article attempt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ile group that occurred in the Cheonghaejin division and the change in Japan's Silla policy in the first half of the 9th century. In the first half of the 9th century, the Cheonghaejin forces, which led the trade between Silla and Japan, divided, resulting in exile. Japan, which needed the help of Shin-line for foreign exchange until the 830s, established a response system by deploying interpreters and overhauling the trade system to prepare for Shin-line's arrival. However, as Cheonghaejin was divided after Jang Bogo's death, the possibility of the exile group entering Japan was suggested, Japan's Silla policy gradually began to change. In Japan, it was intended to prevent Sinline from entering the country and to prevent exchanges between Sinline and the Japanese by excluding Silla merchants from the management trade system. In addition, military defense was strengthened on Daemado Island to prepare for invasion from Silla. These changes seem to reflect the vigilance against the entry of Cheonghaejin exile forces, which were independent military and political groups at the time. Doyle of Cheonghaejin exile forces could have caused the possibility of domestic military and political disputes due to pirated coastal looting of Cheonghaejin forces, governance confusion caused by collusion with local forces, and settlement of military groups. Therefore, the Japanese ruling class was wary of the Qinghai power's Doyle and exile, which is thought to have led to Japan's Silla policy in the mid-9th century to strengthen its exclusive military boundaries.

      • KCI등재

        공주 금성동 유적 조사 개보

        나건주,권송희 한국청동기학회 2019 한국청동기학보 Vol.24 No.-

        공주 금성동 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 지석묘 5기, 백제시대 주거지 2기·수혈군 1개소, 통일신라시대의 주거지 1기·석렬유구 3기·수혈 2기, 조선시대 수혈 1기, 일제강점기 이후 우물 1기 등 여러 시기에 걸쳐 다양한 성격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공주 금성동 유적에서 조사된 청동기시대의 지석묘는 묘역이라고 특정지을 만한 매장주체부 주위 구획석들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 점에서 기존의 묘역 지석묘와 차이를 보이며, 묘역을 표시한다기 보다는 매장주체부 주위와 개석 상부에까지 흡사 봉토분의 분(墳)과 같이 적석을 높게 쌓아 묘를 축조하는 점에서 가장 큰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차이점이 기존의 청동기시대 제 묘제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판단된다. 금번 조사에서 확인된 지석묘들은 단독으로 조성된 예도 있지만, 3기 이상의 묘가 서로 연접된 형태를 취한 예도 확인되어서 당시의 묘제 발달과 사회 구조의 변화를 추적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

      • KCI등재

        송국리유형 형성과정에 대한 검토

        나건주(Na, Geon ju) 중부고고학회 2009 고고학 Vol.8 No.1

        서울·경기지역에서 송국리유형과 관련된 자료들은 안성천 수계 내에서 확인되고 있다. 안성천은 곡교천·삽교천과 함께 아산만을 통해 서해로 유입되는 하천으로, 이들 하천들이 분포하는 지역들은 지리적으로 하나의 권역인 아산만지역으로 통칭할수 있다. 경기남부와 충청북부에서 확인되는 유적들은 동일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아산만지역으로 통합하여 자료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전기 말에는 주거지가 소형화되고 취락의 존속기간도 길어지며, 주거지의 구조도 반송리식이라는 과도기적인 단계를 거쳐 휴암리식 주거지가 형성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송리식 주거지의 분포는 아산만지역을 벗어나서 해안지역으로 가면서 그 빈도가 약해지는데 반해서,휴암리식은 당진,서산지역을지나 보령,서천지역에서 높은 빈도를 보이며 취락의 규모도 커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전기말 소형화된 주거지에 구심구조가 채택되며,반송리식을 거쳐 완성된 휴암리식 주거지가 서해안을 통해 금강유역으로 확산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후 휴임 리식은 평면형태가 원형으로 바뀌며 송국리식 주거지로 완성된다. 송국리식 주거지의 분포는 서천과 부여지역,대전과 청주지역 등금강 중·하류역에 집중되고 있다. 이는 전기 단계 곡교천변에 밀집되었던 인구가 중기에는 금강유역으로 대거 이동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 원인은 수도농경에 유리한 경관을 갖춘 지형이 집중 분포하는 지역으로 인구가 옮겨간 것으로 판단된다. The data related to Songguk-ri assemblages are being identified at the Anseong Stream water system in Seoul & Gyeonggi district, The Anseong Stream is a river flowing into thewest sea through Asan Bay together with the Gokgyo Stream and Sapgyo Stream and the districts where these streams are distributed are named Asan Bay district as one area geographically. The relics identified in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do and northern pan of Chungcheong-do are judged to have a similar character and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ed data by integrati.ng these areas into Asan Bay district. As a result, this research discovered that a Hyuamri-typed settlement formed by way of the transitional stage of a Bansong-ri type in a settlement structure with the occurrence of settlement miniaturization and intensification of sedentary efficiency in a settlement at the latter period of the former Bronze Age. The distribution of Bansong-ri-typed settlements was found to be lower in its frequency in the west coastal areas away from Asan Bay district while Hyuamri-typed settlements showed a higher frequency at Boryeong and Seocheon districts past Dangjin and Seosan districts and the size of a settlement was also identified to be bigger. This research understood such a phenomenon as the facts as follows: 1] main structure was adopted into a miniaturized settlement followed by the intensification of sedentary efficiency in a settlement which occurredduring the latter period of the former Bronze Age 2] mere showed the completion of the Hyuamri-typed settlement by way of the transitional stage of Bansongri-type 3] Afterwards, the Hyuamri-type settlement' was expanded into the Geumgan Basin by way of the west coast. The distribution of the Songguk-ri-ryped settlement was centered on the mid-stream & downstream areas of the Geumgang, such as Seocheon & Buyeo districts, Daejeon and Cheongju districts, etc., which fact could be explained by presumption that the population, who densely habited along me Gokgyo Stream during the former period of the Bronze Age, massively moved to the Geumgan Basin during the mid-period of the Bronze Age. It's because the population moved to a district where geographical Features equipped with scenes advantageous to water-field rice plant farming, this res arch judges.

