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3·1운동 이후 부산지역 항일독립운동의 성격

        김형목 ( Kim Hyung-mog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9 항도부산 Vol.37 No.-

        3·1운동은 민족해방운동사에서 새로운 출발점을 알리는 ‘분수령’이었다. 소수친일세력을 제외한 한민족은 조국광복을 향한 대열에 동참했다. 적극적인 참여에도 만세운동은 궁극적인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질서는 새롭게 재편되었다. 변화에 부응하려는 민족해방운동은 모색되고 있었다. 사회주의 유입으로 민중운동론에 입각한 대중투쟁은 강조되는 분위기였다. 부산지역도 이러한 흐름에 부응하여 다양한 항일운동론은 모색되었다. 학생운동은 3·1운동 이후 해방 직전까지 지속되는 분위기였다. 조선인 본위교육 시행, 민족적인 차별을 일삼는 일본인 교사 배척 등은 주요한 문제로 자리매김했다. 다양한 경험은 1935년을 기점으로 반제·반전운동을 주도하는 중심세력으로 성장하였다. 민족말살정책에 맞서 민족정신을 일깨우는 활동도 병행되었다. 1940년 부산항일학생운동과 소규모 비밀결사는 암울한 식민지시기를 밝히는 ‘희망봉’이었다. 1920년대 초반 부산부두노동자 총파업은 초유의 상황을 맞았다. 인쇄직공조합파업 등도 마찬가지였다. 노동운동가들은 외부 세계와 교류나 소통을 통하여 탄압에 맞섰다. 소비조합운동이나 야학운동 등은 노동자들의 현실인식을 심화시키는 요인 중 하나였다. 메이데이 기념식은 노동자들의 주체의식을 일깨우는 밑거름이었다. 신간회 부산지회는 노동단체와 청년단체를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대중조직 기반은 노동운동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졌다. 물론 문화계몽운동과 학생운동과도 일정한 연계를 지녔다. 특히 노동운동 진전은 소부르조아 중심에서 벗어나 대중성을 확보하는 근간이었다. 이는 대중투쟁이나 부문별 민족해방운동과 일정한 연계 속에서 진행되었다. 신간회 ‘해소론’을 최초로 제기한 부산지회는 이러한 인식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The March First Movement was a watershed that announced a new departure in history of natioanl liberation movement. Except the Minority of pro-Japanese group, the Korean nation joined the line of nation’s independence. Despite active participation, The March First Movement could not achieve the final aim. After the World War Ⅰ, an international order has been reorganized, and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was sought to meet the new change. The mass struggle was stressed based on the theory of popular movement by inflow of Socialism. In Busan, the variety of theory of anti-Japanese movement were sought to meet these flows. A student movement was continued from the March First Movement to right after Korean liberation. The implement of Korean principal education and exclusion of Japansese teachers who segregated Koreans became major problems. The combination of experience developed into the central force starting from 1935 who took the lead in the anti-imperialist and anti-war movements. The variety of activities that awakened the national spirits were conducted opposing the policy to obliterate the Korean nation. The Busan Student Indepentence Movment in 1940 and secret organization on a small scale were a ‘Cape of Good Hope’ which lightened the dark of colonial period. In the early 1920s, the general strike of workers of Busanport faced into an unheard of situation. The strike of association of printing workers was in same situation. The Labor agitator stood against their suppression through exchange and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world. The cooperative society movement and movement of night school was one of the factors intensifying the awareness of reality of workers. The ceremony of May Day was a foundation which awakened the worker’s sens of sovereignty. The Busan branch of Singanhoe was organized based on labor associations and youth organizations. The base of mass organization was realized in close relations with labor movement, and cultural enlightenment and student mov movements was in the same vein. Especially, the progress of labor movement was a base to secure the pupular appeal getting out of petit-bourgeois-centralism. It conducted in conjunction with mass struggles and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The Busan branch of Singanhoe had relation with these cognition, which raised the theory of dissolution of Singanhoe at first.

