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생물을 이용한 대마의 리그닌과 펙틴 분해

        김형주,권길광,서규원,김민철,김형섭,고준석,Kim, Hyung-Joo,Kwon, Kil-Koang,Seo, Kyu-Won,Kim, Min-Chul,Kim, Hyung-Sup,Koh, Joon-Seok 한국섬유공학회 2009 한국섬유공학회지 Vol.46 No.6

        In this study, microbial degradation of lignin and pectin in raw hemp was investigated. Using lignin and pectin containing media, various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soil and fecal samples of ruminant.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using the 16s rRNA method. The isolated strains were Klebsiella sp., E. coli, Aspergillus fumigatus, and Burkholderia sp. For the degradation of hemp, a pre-cultured isolate was inoculated (5% v/v) into the medium containing raw hemp (as a sole carbon source: 1% w/v) and nitrogen sources and the mixture was incubate aerobically for 168 hours in a shaking incubator (200 rev $min^{-1}$) at $30^{\circ}C$. The hemp biodegradation activity of the identified microorganism was measured by FT-IR. The FT-IR results showed that the Klebsiella sp. has the highest lignin and pectin degradation activit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isolates and the reaction conditions could be applied to the conventional hemp fiber refinery processes.

      • KCI등재

        2차 Seed Grain을 사용한 ZnO 바리스터의 제조

        김형주,마재평,백수현,Kim, Hyung-Joo,Mah, Jae-Pyung,Paek, Su-Hyon 대한전자공학회 1990 전자공학회논문지 Vol.27 No.3

        1차와 2차 Seed grain을 제조하였다. 보다 큰 grain size를 갖는 1차 seed의 제조 조건은 2.0mol.%의 $BaCO_3$ 첨가와 10시간의 소경이었다. 가장 큰 2차 seed를 얻을 수 있는 1차 seed의 첨가량이 3wt.%로 나타나서, 전통적 방식으로 제조된 바 있는 저전압용 바리스터계에 이를 첨가하여 저전압 ZnO 바리스터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은 조건하에서 제조된 바리스터는 대개 10V/mm의 항복전압과 15~22의 비선형지수를 나타냈다. We fabricated primary and secondary seed grains. Primary seed grains having larger grain size were obtained under the conditions that were 2.0mol.% $BaCO_3$ and 10 hours sintering. The amount of primary seed grain that yield the largest secondary seed grain was chosen as 3wt.% and we fabricated the low voltage varistors which were jointed the low voltage-oriented ZnO varistor system made by conventional method with the secondary seed grains. As a result, the ZnO varistors under those conditions showed approximately 10V/mm of nonlinear resistance and 15-22 of nonlinear exponent.

      • KCI등재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의 혼합과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γ-aminobutyric acid 생산 증진

        김형주,윤영걸,Kim, Hyung-Joo,Yoon, Young-Geol 한국유기농업학회 2017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5 No.1

        GABA는 glutamic acid decarboxylase에 의해서 L-glutamic acid가 탈탄산화되어 생합성된 비단백질 아미노산이다. GABA는 식물에서 스트레스에 대항한 대응반응으로 생성된다. 사람의 중추신경계에서는 주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로 항고혈압, 항당뇨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을 유산균과 함께 발효함으로써 GABA 생성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을 다양한 무게 비율로 조합하여 혼합하였고, $30^{\circ}C$에서 48시간 동안 배양기 안에서 L. plantarium과 함께 발효시켰다. 발효된 혼합물을 열수 추출한 후, thin layer chromatography와 GABase assay를 이용하여 GABA의 생산을 분석하였다. 우리는 9:1 혼합발효추출물이 다른 비율의 추출물 보다 GABA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것은 혼합과 발효기술이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 내 GABA 양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몇 가지 생리활성을 분석한 결과 혼합발효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이 비발효 추출물에 비하여 증진되었고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보리 잎과 옥수수 수염의 조합과 이것을 유산균과 함께 발효시키는 방법이 고함량의 GABA와 증진된 생리 활성을 지닌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gamma}$-aminobutyric acid (GABA) is a non-proteinogenic amino acid biosynthesized through decarboxylation of L-glutamic acid by 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BA is believed to play a role in defense against stress in plants. In humans, it is known as one of the major inhibitory neurotransmitter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exerting anti-hypertensive and anti-diabetic effects. In this report, we wanted to enhance the GABA production from the barley leaf and corn silk by culturing them with lactic acid bacteria (LAB). The barley leaf and corn silk were mixed with various weight combinations and were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in an incubator at $30^{\circ}C$ for 48 h. After extracting the fermented mixture with hot water, we evaluated the GABA production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GABase assay. We found that the fermented mixture of the barley leaf and corn silk in a nine to one ratio contained a higher level of GABA than other ratios, meaning that the intermixture and fermentation technique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GABA content. We also tested several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fermented extracts and found that the extracts of the fermented mixture showed improved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e non-fermented extracts and no indication of cytotoxic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our approach on combining the barley leaf and corn silk and its fermentation with LAB could lead to the possibility of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with high levels of GABA content and improved biological activities.

