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Q-learning을 이용한 이동 로봇의 실시간 경로 계획

        김호원(Ho-Won Kim),이원창(Won-Chang Lee) 한국전기전자학회 2020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4 No.4

        강화학습은 주로 순차적인 의사 결정 문제에 적용되어 왔다. 특히 최근에는 신경망과 결합한 형태로 기존에는 해결하지 못한 분야에서도 성공적인 결과를 내고 있다. 하지만 신경망을 이용하는 강화학습은 현장에서 즉각적으로 사용하기엔 너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이 쉬운 강화학습 알고리즘 중 하나인 Q-learning을 이용하여 이동 로봇의 경로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Q-table을 미리 만드는 방식의 Q-learning은 명확한 한계를 가지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Q-table을 업데이트하는 실시간 Q-learning을 사용하였다. 탐험 전략을 조정하여 실시간 Q-learning에 필요한 학습 속도를 얻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시간 Q-learning과 DQN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Reinforcement learning has been applied mainly in sequential decision-making problems. Especially in recent years, reinforcement learning combined with neural networks has brought successful results in previously unsolved fields. However, reinforcement learning using deep neural networks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is too complex for immediate use in the field.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path planning algorithm for mobile robots using Q-learning, one of the easy-to-learn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s. We used real-time Q-learning to update the Q-table in real-time since the Q-learning method of generating Q-tables in advance has obvious limitations. By adjusting the exploration strategy, we were able to obtain the learning speed required for real-time Q-learning. Finally,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real-time Q-learning and DQN.

      • KCI등재후보

        고용서비스 만족도 조사 국제 비교

        김호원,태우,Kim, Ho W.,Kim, Taewoo 서비스사이언스학회 2015 서비스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세계 각국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용서비스 만족도 조사를 비교하여 향후 우리나라 고용서비스 만족도 조사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존 선행연구와 외국 문헌 고찰 및 관련 기관 홈페이지 조사를 실시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고용서비스 만족도 조사 개선을 위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조사설계 개선방안 측면에서 표본의 대표성 확보를 위해서는 지역별 각 센터 및 출장소별(구직자 및 구인업체) 이용자 규모에 따른 표본설계가 요구되고 또한 시기별 이용자 수 분포를 고려한 표본 설계가 적용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조사내용 개선방안 측면에서 먼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가중치 부분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고용센터별 내부 및 외부 환경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그리고 심층조사를 통해 각 센터별, 업무프로세스별 서비스 개선안 도출이 가능한 수준으로 구체적으로 기술 할 수 있도록 영국의 미스터리 쇼퍼를 통한 평가 방법 도입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이 향후 고용서비스 만족도 조사에 반영 될 경우 고용서비스 현장의 의견을 보다 실질적으로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looked for employment services satisfaction surveys done in the UK, USA and Korea. And through which derived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improving Korea the employment service satisfaction survey. First, in terms of research design improvements to ensure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 region for each center and branch-specific (job seekers and recruiters) requires the sampling design based on user scale. In addition, the sample design should be applied when considering specific user can be distributed. US is restricted to participants within 60 days for sampling and sample extraction once a month at least. Next in terms of survey improvements, it is necessary to apply a weighting part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this, the correct analysis of the employment center by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is required. And in the case of non-face-to-face service, complaints about worknet use is likely to be channeled into complaints about job centers provide services. It needs to improve on this. And for the improvements of business processes service by an in-depth study, it can be seen to review the possible introduction of a British mystery shopper.