      • KCI등재

        강화도 사립 합일학교의 근대교육사에서 위상

        김형목(Kim, Hyung-mo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8 인천학연구 Vol.29 No.-

        사립 합일학교는 선교사업 일환으로 1900년 잠두의숙에서 시작되었다. 설립자는 선교사 조원시와 신자인 박능일·김상임 등이었다. 이를 계기로 계명의숙과 보창학교(육영학원)가 설립되는 등 강화지역 근대교육은 구국계몽운동으로 전개되는 계기를 맞았다. 특히 강화진위대장에서 사임한 이동휘는 의무교육 시행을 위한 강화학무회를 조직하였다. 도내에 운영되는 교육기관은 보창학교지교로 재편하는 등 56개 학구로 조정했다. 이리하여 대한제국기 강화도는 민족교육 ‘요람지’로서 부각되었다. 「사립학교령」시행에 즈음하여 교명은 사립합일학교 바꾸는 동시에 교육내실화를 도모하였다. 주민들은 생활 정도에 따라 ‘의무교육비’를 흔쾌히 내놓았다. 인근 황해도와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교육기관과 연합운동회는 상무정신과 근대교육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교육현장이었다. 1만여 명이나 운집한 가운데 거행된 연합운동회는 그야말로 대장관을 연출하였다. 강제병합 이후 식민지 노예교육에도 합일학교는 민족교육기관으로 거듭났다. 3·1운동 당시 본교 출신들은 만세시위운동을 주도하는 등 사회적인 책무를 다했다. 당시 시위군중은 2만여 명에 달할 정도로 전국에서 가장 많이 참여한 기록을 남겼다. 이는 강화인들의 자긍심을 일깨우는 동시에 부문별 민족해방운동을 진전시키는 든든한 밑거름이었다. 1920년대 중반 재정적인 빈궁으로 합일학교는 폐교라는 위기에 직면하였다. 선교사들은 학교운영비를 제대로 충원하지 않고 수수방관하는 입장이었다. 지역 명망가들과 합일학교 학부형회·동창회 등은 직접 학교 운영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강구했다. 부호인 최상현은 자신의 전 재산을 기부함으로 합일학교를 새롭게 탄생시켰다. 본교 출신자들도 명예교사로 지원하는 등 교육내실화는 물론 교육시설 확충으로 이어졌다. 교장으로 취임한 처남 오영섭의 열정도 그에 못지 않았다. 이리하여 강화도를 대표하는 민족교육기관은 바로 합일학교라고 해도 결코 과언이 아니다. 해방 이후에는 공립학교로 전환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처럼 합일학교는 강화인의 근대교육에 대한 열정이 고스란히 담긴 역사적인 산물이다. 동시에 식민지 교육정책과 선교사업의 양면성도 엿볼 수 있다. 이 학교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서 찾아진다. 곧 합일학교는 강화지역 근대교육사는 물론 한국 근대교육운동사를 이해하는 데 관건 중 하나임에 틀림없다.

      • 나혜석 스캔들 진상과 언론통제

        김형목(Kim, Hyung-Mog) 나혜석학회 2015 나혜석연구 Vol.6 No.-

        Jung-Weol Na Heysuk(晶月 羅蕙錫) is representative in various fields, such as art and literary history in modern Korea and Women’s history and national movement history. Before getting divorced, she spent his golden years. For example, she held the private exhibition for the first time as a Korean lady painter, and was accepted the Chosun Art Exhibition, and wrote about everyday affairs and women’s movement through press and magazine, and travel to Europe and America during 2 years. After the mid of 1934, she gone through time of trial. The Women School for Art did not receive response, which train women painters. The ‘divorcee’ was an obstacle. The 『Confession Letter for Divorce』 caused the social shock and created a stir. In this letter, she expressed her position as a ordinary mother missing human affection, accepting her divorce because of her mistake. The ‘requested lawsuit of alimony for invasion of Cheogwon(妻權)’ evoked many criticism. The follow-up reports and result was unknown to the world. The curiosity about this event got connected to interpretation and inference of many researchers. The ‘saving Choi Rin(崔麟)’ of Japan through press control gained a success. It could be inferred that Na Heysuk were forced into becoming victim. The Scandal of Park Heedo(朴熙道) reported in 『Chosun Jungangilbo』 in March 1934 embarrassed the colonial authorities. This situation was a staggering blow for them as a good lesson. As the press control, the case of ‘requested lawsuit of alimony’ remains unsolved for these days. Eventually, the press control was the one of colonial unjust laws.