      • KCI등재

        기록관리 시스템 기능요건 표준의 정부산하공공기관 적용에 관한 사례 연구

        김형주,김수현,Kim, Hyung-Joo,Kim, Soo-Heo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7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8 No.2

        정부산하공공기관은 경영 자주성, 업무 전문성을 고려하여 기록물을 자체적으로 보존 관리할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정부산하공공기관을 위한 범용 기록관리시스템이 없는 상황에서 "정부산하공공기관 등 기록관리시스템 기능요건(NAK/S 24:2014(v1.0))" 표준의 제정은 각 기관이 자체적으로 기록관리시스템을 구축할때 공통적으로 고려해야 될 기능요건과 시스템 방향성을 일치시킨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에서 제안하는 기능요건을 분석하고, 기록관리시스템 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표준의 기능요건을 적용하기 위한 절차와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s are required the autonomous record preservation and management, considering their management independence and specialty. In absence of general record management system for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s,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Functional requirements of systems with record management for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s, etc. NAK/S 24:2014(v1.0) is meaningful because it can consensus the functional requirements and directions which are considered when organizations develop in-house record management systems. This study aims to analyze functional requirements and suggest procedures and strategies for application of the standard in the case of development of the record management system.

      • 교통기본도(Fundamental Diagram)의 모수 추정 방법론 개발

        김형주(Kim, Hyung-Joo),장기태(Jang, Kitae) 대한교통학회 2013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68 No.-

        교통류 이론의 교통기본도는 교통량, 속도, 밀도의 교통모수로부터 결정된다. 교통모수는 교통류 이론의 기본이 되는 변수로 교통 류 모델링, 동파이론 및 유체역학 모형, 교통류 제어 모형 등에 다양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교통모수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양 한 교통기본도 모형이 제안되었지만 링크에 따라 상이한 형태를 가지는 특징으로 인해 한국 고속도로 특성에 맞는 모형은 아직 개 발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교통자료의 특성을 잘 표현할 수 있으며, 거시적 교통시뮬레이션 모형의 입력변수(Input variable)로 활용이 가능한 사다리꼴 교통기본도 모형을 제안한다. 이러한 사다리꼴 모형의 교통기본도는 도로용량, 자유속도, 충격 파 속도의 교통모수와 중단점(break point)에 의해 결정되며, 추정방법으로 PLR(Piecewise Linear Regression)을 적용한다. 또한 평균 제곱오차의 합이 최소가 되는 최적의 교통모수 산정에는 GRG(Generalized Reduced Gradient method)를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 국도로공사에서 제공하는 2011년 3월 1일∼5월 31일 고속도로 지점검지기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상습 지・정체 지점인 오산IC를 포함하는 안성JC∼동탄JC 구간을 분석대상지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방법론을 적용한 결과 모두 사다리꼴 형태의 교통기본도가 도 출되었다. 사다리꼴 형태의 교통기본도는 불규칙한 특성을 가지는 실제 교통자료에 적용이 가능하고, 교통모수 및 중단점의 추정에 있어 임의성을 배제할 수 있어 안정적인 연구결과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연속교통류의 통행시간 예측에 있어 입력자료로 활용된다면, 통행시간 예측결과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후 인공관절 주위 진균 감염의 임상적 결과

