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표면부착형 영구자석 전동기의 정현파 공극자속밀도 연구

        金現哲(Hyun-Cheol Kim),金長睦(Jang-Mok Kim),金喆遇(Cheul-U Kim) 대한전기학회 2007 전기학회논문지 Vol.56 No.9

        This report describes the analytical characteristic of sinewave air gap flux density for the brushless AC motor with surface permanent magnet. The analysis of sinewave air gap flux density is the key to expect the performance of back EMF for the design of brushless AC motor. The numerical analysis and FEM analysis are performed to adopt radial and parallel flux magnetization of magnet on the rotor. And it is also executed to vary the magnet arc angle and arc radius for the condition of constant and non constant air gap. This report i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 of sinewave air gap flux density for permanent magnet of surface brushless AC motor. This results also have more reliable data against the previous paper which had the representative numerical analysis of air gap flux densitv[1][2].

      • KCI등재

        7상 BLDC 전동기의 고속 운전시 개선된 진상각 보상 연구

        金現哲(Hyun-Cheol Kim),吳亨植(Hyung-Sik Oh),金長睦(Jang-Mok Kim),金喆遇(Cheul-U Kim) 대한전기학회 2007 전기학회논문지 Vol.56 No.11

        According to previously published paper the phase advance angle is adopted to the BLDC motor drive with high speed. The report proposed describes the optimum algorism that phase current is in phase with the initial flat region of back EMF. This report studies the need of more leading phase advance angle compared with in phase concept between phase current and back EMF. In case of high reactance this report proposes the more phase advance angle than in phase. The test results more rms value of phase current and output power due to more phase advance angle than in phase. It will be helped the high power operation of BLDC motor at high speed.

      • KCI등재

        진상각을 갖는 7상 BLDC 전동기의 시뮬레이션 모델

        金現哲(Hyun-Cheol Kim),吳亨植(Hyung-Sik Oh),金長睦(Jang-Mok Kim),金喆遇(Cheul-U Kim) 대한전기학회 2007 전기학회논문지 Vol.56 No.12

        The simulation model has been already developed not for 7 phase but for 3 phase BLDC moto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simulation model of multi-phase BLDC motor including the phase delay angle especially in the high speed region. In this paper, the suitability of the proposed model is verified through the several computer simulations, and experimented results.

      • KCI등재

        상토에 기비로 혼합된 NH<sub>4</sub><sup>+</sup>:NO<sub>3</sub><sup>-</sup> 비율에 따른 '녹광' 고추 플러그 묘의 생장

        오상세,박명선,김현철,최종명,Oh, Sang Se,Park, Myong Sun,Kim, Hyun Cheul,Choi, Jong Myung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9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8 No.2

        상토에 기비로 혼합된 질소의 $NH_4{^+}:NO_3{^-}$ 비율이 '녹광' 고추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해 코이어 더스트, 피트모스 및 펄라이트를 부피 기준 35:35:30%로 혼합한 상토를 조제하였으며, 상토원료 혼합과정에서 총 질소 농도가 $300mg{\cdot}L^{-1}$인 조건에서 $NH_4{^+}:NO_3{^-}$ 비율을 0:100, 27:73, 50:50, 73:27 및 100:0으로 조절한 5처리를 두어 실험하였다. 질소 외에 다른 필수원소를 포함한 비료는 모든 처리에서 동일한 농도로 조절하였고, 비료를 포함한 상토를 50구 플러그 트레이에 충진한 뒤 고추 종자를 파종하였다. 파종 전과 파종 후 상토의 pH, EC 및 다량원소 농도를 분석하였으며, 파종 7주 후에는 지상부 생장조사와 식물체 무기원소 함량을 분석하였다. 파종 전 상토 pH는 질소 비율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으나 생장이 진행되면서 $NO_3{^-}$의 비율이 높은 처리의 상토 pH가 상승하였다. $NH_4{^+}$의 비율이 클수록 파종 전 상토의 EC가 높았으나 모든 처리의 EC가 파종 3주 후부터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고추묘 생장이 진행됨에 따라 상토의 $NH_4{^+}$-N, $NO_3{^-}$-N 그리고 다른 종류의 다량원소 농도가 EC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낮아졌다. 파종 7주 후 고추의 지상부 생장을 조사한 결과 $NH_4{^+}:NO_3{^-}$ 비율이 27:73과 50:50 처리구에서 전반적인 생장이 우수하였고, $NH_4{^+}$ 비율이 73% 이상일 경우 저조한 생장을 보였다. 또한 생장이 가장 우수하였던 50:50($NH_4{^+}:NO_3{^-}$) 처리구의 식물체내 T-N, K, Ca 및 Mg 등 다량 무기원소 함량이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고려할 때 '녹광' 고추의 플러그 묘 생장을 위해서는 상토에 기비로 혼합하는 전체 질소 중 $NH_4{^+}$의 비율을 27% 또는 50%로 조절하는 것이 묘 생장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pre-planting fertilizers with various $NH_4{^+}:NO_3{^-}$ ratios in a coir dust:peatmoss:perlite (3.5:3.5:3.0, v/v/v) medium on the growth of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cv. Nokkwang) plug seedling. Nitrogen levels were fixed to $300mg{\cdot}L^{-1}$ and the $NH_4{^+}:NO_3{^-}$ ratios were varied to 0:100, 27:73, 50:50, 73:27, and 100:0. The 50-cell trays were filled with treatment media containing pre-plant fertilizers, then seeds were sown. After seeds were germinated, the trays were moved to greenhouse and seedlings were feed with 13-2-13 and 20-9-20 fertilizers, alternatively. The changes in pH and EC were measured every week and soil solution for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in week 0, 3, and 7. The measurements of seedling growths as well as analysis of tissue nutrient contents were also conducted in week 7. The varied $NH_4{^+}:NO_3{^-}$ ratios did not influence on the pHs of root media after incorporation of pre-planting fertilizers, but the ECs were heightened as proportion of $NH_4{^+}$ to $NO_3{^-}$ were elevated. During the raising of seedlings, the pHs rose over time in the treatments of 0:100 and 27:73 ($NH_4{^+}:NO_3{^-}$). The concentrations of all macro-elements in root media decreased gradually as seedlings grew in all treatments. The seedling growths 7 weeks after seed sowing were the highest in the treatments of 27:73 and 50:50 ($NH_4{^+}:NO_3{^-}$) and those became worse in the treatments of higher $NH_4{^+}$ ratios than 73%. In terms of inorganic element contents based on the dry weight of above ground tissue, the treatment of 0:100 showed the lowest content of Ca, Mg, Na, Cu, Mn, and Zn. Based on the results, it is desired that $NH_4{^+}$ ratio in pre-planting fertilization is maintained to be 50% or less for the raising of hot pepper plug seedlings.

