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폐이식 이후에 발생하는 재관류부종의 방사선학적 고찰

        김태훈,유영훈,김형중,안철민,백효채,이두연,김상진,Kim, Tae-Hun,Yu, Yeong-Hun,Kim, Hyeong-Jung,An, Cheol-Min,Baek, Hyo-Chae,Lee, Du-Yeon,Kim, Sang-Jin 대한영상의학회 200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49 No.4

        Purpose: To elucidate the sequential radiologic manifestations of reperfusion edema after lung transplant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group comprised five consecutive lung transplant recipients (M:F=3:2; mean age; 47.5 years) who between July 1996 and April 2002 underwent lung transplantation procedures (four, unilateral; one, bilateral) at our institution.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serial postoperative radiographs obtained and characterized the lung infiltrates. Results: Lung infiltrates compatible with reperfusion edema were present in all patients (5/5). Reperfusion edema appeared on day 1 in four, and by day 2 in the other. In all transplanted lungs, infiltrates were found in the perihilar and basilar regions, and were scored as maximal on day 1 in one, day 3 in two, day 4 in one and day 5 in the other. Conclusion: The recognition of sequential radiological manifestations helps identify recognition of reperfusion edema after lung transplantation. 목적: 본 연구는 폐이식후 재관류부종의 시기에 따른 방사선적 소견을 기술하려고 한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폐이식을 시행받은 5명의 수여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996년 7월부터 2002년 3월까지 세 명의 남자와 두 명의 여자가 폐이식을 받았고, 평균 연령은 47.5세 였다. 이 중 4 명은 한쪽 폐만 이식을 받았고, 1명은 양폐 이식을 받았다. 모든 수술후 연속적인 수술후 방사선 사진을 분석하고, 폐음영을 기술 하였다. 결과: 재관류부종은 네 명에서는 수술후 1일째에 , 한 명에서는 2일째에 나타났다. 최대치의 폐음영은 한 명에서 수술후 1일에, 두 명에서 수술후 3일째에, 한 명에서 4일째에, 나머지 한 명은 술후 5일째에 있었다. 결론: 재관류부종은 모든 폐이식 이후에 일어나는 현상이며 방사선학적으로는 폐문주위와 하폐에 우세하게 분포하는 미세 망상형 또는 기강경화로 나타나며, 약 5일 이내에 최대 시기를 거치고 3주 이내에 특별한 치료없이 소실된다.

      • KCI등재
      • KCI등재

        Vinylanisole을 포함한 고굴절률 안의료용 렌즈 재료에 관한 연구

        김태훈,성아영,Kim, Tae-Hun,Sung, A-Young 대한화학회 2010 대한화학회지 Vol.54 No.6

        본 연구는 3-vinylanisole과 4-vinylanisole를 교차결합제인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와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 (methyl methacrylate), NVP (N-vinyl-2-pyrrolidone) 그리고 개시제인 AIBN (azobisisobutyronitrile)과 함께 공중합 하였다. 생성된 고분자 재료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굴절률 1.4496 - 1.4894, 함수율 22.93 - 35.50%, 가시광선 투과율 88.8 - 90.8%를 나타내었다. 또한, 3-vinylanisole과 4-vinylanisole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굴절률은 증가하였으며, 함수율은 감소하였다. 3-vinylanisole과 4-vinylanisole을 15% 첨가한 콘택트렌즈의 경우, UV-A 52.8 - 82.2%, UV-B 13.2 - 26.2%의 투과율을 나타내어 자외선 차단 효과가 다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생성된 공중합체는 자외선 차단성과 고굴절률을 가진 안의료용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used 3-vinylanisole and 4-vinylanisole with the cross-linker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 (methyl methacrylate), NVP (N-vinyl-2-pyrrolidone) and the initiator AIBN (azobisisobutyronitrile) for copolymerization. Measurement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polymerized material showed that the refractive index is 1.4496 - 1.4894, water content 22.93 - 35.50%, visible transmittance 88.8 - 90.8%. Also, measurements showed that the refractive index increased while the water content decreased as the ratio of 3-vinylanisole and 4-vinylanisole increased. And in cases of copolymer with 3-vinylanisole, 4-vinylanisole (added 15%) the results showed transmittance of 52.8 - 82.2%, 13.2 - 26.2% respectively for UV-A and UV-B showing that they have UV-blocking effe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duced copolymer can be estimated to be suitable for use as ophthalmic lens material for high refractive index and UV- blocking effects.