      • KCI등재

        최용신 현실인식과 농촌계몽운동

        김형목(Kim Hyung-Mog) 한국사학회 2007 史學硏究 Vol.- No.88

        1930년대 한국사회는 경제적으로 파탄상태에 직면하고 있었다. 식민지배체제 고착화에 따른 심화된 모순은 대다수 한국인 생존권마저 위협하였다. 농촌진흥운동은 이를 일시적으로나마 완화하려는 미봉책일 뿐이었다. 궁극적인 의도는 인적ㆍ물적 수탈을 강화하기 위함이었다. 이에 맞선 ‘한국인에 의한, 한국인을 위한’ 농촌계몽운동은 진전을 거듭하였다. 최용신은 농촌계몽운동사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인물이다. 고귀한 삶과 생애는 소설ㆍ전기ㆍ영화 등 다양한 형태로 조명되었다. 외형적인 성과와 달리 만족할 만한 수준에 근접한 연구는 미흡하다. 특히 ‘불사조’와 같은 존재로서 묘사는 ‘인간 최용신’의 참다운 모습을 사상시키고 말았다. 독실한 신앙생활과 학창시절은 이타적인 삶을 준비하는 기간이었다. 현실에 당당하게 맞선 용기는 남을 배려하는 정신적인 여유를 견지하는 요인 중 하나였다. 이는 인간 존엄성을 위한 ‘최소한’ 실천적인 문제와 결부되었다. 그녀는 학창시절부터 농촌문제에 지대한 관심과 아울러 실천에 앞장섰다. 두호구락부ㆍ조선남녀학생기독교청년회ㆍ한국여자기독교 청년회 참가 등은 현실인식을 심화시키는 계기였다. 농촌지도사로서 참여는 한국YWCA 선교사업 일환이었다. 종교운동 차원을 넘어 인간에 대한 무한한 신뢰감은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밑바탕이었다. 초기 주민들 반응은 냉담함과 무관심으로 일관되었다. 사회활동가 조차도 이러한 분위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헌신적인 노력은 주민들로부터 신뢰감과 상호간 단결심을 고취시키는 밑거름이었다. 여성운동가로서 참된 면모는 여기에 고스란히 응축되어 있다. 시세변화에 부응한 민중문화 창출은 이러한 가운데 확산되었다. 그녀의 위대함은 바로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순결하고 열정적인 생활자세는 그래서 더욱 빛을 발한다. 현실에 안주하는 오늘날 우리들은 그녀의 참된 삶을 통하여 인생의 진정한 의미를 새삼 절감하지 않을 수 없다. 1930's Korean society was facing state of penniless. The contradiction of colonial policy was deepened; threaten the right to live. The Movement of Agricultural Development was born for easing up the situation temporarily. The final aim was to strengthen plundering personal, real property. The Enlightenment Movement of the farmers progressed repeatedly. Yongshin Choi is the person who leaves the clear footprint in The History of The Movement of Enlightenment of The farmers. A noble life has shed various forms- a novel, a biography, a movie etc. But the level of the research about her trace was not enough to be satisfied. Specially, the description as ‘Deity’ removed a real image of ‘human Yongshin Choi’from the real story. A religious life and her school days was the duration to be ready for the altruistic life. The courage which made her stand up for the justice against the cold, harsh reality, came out by considering other's feelings. This is linked to the 'minimum' practical problem for the human dignity. She had been having enormous interest and practice about farming problem from school time. Specially, participating Duho Club and The General Assembly Of Student Christian of Choseon was a chance for her to recognize reality much more deeply. Participating as an agricultural leader formed a part of the YWCA missionary work. A boundless faith in human goodness over a religious movement was the foundation that makes her to practice everything she planned to do. The reaction of the residents during the early years of the movement were an indifferent attitude; the social activity as well. The dedicated effort inspired residents to have trust feeling and the spirit of unity. A sincere appearance as a woman activist is being seen here. The populace cultural creation which suits in the current price change was diffused like this situation. We are able to find her magnificent, rightly from here. The attitude which is passionate and pure makes her shine more. We still can feel the true meaning of the life, through the genuine life of Choi, Young-shin.