      • KCI등재

        상토 조제과정에서 혼합된 질소 시비 수준 차이가 고추 플러그 묘 생장과 상토 및 식물체 무기염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오상세(Sang Se Oh),김윤섭(Yun-Seob Kim),박명선(Myong Sun Park),김현철(Hyun Cheul Kim),최종명(Jong Myung Choi)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8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7 No.2

        상토에 기비로 혼합된 질소 시비수준 차이가 ‘녹광’ 고추의 플러그 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코이어더스트, 피트모스 그리고 펄라이트를 용적기준 35, 35 및 30%로 혼합한 상토를 조제할 때 질소를 0, 100, 250, 500, 750, 1,000 및 1,500mg·L<SUP>-1</SUP>로 농도를 조절하여 첨가하였고, 질소를 제외한 필수원소는 모든 처리에서 동일한 농도로 조절하였다. 비료를 포함한 상토를 50-cell 트레이에 충진한 후 종자를 파종하였다. 파종 후 매주 pH와 EC 측정, 파종 0, 3 및 7 주 후 상토의 다량원소 농도 분석, 그리고 파종 7주 후에 지상부 생장 조사와 식물체 무기원소 함량을 분석하였다. 파종 전 상토의 pH는 질소수준별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육묘기간이 길어질수록 처리간 차이가 커지는 경향이었다. 상토의 EC는 파종 전 질소 시비수준별 뚜렷한 차이를 보였지만, 파종 4주 이후부터 처리간 차이가 적어졌고, 7주 후에는 모든 처리에서 유사한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상토 추출용액의 NH₄-N 및 NO₃-N 농도는 EC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낮아졌고, 다량원소농도 역시 파종 3주 이후에 감소폭이 더 커졌다. 파종 후 7주 후 조사한 고추 유묘의 지상부 생장은 500 및 750mg·L<SUP>-1</SUP> 처리구에서 우수하였으며, 1,000mg·L<SUP>-1</SUP> 이상의 처리구에서는 질소 무시비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생장이 저조하였다. 파종 7주 후 분석한 식물체내 N 함량은 질소 시비수준이 높아질수록 직선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지상부 생장이 우수하였던 500 및 750mg·L<SUP>-1</SUP> 시비구가 각각 5.13 및 5.31%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하였을 때 고추의 유묘 생장을 위해서는 기비로서의 질소시비수준을 500 또는 750mg·L<SUP>-1</SUP>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물중에 기초한 N 함량이 5.1~5.3% 수준으로 시비농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 Investigation of the optimum levels of pre-plant nitrogen for raising of hot pepper (cv. Nokkwang) plug seedlings wa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To achieve this, the pre-plant nitrogen levels were varied to 0, 100, 250, 500, 750, 1,000, and 1,500 mg·L-1 and the other essential nutrients were controlled to equal concentrations in all treatments. All the fertilizers were added during the formulation of the mixed medium of coir dust, peatmoss, and perlite with the ratio of 35, 35, and 30% (v/v/v). The root medium containing pre-plant fertilizer was packed into 50-cell plug trays and seeds were sown. The measurement of pH and EC in every week, soil solution analysis for nutrients in week 0, 3, and 7 and growth measurements as well as tissue analysis for nutrient contents in week 7 were conducted. The pHs measured before seed sow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became significant as seedlings grow bigger. The soil solution E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in week 0 and these differences were diminished by degrees after week 3, resulting in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in week 7. The trends in changes of NH₄-N, NO₃-N, and other the macro-element concentrations in soil solution of root media were similar to those of ECs. The treatments of 500 and 750 mg·L-1 N were more effective than other treatments on seedling growth. The seedling growths in the treatments containing higher N than 1,000 mg·L<SUP>-1</SUP> and control were severely suppressed. The elevated pre-plant N concentrations in the root medium resulted in the increase of tissue N contents. The treatments of 500 and 750 mg·L<SUP>-1</SUP> N shown the highest seedling growths had 5.13% and 5.31%, respectively, in tissue N contents based on the dry weight of above ground tissue at week 7.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optimum level of pre-plant N is 500 to 750 mg·L<SUP>-1</SUP> for the raising of hot pepper plug seedlings.