      • KCI등재

        프로필렌 글리콜을 첨가제로 사용한 고분자재료의 물성 및 콘택트렌즈 응용

        김태훈,성아영,Kim, Tae-Hun,Sung, A-Young 대한화학회 2010 대한화학회지 Vol.54 No.1

        Propylene glycol을 첨가제로 사용하여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와 교차결합제인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그리고 개시제인 AIBN(azobisisobutyronitrile)을 사용하여 공중합 하였다. 생성된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37.06~38.71%, 굴절률 1.492~1.432, 가시광선 투과율 89.4~91.5%, 인장강도 0.1416~0.2302 kgf 그리고 접촉각의 경우 $38.60{\sim}53.53^{\circ}$ 범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propylene glycol을 첨가한 콘택트렌즈 재료의 경우, 기본적인 콘택트렌즈의 물성을 만족하였으며 함수율의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습윤성과 인장강도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propylene glycol was copolymerized in the presence of AIBN (azobisisobutyronitrile) initiator in a moul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ntact lens were measured. The water content of 37.06~38.71%, refractive index of 1.492~1.432, visible transmittance of 89.4~91.5%, tensile strength of 0.1416~0.2302 kgf, and contact angle of $38.60{\sim}53.53^{\circ}$ were obtained. Therefore, the contact lens material produced using propylene glycol as an additive satisfied the basic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for contact lenses application.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an increase in wettability and tensile strength while having no significant changes in water content.

      • KCI등재

        N,N-Dimethylacrylamide를 포함한 하이드로젤 렌즈의 제조 및 물리적 특성

        김태훈,성아영,Kim, Tae-Hun,Sung, A-Young 대한화학회 2010 대한화학회지 Vol.54 No.6

        Poly (N,N-dimethylacrylamide) is very useful in various fields due to its remarkable properties, such as water solubility and biocompatibility. This study used N,N-dimethylacrylamide with the cross-linker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 (methyl methacrylate), NVP (N-vinyl-2-pyrrolidone) and the initiator AIBN (azobisisobutyronitrile) for copolymerization. Measurement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polymerized polymer showed that the water content was 36 - 42%, refractive index was 1.433 - 1.426 and visible ray transmittance 90 - 91% while the oxygen permeability showed a distribution between 13.1 and $21.29{\times}10^{-11}(cm^2/sec)$ ($mlO_2/mL{\times}mmHg$). The measurement showed that the increased amount of oxygen permeability of the copolymer measured using the polarographic method range between 11.0% and 80.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duced copolymer is suitable for use as a material to high oxygen permeability hydrogel lenses. Poly (N,N-dimethylacrylamide)는 수용성과 생체적합성이 뛰어나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N,N-dimethylacrylamide를 교차결합제인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와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MMA (methyl methacrylate), NVP (N-vinyl-2-pyrrolidone) 그리고 개시제인 AIBN (azobisisobutyronitrile)과 함께 공중합 하였다. 생성된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36 - 42%, 굴절률 1.433 - 1.426, 가시광선 투과율 90 - 91%, 산소전달율 13.1 - $21.29{\times}10^{-11}(cm^2/sec)$ ($mlO_2/mL{\times}mmHg$) 범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polarographic method에 의한 공중합체의 산소전달율을 측정한 결과 N,N-dimethylacrylamide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11.0% - 80.5% 증가한 결과를 보였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생성된 공중합체는 고산소투과성을 지닌 하이드로젤 렌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4-Fluorostyrene을 포함하는 안의료용 고분자 합성 및 물리적 특성

        김태훈,성아영,Kim, Tae-Hun,Sung, A-Young 대한화학회 2010 대한화학회지 Vol.54 No.3

        본 연구는 4-fluorostyrene을 교차결합제인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와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그리고 개시제인 AIBN (azobisisobutyronitrile)과 함께 공중합 하였다. 생성된 고분자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19.98 ~ 31.08%, 굴절률 1.443 ~ 1.475, 가시광선 투과율 87 ~ 93%, 인장강도 0.246 ~ 0.311 kgf 그리고 접촉각의 경우 54.14 ~ $66.95^{\circ}$ 범위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4-Fluorostyrene 첨가한 콘택트렌즈 재료의 경우, 기본적인 콘택트렌즈의 물성을 만족하였고, styrene 비교하여 함수율의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습윤성과 굴절률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생성된 공중합체는 고 굴절률과 습윤성을 지닌 콘택트렌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used 4-fluorostyrene with the cross-linker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and the initiator AIBN (azobisisobutyronitrile) for copolymerization. Measurement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polymerized polymer showed that the water content was 19.98 ~ 31.08%, refractive index 1.443 ~ 1.475, visible transmittance 87 ~ 93% and tensile strength 0.246 ~ 0.311 kgf while the contact angle showed a distribution between $54.14^{\circ}$ and $66.95^{\circ}$. Therefore, the ophthalmic material produced using 4-fluorostyrene satisfied the basic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for contact lenses and also showed an increase in wettability and refractive index while having no significant change in water content with relation to styren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duced copolymer is suitable for use as a material to high refractive index and wettability contact lense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