      • 윤봉길의 현실인식과 농촌계몽운동

        김형목(Kim, Hyung-mog)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1 충청문화연구 Vol.7 No.-

        The youth movement at Yesan district, Chungnam in the 1920s was not particularly active. The Yesan Young Adult Group, Yesan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Yesan Cheondogyo Young Adult Group, and Deokpung Young Adult Group, etc. remained at an enlightening level, such as an athletic meet for promoting friendship or managing a night school & workshops. The Yesan Branch of Singanhoi which mustered all social movement capacity of Yesan district, unfortunately ended up remaining at the same situation. The isolated and at the same time dispersive youth movement, peasant movement, labor movement and women"s movement stayed at a substandard level of barely surviving. Yun, Bong-gil took a very critical stand on reality. His dropping out of Deoksan public school showed explicitly showed his resolve. Through this education at the Ohchi village school and subscription to a newspaper and magazine, he got the opportunity to deepen his consciousness of the reality. The" Grave Mark Incident" was a great shock wave and also came as "a social obligation", which had to be resolved immediately, to patriot Yun, Bong-gil. The rural enlightenment campaign boiled down to the issue of establishing and managing a night school. The reliability in the people, such as peasants and laborers, etc. was the factor and also background to make it possible. Farming techniques, development of stockbreeding techniques, and encouragement of cultivating fruit trees was construed as an intention to improve the life quality of peasants together with their economic stability. Hosting school arts festivals and lecture meetings began with the intentions to awaken the people from their latent national consciousness. The patriot Yun"s conception of a peasant image as a true freeman after shaking off the colonial fetter was the patriot Yun, Bong-gil"s ultimate goal and ideal. The rural enlightenment campaign based on the people-centeredness stemmed from his thorough reality consciousness. The patriot Yun"s practical activities won a deeper trust from residents, causing the campaign to repeat its continued development. Establishment of the Revival Center, organization of Woljinhoe, Suam Athletic Association, and filio-piety groups and its related activities are understood from such a context. Nevertheless, it is regarded as the limit to reality consciousness or theory of movement that the patriot Yun did not seek for the solidarity or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force of domestic movements. At this juncture, the importance of exchanges and communication should have been highlighted at that time. The volition to shake off somber reality was the product of determination to seek for a new theory of an independence movement like the phrase "A man leaving home never returns alive before he achieves his goal." Such a product was possible through the patriot Yun"s infinite affection for his fatherland beyond his personal distinction. For that reason, the patriot Yun"s heroic struggle emits eternal light all the more. Maeheon"s experience in rural enlightenment campaign was a decisive factor in deepening his assessment of the reality.

      • 국채보상운동 이전 동양자 김광제의 민족운동

        김형목(Kim, Hyung-Mog)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5 충청문화연구 Vol.15 No.-