      • KCI등재
      • 대체 냉매 개발 현황

        김호원,Kim, Ho-Won 한국설비기술협회 1990 설비 : 공조ㆍ냉동ㆍ위생 Vol.7 No.7

        미국 듀폰사는 냉장고 및 자동차 에어콘이 주 용도인 CFC-11과 CFC-12의 대체품인 HCFC-123및 HFC-134a를 개발하여 현재 용도 시험 중이다. 기존의 문제였던 오일과의 용해도 및 화학적 상용성 등의 테스트가 주 내용인데 현재까지 듀폰 실험소 테스트 결과를 본지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기업 내 외국어 사용여부 및 활용정도가 임금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호원,이종구 한국기업경영학회 2014 기업경영연구 Vol.21 No.4

        This study is to indirectly assume return on investment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by analyzing whether foreign language is used or not, and the amount of its usage in job environment. Positive influence was found between wage and whether foreign language is used or not and also between wage and whether it is widely used or not in job environment. Regarding separation intention, using foreign language or not was positively influential. However, whether foreign language is widely used or not in job environment didn't show significant influence. Previous studies analyzed this subject with foreign language skill in seeking a job such as whether to take the TOEIC test, the test score, English speaking capability, how much they prepare English tests in university, language training abroad. However,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see how whether foreign language is used and how much to be used in companies have an effect on wage. Also in order to check how foreign language usage affects external labor market, how much they have an impact on separation intention has been analyzed. Like other previous studies, this research result shows that not only language learning as a part of job prepara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wage, but whether or not foreign language is used also influences wage. Furthermore, it raises separation intention promoted by extended job opportunity from labor market resulting in enhanced individual right of choice. It can be said that the importance of foreign language is reaffirmed.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individual job seekers to enforce foreign language capability. It also implies that especially when foreign language is widely used in job environment, individual employees should consider more about enhancing foreign language capability. And companies needs to care about workers speaking foreign languages to retain and employ them because whether foreign language is used for work gives the workers more chances to change their jobs. Although this study has positive meaning to use variable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and go further by examining the separation intention, it has some drawbacks originating in its data attributes as followings. First, this study assumes that a company using foreign language always has workers speaking foreign language well, and used it as an independent variable. However, there are some workers not speaking foreign language well but working for the company where they have to speak foreign language. The reason why this study can't cover this issue is that the questionnaire doesn't have a question to analyze the foreign language capability like asking TOEIC test score. Second, This study has analyzed only the separation intention not how many people to change a job. That's because of one of flaws from the questionnaire as well. Besides, even though this study tries to control variables like whether to work for one company, no change in work place and business field, position, task, whether to be promoted directly related to wage and separation intention and even the extent of their influence, it has limited variables for checking how much subjects speak foreign language in company, which is collected by self-report. That's why there is high error probability regarding those variables. And in order to measure wage premium, this study cares about variables for example, human capital, profession, personal attribute.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hether foreign language is used and how much to be used can be overestimated because of ability variable missed in normal regression analysis. Lastly, concerning whether foreign language is used and how much to be used having an effect on labor market, this study is unable to see if it has a short-term or long-term effect due to limited data. So, if following researchers make up for this issue, it's expected that the effect can be analyzed precisely. 본 연구는 기업내 외국어 사용여부 및 활용이 실제로 임금과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현재 기업의 상황에 기초하여 분석함으로써 외국어에 대한 투자의 ‘수익(return)’을 간접적으로 추정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임금의 경우, 기업에서 외국어 사용여부와 업무상 외국어 활용정도가 임금에 대해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직의도의 경우, 기업에서의 외국어 사용여부는 이직의도에 대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업무에서 외국어 활용정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선행연구들처럼 외국어에 대한 취업준비과정이 임금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뿐만 아니라 기업내 외국어 사용여부 및 활용정도에 있어서도 임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보다 많은 외부노동시장에 대한 기회제공으로 이직의도를 높여 근로자 개인에게 노동시장에서 보다 많은 선택권을 확보할 수 있는 만큼 외국어 역량의 중요성이 재차 확인됐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개별 청년구직자 입장에서는 외국어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특히, 현업에서 외국어 활용정도가 높은 경우, 더욱 이 점에 유의해야 한다는 사실을 시사해주고 있다. 그리고 기업측면에서는 기업에서의 외국어 사용여부가 근로자 개인에게 노동시장에서 보다 많은 선택권을 확보 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이직의도를 높여줄 수 있으므로 외국어를 사용하는 인력들을 유지·확보하기 위해 보다 세심한 관리가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