      • 아산 시전리 유적 출토 옥기(천하석)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산지 해석

        이찬희,김재철,나건주,김명진 국립문화재연구원 2006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39 No.-

        충남 아산시 시전리 유적에서 출토된 옥기를 대상으로 고고과학적 측면에서 재질분석 및 원료산지를 해석하였다. 시전리 유적은 북쪽에 평야와 하천이 발달된 남쪽의 구릉에 위치한다. 이 지역의 지질은 선캠브리아기의 변성퇴 적암류인 편암 복합체가 주류를 이루며 충적층이 넓게 분포한다. 이 유적의 청동기시대 4호 원형 주거지에서 한 점의 천하석제 옥기가 출토되었다. 이 옥기는 곡옥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담녹색에 쪼개짐이 발달된 특징을 보인다. 또한 유리광택에 백색 조흔을 보이며 미세벽개 및 쌍정을 갖는 주상 형태의 규산염광물이다. 다각적인 정량분석 결과,이 옥기는 광물학적으로 조장석과 정장석이 공생하는 미사장석이며,보석학적으로는 천하석 또는 아마조나이트(amazonite)로 불리는 장석군 광물로 동정되었다. 이 천하석제 옥기의 내부조직은 Na-단종인 조장석과 K-단종인 정장석이 벽개와 쌍정을 따라 수 興의 폭으로 교대조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정장석 내부는 K20의 함량에 따라 교호성장 조직 을 형성 하였다. 따라서 이 천하석은 Na와 K가 상호 치환과 교대 작용에 의하여 미사장석이 라는 하나의 광물상을 이룬 것이 다. 남한에서 천하석의 원산지는 충북 단양이 유일하며,시전리 유적과 가장 근접한 미사장석 산지로는 공주시 장기면이 알려져 있다. 한편 청동기시대 천하석제 옥기가 다량 출토된 지역은 경남 서부 및 전남 동부의 남해안 연변으로서,이 지역에서도 천하석의 원료가 될 만한 원광석의 산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일반적으로 청동기시대 천하석제 식옥은 부장품으로 출토되지만,시전리 유적에서는 옥기의 생산 및 가공흔적을 찾아볼 수 없고 유일하게 한 점이 주거 지에서 수습된 것으로 볼 때,시전리에 옥기 원료의 산지가 있거나 공방이 있었을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따라서 이 옥기의 원산지와 유입경로 및 제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고고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Quantitative analysis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the raw materials for the jade (amazonite) excavated from the Asan Sijeonri site were studied. Geology of the Sijeonri site composed mainly of Precambrian metasedimentary rocks and the alluvium ranges extensively. In the site, amazonite jade was excavated in the Bronze Age No. 4 circular-shaped resident site. The jade has a comma-shaped and shows light green color with so much cracks. The jade is silicate mineral of columnar habits that is shown white streak, and has fine cleavages with vitreous luster. As the analytical results, this jade was identified as a feldspar-group mineral gemologically called amazonite that is mineralogically microcline formed to intergrowth of albite and orthoclase. Internal textures of the amazonite present Na-end member of albite coexisting with K-end member of orthoclase that are replaced each other along the cleavages and twin planes with several um scales. Therefore, the amazonite is one mineral phase combined with albite and orthoclase by substitution of Na2O and K2O, respectively. The Danyang are is an unique producing site of amazonite in South Korea, and Gongju Janggimyeon was known as microcline provenance to the utmost area from the Sijeonri site. In the marginal area of southern coast in Korean Peninsula, Bronze Age amazonite has been excavated in several sites, where original provenance of the raw amazonite is not identified. The Sijeonri site does not show any facilities of producing and processing traces for amazonite jade. Also, only one jade was collected in the Sijeonri site. Therefore, there is not possibility that the provenance of raw jade is the Sijeonri area. To explain original provenance of the amazonite jade, migration path, manufacturing process and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are required.