        Kim Gwangje was born in Boryeong, Chungnam in 1866 and educated in traditional way. He was taught from Hwang Jaehyeon who was one of the local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s on the Wijeoncheoksa Theory. He passed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in 1888 and entered the government. He worked as a Dongraegyeongmugwan and Samnamchalisa. However, his live of the service did not go smoothly. Although he tried to tighten discipline among government officials, it was not succeeded because of the various reasons such as a breach of the government system. His nationalistic movement was involved in the Loyalism and Enlightenment. As a loyalist he suppressed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in Naepo in 1894. He organized Yuhoegun and tried to disband armed peasants with Lee Seungu who was a governor of Hongju. Moreover he participated in Eulmi-righteous army. He tried to remove pro-Japanese people with Yun Ibyeong and Lee Sejin in Seoul but was exiled on Gogunsan Islands on charge of making a false accusation. After the event, he erected a monument for Empress Myeongseong and preserved 28 royal tombs of Shilla to promote the national glory. Also, he founded Gongjeso to block the use of Japanese bank bills and the expansion of Dongsuntae. the Chinese merchants association for economical independence. Just after Eulsa Illegal Treaty, he founded the Gwangmunsa in Daegu with Seo Sangdon and devoted to public and educational activities. He expanded his activities cooperating and communicating with local government officials or community leaders such as Sin Taehyu. While he took part in various movements including activities for private school foundation, publication, the media and academy, he became one of the great activists in his time. He also joined in literature and publication movement in Masan in the 1910s organizing the Minuiso which claimed to stand for local self government to develop public intellect. The trace of his life proved that he was an social activist deeply realizing the reality. It is not easy to judge him rightly as he was a man of action in various fields. Transformation from a follower of loyalism to that of enlightenment shows us his inner world.

      • 위자료 청구소송을 주도한 소완규와 나혜석 인연

        김형목(Kim, Hyung-Mog) 나혜석학회 2015 나혜석연구 Vol.7 No.-

        한국근대사를 거침없이 거닐었던 나혜석은 1930년 이혼으로 혼란한 시련기를 맞았다. 「날아간 청조」, 「신생활에 접어들면서」, 「이혼고백서」, 「이성간의 우정론」 등은 자신의 내면세계를 표출한 글쓰기였다. 시대상황을 초월한 파격적인 글은 정면충돌을 피할 수 없었다. 편협한 인식이나 강고한 인습은 이를 허용하기 너무나 인색하였다. ‘야심찬’ 여자미술학사 경영도 예상과 달리 지지부진했다. 이혼녀라는 존재는 사회적인 지탄과 더불어 이러한 상황을 초래하는 요인이었다. 파리로 가려고 결심한 후 최린에게 여러 차례 경제적인 지원을 요청하였으나 무관심으로 일관하였다. 결국 정조유린에 대한 위자료 청구소송사건으로 귀결되었다. 소송사건을 주도한 변호사는 소완규였다. 그는 전통학문을 수학한 후 근대교육 수혜를 받았던 신 • 구 학문을 두루 섭렵하였다. 베이징에서 어문학을 수학한 후 다시 일본에서 법학을 전공한 법학자였다. 유학은 다양한 이념을 수용할 수 있는 결정적인 계기였다. 공산주의운동이나 민족주의운동을 변론하는 ‘사상변호사’로서 명성은 이와 무관하지 않았다. 간도공산당사건 • 정평혁명적농민조합운동 • 안재홍사건 등에 관한 변론은 대표적이다. 또한 조선학운동이나 언론 • 교육운동 등에도 남다른 관심과 활동을 병행하였다. 왕성한 활동은 중일전쟁 발발과 동시에 급격하게 반전되었다. 전시동원 체제에 적극적으로 참여 • 활동하는 불행을 자초하고 말았다. 강화된 치안유지법(治安維持法)은 대다수 지식인과 사회주의 활동가들은 전향을 강요했다. ‘전향서’를 쓴 활동가나 지식인은 식민지배 옹호 • 선전하는 데 앞장섰다. 민족해방운동 전선에서 일탈은 곧바로 친일파로 전락을 의미한다. 1934년 9월 20일자 『동아일보』와 『조선중앙일보』 지면은 위자료 청구소송 기사로 장식되었다. 하지만 기사는 1회성으로 그치고 말아 사건전말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다. 조선총독부의 ‘최린구하기’가 성공하는 순간이었다. 반면 나혜석은 지인들로부터 냉대와 지탄을 받는 ‘부정한 여인’으로 낙인 찍혔다. 당찬 그녀도 결국 최린과 타협하는 길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억울하고 원통했으나 다른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두 사람 인연은 편협한 인식과 인습을 타파하기에 역부족이었다. 변호사와 화가의 만남은 범상치 않는 인연이었으나 소기의 목적을 이루지 못했다. 무소불위(無所不爲)를 휘두르는 식민권력은 이와 같은 상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나갔다. 불행 중 다행은 주변 인물들과 달리 친일로부터 자유스러운 존재였다는 사실이다.

