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단 모드형 자성유체댐퍼의 설계

        김해란(Hae-Lan Kim),이영신(Young-Shin Lee),이은엽(Eun-Yup Lee),이규섭(Gyu-Seop Lee),오부진(Boo-Jin Oh) 대한기계학회 2007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7 No.5

        MR(Magneto-rheological) fluid is smart material that can be changed viscosity by controlling the magnetic field. MR damper with MR fluid can control damping force. It can be used extensively many engineering structures for reducing the effect of dynamic external disturbances. There are three kinds of MR dampers, such as valve mode, direct-shear mode and squeeze mode. In this study, design process of direct-shear mode MR damper with the MR fluid gap was developed. The parameters that used in the direct-shear mode MR damper Informed from the experiment of valve mode MR damper of Lord company. Magnetic analysis with finite element method was performed to find the optimal annular gap.

      • 자기유변 댐퍼의 설계와 동특성

        김해란(Hae-Lan Kim),이영신(Young-Shin Lee),이은엽(Eun-Yup Lee),이규섭(Gyu-Seop Lee) 대한기계학회 200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8 No.5

        Three kinds of MR damper, such as valve mode type, direct-shear mode type and squeeze mode type are applied in engineering field. In this paper, a valve mode type MR prototype damper was designed and fabricated for experimental study. The circuit design of MR damper consisted with the bobbin, retainer and outer cylinder. The magnetic analysis with finite element method was performed to define these parameters such as the bobbin length, inner cylinder width, MR fluid gap. Dynamic characterization was performed on universal material test system (MTS) 810. The vibration frequency, displacement and current were considered as input factors, and the damping force was measured as the output factor. Force versus displacement diagrams and force versus velocity diagrams have been plotted with these factor levels. Damper can be used for automotive damper with 1 z - 5 ㎐ range.

      • KCI등재

        모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

        임영화(Lim, Young Hwa),김해란(Kim, Hae Lan)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0 복지상담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불안정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 411명의 불안정 성인애착척도, 배우자 지지척도, 양육스트레스척도를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SPSS(PASW) 21.0 및 AMOS 21.0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 양육스트레스, 배우자 지지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애착불안과 양육스트레스, 애착회피와 양육스트레스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이었으며, 애착불안과 배우자 지지, 애착회피와 배우자 지지 모두 유의한 부적상관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배우자 지지는 불안정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불안정 성인애착의 두 차원 중 애착불안과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는 부분매개효과를, 애착회피와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는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의의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pous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parenting stress. The data of total 411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aged 1∼7 around the nation was used in analysi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The major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insecure adult attachment(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parenting stress, and perceived spousal support. Specifically, both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parenting stress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perceived spousal support. Second, perceived spous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parenting stress, and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parenting stress.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대인관계위기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안향(An Hyang),김해란(Kim Hae Lan)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8 복지상담교육연구 Vol.7 No.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crisis in adolesc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uicidal ideation, and hope,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risis in adolesc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the study purpose, adolescents from a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were recruited for a survey, and 474 stude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all analyses, SPSS 23.0 program was employed.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risis in adolesc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suicidal ideation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sub-factors of hope such as agency thinking and pathways thinking, agency thinking and pathways thinking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uicidal ideation. Second, one of the sub-variables of hope, agency thinking, was confirmed to partially mediate crisis in adolesc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uicidal ideation, while pathways thinking showed insignificant mediating effe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대인관계위기와 자살생각, 희망의 관계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대인관계위기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하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474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고, 모든 분석에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청소년의 대인관계위기는 자살생각과 정적 상관이 그리고 희망의 하위요인인 주도사고와 경로사고와는 부적인 상관이 있으며, 주도사고와 경로사고는 자살생각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희망의 하위변인인 주도사고는 청소년의 대인관계위기와 자살생각을 부분 매개하고 있으나, 경로사고는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대인관계위기에서 희망이 자살생각에 보호요인으로 작용함을 밝혔다는 점에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희망을 활용한 상담에서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년기 여성의 무의식적 죄책감에 대한 비판적 사례 연구

        김해란 淑明女子大學校 亞細亞女性問題硏究所 2009 아시아여성연구 Vol.48 No.1

        이 연구는 청년기 여성의 무의식적 죄책감과 실패욕구에서 오는 피학적 경향성과 남성 중심의 성별 문화 그리고 남성 중심의 대상관계 배열의 관계를 보고자 한 비판적 사례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이 된 세 개의 사례를 살펴보면, 사례A는 핵가족의 형태를 띠고 있으면서 가족들의 전체 삶이 확대 가족들 특히 할아버지와 위계적이고 수직적인 가부장적 관계를 보이고 있다. 사례B는 아버지의 죽음으로 청년기 여성과 어머니만 살고 있는 사별 가정이다. 사례C는 확대 가족들과의 유대나 얽힘이 별로 없는 특히 결혼 이후 외가와의 관계가 거의 단절된 폭력 가정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기 여성들은 현상적으로는 어머니와의 지나친 유대를 지속하고자 혹은 벗어나고자 하는 것에서 오는 무의식적 죄책감과 실패욕구로 각각 자기-파괴적이고 처벌적인 자기부정, 자기결백, 반항과 일탈 행동을 보인다. 이는 청년기 여성들이 처한 사회문화적 현실과 어머니와의 관계 내용과 관계성에 따른 차이이다. 둘째, 청년기 여성들은 어머니와의 지나친 유대로 무기력과 극도의 자기-파괴성을 보인다. 이는 청년기 여성과 어머니의 분리-개별화를 막는데서 오는 무의식적 어려움이다. 셋째, 청년기 여성들은 어머니와 분리-개별화하려는 의식적 무의식적 노력을 통해 자기선택적인 삶과 열정 그리고 관계의 통합으로 나아간다. 어머니와의 동일시를 통해 세대를 이어 동일한 관계를 반복하는 것은 한편에서는 어머니와의 융합을 또 다른 한편에서는 어머니에게 좋은 것을 주고 떠나려는 분리를 포함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청년기 여성의 피학적 경향성과 관련된 무의식적 죄책감과 실패 욕구에서 발달적 결핍이나 외상의 문제로 보는 개인 내적인 접근에서 벗어나 외적인 사회문화적 현실과 개인의 심리적 현실과의 역동적 관계에 대해 이해할 것을 제시한다. The thesis presents a critical case study that observes women's masochistic tendency, male-centered sexual culture and the male-centered relation of object-relation constellation. Three women's cases were chosen for analysis since their socio-cultural backgrounds include particular and general aspects. Case A is based on a nuclear family that shows a hierarchical, vertical, patriarchal relationship with grandfather in the extended family, Case B based on a family of a adolescent woman and a widow, and Case C based on the violent family, not related to the extended family especially with mother's family.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phenomenally adolescent women show self-destructive and self-punishment, self-denial, self-innocence, rebellion, delinquency that results from the unconscious guiltiness and the failure desire caused by either the continuation of excessive relationship with mothers or the escape from it. This is difference that results from different relation-contents and relationship with mother, and different socio-cultural backgrounds surrounding adolescent women. Second, adolescent women reveal psychological helplessness and extreme self-destruction due to the excessive relationship with mother. These happen when the desire to seoarate herself from mother is not achieved. Third, adolescent women goes toward self-selective life and aspiration, and the integration of relation through the conscious or unconscious striving to separ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