      • KCI등재

        한반도 중서부 출토 일부 고대 세라믹 유물의 제작기술 해석 : 예비 연구

        이찬희,진홍주,최지수,나건주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6 보존과학회지 Vol.32 No.2

        차령산맥 남북의 7개 유적에서 신석기시대 빗살무늬 토기부터 조선시대 백자까지 시대적으로 일부 시료를 선별하여 물리화학적 및 광물학적 정량분석을 통해 고대 세라믹의 제작기술과 특성을 해석하였다. 연구대상 선사시대 토기는 연질에 테쌓기한 흔적이 나타나며, 삼국시대 토기는 연질과 경질이 공존하나 자비와 저장용기는 모두 테쌓기한 반면 배식기는 물레성형하였다. 태토의 정선도가 높은 삼국시대 이후 토기와 달리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토기는 사질태토에 높은 광물 함량을 보이며, 태토보다 큰 비짐이 다량 확인된다. 청자와 백자 기질에서는 일차광물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나 고온생성 광물의 함량이 높게 동정되었다. 분석시료들은 시기에 관계없이 유적에 따라 주성분 및 미량원소에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지구화학적 거동특성도 거의 동일하여 태토의 기본적 성질은 유사한 것을 지시한다. 작열감량은 0.01∼12.59wt.% 범위를 보여 편차가 크나, 선사시대에서 삼국시대로 가며 급격히 감소한다. 이들은 소성에 따른 중량감소율과 관련이 있으며, 태토의 소성도와 고온생성 광물의 검출 함량에 따라 5그룹의 추정 소성온도로 분류된다.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토기는 모두 750∼850℃ 그룹에 속하고, 삼국시대 토기는 750∼1,100℃의 소성온도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인되며, 청자와 백자는 1,150~1,250℃의 고온에서 소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제작시기에 따른 태토의 정선도와 소성온도 차이는 제작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원료수급과 소성방식이 변화된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같은 시기에도 제작방법에 차이를 보이기도 하여, 단순히 한 방향으로 진화된 발전보다는 사용 목적과 필요에 따라 활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Some ceramic artifacts representing time-wise from comb pattern pottery in the Neolithic Age to white porcelain in Joseon Dynasty were selected from 7 sites in the north and south area of Charyeong Mountain Range in order to making techniques interpret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ancient ceramics through physicochemical and mineralogical quantitative analysis. Studied pottery samples in the Prehistoric times showed trace of ring piling in soft-type, and pottery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had both soft and hard-type but kettle-ware and storage-ware were made with ring piling, but table-ware was made by wheel spinning. Different from pottery after the Three KingdomPeriod when refinement of source clay was high, pottery in the Neolithic Age and in the Bronze Age exhibited highly mineral content in sandy source clay, which showed a lot of larger temper than source clay. Groundmass of celadon and white porcelain almost did not reveal primary minerals but had high content of minerals by high temperature firing. Ceramic samples showed some different in major and minor elements according to sites irrespective of times. Geochemical behaviors are very similar indicating similar basic characteristics of source clay. However, loss-on-ignition showed 0.01 to 12.59wt.% range with a large deviation but it rapidly decreased moving from the Prehistoric times to the Three Kingdom Period. They have correlation with the weight loss due to firings, according to burning degree of source clay and detection of high temperature minerals, estimated firing temperatures are classified into 5 groups. Pottery in the Neolithic Age and in the Bronze Age belongs from 750 to 850℃ group; pottery in the Three Kingdom Period are variously found in 750 to 1,100℃ range of firing temperature; and it is believed celadon and white porcelain were baked in high temperature of 1,150 to 1,250℃. It seems difference between refinement of source clay and firing temperature based on production times resulted from change in raw material supply and firing method pursuant to development of production skill. However, there was difference in production methods even at the same period and it is thought that they were utilized according to use purpose and needs instead of evolved development simply to one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