      • KCI등재

        한말 경기도 사립학교설립운동의 전개와 성격

        김형목(Kim Hyung-Mog)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9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2

        경기도 최초 근대교육은 1892년 내리교회 조원시(Rev.George Heber Jones) 목사 부인의 영화여학당 설립에서 비롯되었다. 초기에는 근대교육에 대한 인식부족과 주민들의 냉담한 반응으로 별다른 성과를 거둘 수 없었다. 교세 확장에 비례하여 학생 증가와 더불어 근대교육기관으로서 기틀도 마련할 수 있었다. 을사늑약 이후 위기의식은 근대교육 확산으로 귀결되었다. 더욱이 영화여학당 · 삼일여학당 · 정화여학교 등은 도내 여성교육을 선도함과 아울러 우리나라 근대여성교육 중심지였다. 이는 지역적인 차원을 넘어 여성들의 사회적인 존재성을 일깨우는 요인이었다. 일제의 식민지화 책동에 맞선 경기도 사립학교설립운동은 국권회복운동 일환으로 전개되었다. 의무교육론 확산은 당대인 참여를 유도하는 ‘기폭제’였다. 강화학무회 · 개성교육총회 등은 대표적인 단체였다. 강화도는 보창학교를 중심으로 도내 56개 학구에 지교를 설립하는 등 교육열을 고조시켰다. 이리하여 보창학교는 대한제국기를 대표하는 민족교육기관으로 발전을 거듭할 수 있었다. 연합운동회는 지역사회 여론 수렴장이자 시세변화를 체험하는 교육현장이었다. 군사훈련에 버금가는 병식체조나 기마전 등은 문무쌍전에 입각한 민족교육이 지향한 바를 제시하였다. 식후 개최된 연설회 · 강연회 등은 부분적이나마 ‘사회적인 책무’를 느끼는 내용을 중심으로 진행 되었다. 경쟁적으로 전개된 국채보상운동도 이와 같은 변화 속에서 전개될 수 있었다.이는 지방자치제 시행을 위한 민지계발로 이어졌다.더욱이 사노비 해방 등 신분제 폐지와 시대변화에 부응한 새로운 인간관계 등은 이를 반증한다.사립학교설립운동의 역사성은 바로 여기에 있다. The first modern education in Gyeonggi province originated from Younghwa Girls’ School established by Mrs. Johns(wife of a minister of Naeri Church, Wonsi Jo, Rev.George Heber Jones) in 1892. In the early stage she couldn’t bear fruit because of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modern education and a cool response from residents. However, as religious influence expanded and the number of students increased, she could lay the foundation for a 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 The sense of crisis after the second Korean-Japanese Agreement in 1905 concluded with the spread of the modern education. Younghwa girls’ school, Samil Girls’ School, Miriheum Girls’ School and others led the education of women in the province as well as were the center of the modern education of women in Korea. They became a factor to make women aware of their social existence going further than a regional level. A campaign to establish private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confronting Japanese colonization maneuvers developed as part of restoration movement of national rights. The spread of the theory of compulsory education was a detonator to induce people of the day to participate in the campaign. Ganghwahagmoohoi(Ganghwa Society of School Affairs), Gaeseonggyoyookchonghoi (Gaeseong General Society of Education) were the leading organizations for the campaign. As private schools in Ganghwa island centering around Bochang School established 56 branch schools in 56 school districts, Gyeonggi province, desire for education became excited. Bochang School could repeatedly develop as a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representing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A joint sports meeting was the place for collecting public opinion of a community and a educational field to make participants experience the situation of the times. Military way of physical exercises like military drill and a mock cavalry battle and others at the joint sports meeting presented the way that national education based on the completion of scholarship and the marital arts aimed at. The contents of an oratorical meeting and a lecture meeting held after the sports meeting partially included social responsibility. A national debt compensation campaign spread competitively could progress under such a change and this was connected with the development of peoples’ intellect for the operation of local autonomy system. Furthermore, this is reflected by the abolition of a status system including liberation of private servants and new human relations responding to the changing of the times. This is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the campaign to establish private schools.