        김형주(Hyung Joo Kim),배기철(Ki Cheor Bae),민경근(Kyung Keun Min),최형욱(Hyeong Uk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1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진균에 의한 감염은 드물지만 심각한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치료에 있어 항진균제 투여 기간이나 수술의 방법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인공 관절 주위 진균 감염에 대한 치료 결과 및 임상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부터 2017년까지 슬관절 전치환술 후 진균 감염으로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2단계 재치환술을 시행받은 10명의 환자를 같은 기간 비진균 인공 슬관절 주위 감염으로 치료받은 119명의 환자와 비교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2단계 재치환술에 의한 감염 조절의 실패율과 감염의 재발률 및 정주용 항생제 및 항진균제 사용기간, 2단계 재치환술 후 관절 운동 범위, 한국형 슬관절 점수(Korean knee score, KKS), 적혈구 침강속도(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ESR), C-반응성 단백질(C-reactive protein, CRP)을 평가하였다. 결과: 진균이 동정된 군 총 10예 중 7예(70.0%)에서 감염조절의 실패를 보였고 일반 감염군 119예 중 7예(5.9%)에서 감염조절의 실패를 보였다(p=0.04). 진균이 동정된 군에서는 정주용 항진균제의 평균 사용기간은 15.3주로 일반 감염군에서의 정주용 항생제 평균 사용기간인 6.2주에 비해 9.1주 더 길었다(p<0.001). 감염 조절술 시행 전 슬관절 운동 범위는 두 군에서 모두 증가하였다(p=0.265). 최종 추시 시 KKS는 일반 감염군에서 평균 71.01점으로 나타났고 진균이 동정된 군에서 61.3점이었다(p=0.012). ESR과 CRP는 두 군에서 모두 감소하였으나 CRP만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7).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인공관절 주위 진균 감염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일률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이지 않으므로 감염 조절술 시행 시 항진균제 혼합 시멘트 삽입과 재치환술 후 경구용 항진균제 사용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Fungal periprosthetic joint infection (PJI) is a rare but devastating complication following total knee arthroplasty (TKA). On the other hand, a standardized procedure regarding an accurate treatment of this serious complication of knee arthroplasty is lacking. The clinical progress of staged reimplantation in patients who had fungus-related PJI after TKA was reviewed retrospectively. Materials and Methods: Ten patients who had a fungal related PJI after TKA between 2006 and 2017 using staged reimplantation surgery were reviewed. These patients were compared with 119 patients who had a PJI in the same period. The failure rate of infection control, intravenous antimicrobial using the period, and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 range of motion and Korean knee score (KKS) between pre-staged reimplantation and the last follow-up. Results: In the fungal infection group, 7 out of 10 cases (70.0%) had failed in infection control using staged reimplantation and in the non-fungal group, 7 out of 119 cases (5.9%) had failed (p=0.04). In the non-fungal group, the mean duration of antibiotics was 6.2 weeks. In the fungus group, the mean duration of antibiotics was 15.3 weeks, which was 9.1 weeks longer (p<0.001). The range of motion of the knee was increased in the two groups (p=0.265). At the last follow-up, the KKS was 71.01 points in the non-fungal group and 61.3 points in the fungal group (p=0.012).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and C-reactive protein (CRP) decreased in the two groups, but the CR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wo groups (p=0.007). Conclusion: The treatment of fungus-related PJIs using staged reimplantation showed uneven clinical progress and unsatisfactory clinical improvements compared to non-fungal PJI.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use of an antifungal mixed cement spacer at resection arthroplasty and oral antifungal agent after reimplantation.

      • 지역 기반의 지식트라이앵글에서 대학의 역할 강화 방안

        김형주(Hyung-Joo Kim),성경모,임영훈,고병옥,이다은,채윤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6 정책연구 Vol.- No.-

        With the development of a knowledge-based economy, the university"s role in creating innovation at the local level is becoming more important. As the importance of proximity reappears in knowledge production and innovation creation, and new innovation centers are emerging and changing around the world, a regional approach to innovation policy is a trend. On the other hand, as a knowledge-generating institution, universities are expanding the "third mission" beyond traditional education and research, and its influence and importance are growing in regional innovation.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discuss and review new possibilities for universities to contribute to regional innovation, in addition to traditional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cusing on technology transfer or manpower supply.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of leading cases showing the new role of the university in terms of knowledge triangle, suggesting ways to strengthen the role of universities for regional innovation by analyzing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new attempts by Korean universities to participate in regional innovation. The Knowledge Triangle i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he formation of knowledge as a systematic process based on interaction between research, education, and innovation. Recently, OECD (2015; 2016) emphasized the need for an integrated approach between research, education and innovation policies. It has been raised as an agenda. In the knowledge-based economy, where universities, which are all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of the three se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knowledge triangle,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and the regional growth and development are determined by the localization of innovation activities, university’s roles are a key analytic target. This study analyzes the new concept of the university contributing to regional innovation by positively interpreting the concept of knowledge triangle and presents new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that Korean universities can contribute to regional inno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