      • KCI등재

        상토에 기비로 혼합된 NH₄ ⁺:NO₃⁻ 비율에 따른 ‘녹광’ 고추 플러그 묘의 생장

        오상세(Sang Se Oh),박명선(Myong Sun Park),김현철(Hyun Cheul Kim),최종명(Jong Myung Choi)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9 시설원예‧식물공장 Vol.28 No.2

        상토에 기비로 혼합된 질소의 NH₄⁺:NO₃⁻ 비율이 ‘녹광’ 고추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해 코이어 더스트, 피트모스 및 펄라이트를 부피 기준 35:35:30%로 혼합한 상토를 조제하였으며, 상토원료 혼합과정에서 총 질소 농도가 300mg·L<SUP>-1</SUP>인 조건에서 NH₄ ⁺:NO₃⁻ 비율을 0:100, 27:73, 50:50, 73:27 및 100:0으로 조절한 5처리를 두어 실험하였다. 질소 외에 다른 필수원소를 포함한 비료는 모든 처리에서 동일한 농도로 조절하였고, 비료를 포함한 상토를 50구 플러그 트레이에 충진한 뒤 고추 종자를 파종하였다. 파종 전과 파종 후 상토의 pH, EC 및 다량원소 농도를 분석하였으며, 파종 7주 후에는 지상부 생장조사와 식물체 무기원소 함량을 분석하였다. 파종 전 상토 pH는 질소 비율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으나 생장이 진행되면서 NO₃⁻의 비율이 높은 처리의 상토pH가 상승하였다. NH₄⁺의 비율이 클수록 파종 전 상토의 EC가 높았으나 모든 처리의 EC가 파종 3주 후부터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고추묘 생장이 진행됨에 따라 상토의 NH₄⁺-N, NO₃⁻-N 그리고 다른 종류의 다량원소 농도가 EC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낮아졌다. 파종 7주 후 고추의 지상부 생장을 조사한 결과 NH₄⁺:NO₃⁻ 비율이 27:73과 50:50 처리구에서 전반적인 생장이 우수하였고, NH₄⁺ 비율이 73% 이상일 경우 저조한 생장을 보였다. 또한 생장이 가장 우수하였던 50:50(NH₄⁺:NO₃⁻) 처리구의 식물체내 T-N, K, Ca 및 Mg 등 다량 무기원소 함량이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고려할 때 ‘녹광’ 고추의 플러그 묘 생장을 위해서는 상토에 기비로 혼합하는 전체 질소 중 NH₄⁺의 비율을 27% 또는 50%로 조절하는 것이 묘 생장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pre-planting fertilizers with various NH₄ ⁺:NO₃⁻ ratios in a coir dust:peatmoss:perlite (3.5:3.5:3.0, v/v/v) medium on the growth of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cv. Nokkwang) plug seedling. Nitrogen levels were fixed to 300 mg·L<SUP>-1</SUP> and the NH₄ ⁺:NO₃⁻ ratios were varied to 0:100, 27:73, 50:50, 73:27, and 100:0. The 50-cell trays were filled with treatment media containing pre-plant fertilizers, then seeds were sown. After seeds were germinated, the trays were moved to greenhouse and seedlings were feed with 13-2-13 and 20-9-20 fertilizers, alternatively. The changes in pH and EC were measured every week and soil solution for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analyzed in week 0, 3, and 7. The measurements of seedling growths as well as analysis of tissue nutrient contents were also conducted in week 7. The varied NH₄ ⁺:NO₃⁻ ratios did not influence on the pHs of root media after incorporation of pre-planting fertilizers, but the ECs were heightened as proportion of NH₄ ⁺:NO₃⁻ were elevated. During the raising of seedlings, the pHs rose over time in the treatments of 0:100 and 27:73 (NH₄ ⁺:NO₃⁻). The concentrations of all macro-elements in root media decreased gradually as seedlings grew in all treatments. The seedling growths 7 weeks after seed sowing were the highest in the treatments of 27:73 and 50:50 (NH₄ ⁺:NO₃⁻) and those became worse in the treatments of higher NH₄ ⁺ ratios than 73%. In terms of inorganic element contents based on the dry weight of above ground tissue, the treatment of 0:100 showed the lowest content of Ca, Mg, Na, Cu, Mn, and Zn. Based on the results, it is desired that NH₄ ⁺ ratio in pre-planting fertilization is maintained to be 50% or less for the raising of hot pepper plug seedl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