      • KCI등재

        연구논문 : 조선보육협회 활동과 유아교육론 심화

        김형목 ( Hyung Mog Kim ) 동국사학회 2010 동국사학 Vol.49 No.-

        3·1운동 이후 문화계몽운동 확산·진전은 교육열 고조로 귀결되었다. 풍미한 개조론은 개인적인 능력 배양을 사회적인 문제로서 부각시켰다. 이와 더불어 어린이에 대한 인식 변화는 유치원교육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켰다. 1920년대 전개된 `유치원설립운동`은 이와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유아교육 확산은 보모 양성과 자질에 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유치원 부설인 유치사범과는 전문교육기관인 보육학교로 승격되었다. 여력이 여의치 않은 지역은 유치사범과를 그대로 운영하였다. 더불어 지역별로 보모 자질 향상을 위한 강습회도 1920년대 후반부터 개최되기에 이르렀다. 다만 전국적인 차원에서 보모를 위한 재교육이나 권익을 위한 단체는 조직되지 않았다. 조선보육협회는 1931년 7월 유아교육 관계자를 중심으로 조직된 일제강점기를 대표하는 교육단체였다. 목적은 보모 권익옹호와 보모 자질을 도모하는 등 유아교육의 내실화를 도모하기 위함이었다. 이 단체는 동아일보사 학예부 후원으로 1932년부터 1940년까지 매년 7월에 율동유희강습회를 개최하였다. 전국에서 100여 명 이상 보모는 여기에 참여했다. 이후 강습정원은 200명으로 증원할 만큼 대단한 호응을 받았다. 심지어 만주나 연해주에 거주하는 보모도 참여하는 상황이었다. 이에 자극을 받은 일부 보모는 지역별 연구그룹을 조직·운영하고 있었다. 기존 유치원교육 전반에 대한 비판과 논쟁은 이러한 배경과 맞물려 심화되었다. 특히 조선보육협회 회원들은 유아교육에 관한 각종 교재와 이론서를 발간·보급하였다. 이는 `선진적인` 이론을 현장에 접목시키는 토대를 구축할 수 있었다. 조선보육협회의 역사적인 의미는 바로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Since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spread and advancement of the cultural enlightenment movement generated a raise of the zeal for children`s education. The defusion of the reconstruction theory(改造論) made the development of personal ability as an social issue. And also, the consciousness change of children increased the interest of its education. Therefore, the founding movement of kindergarten in the 1920s is worthy of attention. The defusion of children`s education brought the interest of the training and qualification of kindergarteners. Children education department affiliated with a kindergarten grew to the statue of childcare school which was a professional education organization. Since the late of the 1920s, many lectures for the improvement of kindergartener`s qualification were held in some regions. But a national organization for kindergartener`s reeducation or rights was not appeared. The Chosun Childcare Association was a representative educational organization which was founded by interested people on July in 1931. It was intended to advance the children education including protecting kindergarteners`s rights and improving their qualification. It also held a dance lecture on every July from 1932 to 1940 supported by a department of art and science of the Dong-A Ilbo press company. More than 100 kindergarteners attended the lecture from all over the nation. The lecture made a great appeal to them and later, its capacity was increased to 200 people. Even people from Manchuria and Siberia were took part in it. So, some kindergarteners who were under the inspiration of their passion organized various local study groups. Under this background, the established criticism and debates of children education were intensified. Especially, members of the Chosun Childcare Association published and distributed all sorts of textbooks or reference books related to the children education. As a result, they could build the foundation of grafting the advanced theory onto the real classroom. This is a historical importance of the Chosun Childcare Accos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