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原泉 洪祐健 산문론의 주체적 상상력 - 이조 후기 산문론에서 ‘悟’의 문제와 관련하여

        김철범(Kim Cheol Beom)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6 동양한문학연구 Vol.22 No.-

          이 논문은 19세기 산문작가인 홍우건의 산문론을 고찰한 것이다. 홍우건은 당대 이름난 문인이었던 홍길주의 아들로 태어나, 19세기 중ㆍ후반기를 살다간 인물이다. 그는 관직에 나아가 벼슬을 살았지만, 憲宗대에 의욕을 보인 것 외에는 정치활동에 그렇게 적극적이지 않았으며, 반면 일생을 독서와 함께 文人으로 살려고 노력했다. 그는 부친 홍길주의 영향을 크게 받아 문학에서도 부친의 문학론을 승계하여 발전시켰다. 특히 사물인식의 지평을 넓히기 위한 독서와 관찰을 중시했으며, 창작에서는 ‘悟解’를 강조했다. 본고는 이 ‘悟’의 문제를 중점으로 그의 문학론을 설명코자 했다.   문학론에서 ‘悟’의 문제는 고려 말기부터 간간히 거론되었지만, 본격적으로 산문론에서 거론된 것은 김창협에게서 찾아볼 수 있는데, 그는 개성주의로서 ‘妙悟’를 강조하였다. 그 이후 조귀명 등에 의해서 ‘解悟’가 주장되었는데, 그것은 문학이 道나 義理로부터 분리되어 작가 주체의 것으로 자리를 잡는 것이었다. 다시 그 이후 홍길주에게서 다시 ‘悟’의 문제가 다루어진 것인데, 그는 작가의 주체적 각성이라는 의미에서 ‘悟’를 강조했던 것이다. 이를 홍우건이 계승하여 발전시켜 역시 ‘悟解’를 강조했던 것인데, 그에게서 이 ‘悟’는 바로 작가의 주체적 상상력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는 18세기 실학과 함께 주체적 반성이 개개 인간의 주체의 발견으로 발전되고, 이러한 주체적 각성이 다시 산문창작과 이론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후 김창희나 이건창 등의 문인들에게서도 계승된 면을 발견할 수 있다.   This thesis considers Hong U-Keon"s prose theory, who was a prose writer in Joseo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His father, Hong Gil-Ju, was a famous literary man of those days, and Hong U-Keon, himself also lived as a writer in the middle and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Although he was in the government service, he did not try to be positive about political activities except that he expressed his political desires in King Heon-Jong days. Rather he tried to live as a literary man reading books for his all lifetime.   He was greatly influenced with his father, so later he inherited and developed his father"s literature. Especially, he laid much emphasis on reading and observation for extending knowledge and experience that cognize things and valued ‘Consciousness and Resolution’(悟解) in the part of creative writing. This thesis tries to explain his literature theory by treating the matter, Consciousness, in detail.   There had been some discuss on the matter of ‘consciousness’(悟) in literature theories from the end of Goryeo, we can find, however, that the real issue for prose theory was earnestly considered by Kim Chang-Hyeop, who laid emphasis on "Exquisite consciousness"(妙悟) as Personalism.   After that time, ‘Resolution and Consciousness’(解悟) was claimed by other literary men like Jo Gwi-Myeon. It represented that at last literature was separated with ‘Morality’(道) or ‘Justice’(義理) and was set as writer" subjective thing. Then, ‘consciousness’(悟) was treated by Hong Gil-Ju, who took and emphasized it as writer"s subjective disillusion. And Hong U-Keon also succeeded and developed it, ‘Consciousness and Resolution.’ For him, this ‘Consciousness’ was just to mean writer"s subjective imagination. With the 18th Realism, subjective introspection was developed into each individual" subjective discovery and the subjective disillusion was shown as prose writing and theory once again. Since then, we can find that it was succeeded to writers such as Kim Chang-Hui or Lee Geon-Chang.

      • KCI등재

        삼원당(三元堂) 허원식(許元식)의 삶과 현실인식 -조선말 지식인의 현실대응 의식

        김철범 ( Cheol Beom Kim ) 東方漢文學會 2009 東方漢文學 Vol.0 No.39

        19세기 후반 조선사회는 문명사적이자 역사적인 전환기를 맞고 있었다. 이런 전환기적 시대에 처한 당시 지식인들은 자신의 지식과 학문을 기반으로 변화에 대응하는 논리를 갖추고 현실적 실천에 옮기기도 했다. 당시 지식인들의 다양한 대응방식은 좀더 면밀히 고찰할 필요가 있는데, 본고는 허원식을 통해 그 일단을 살펴보고자 한다. 허원식은 영남 남인의 지식인으로서 고종의 등극과 대원군집정을 계기로 정계에 진출하여 당시 대원군의 개혁정책에 동조하며 현실개혁문제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다. 몇 차례의 상소문을 통해 그의 문제의식과 현실인식을 보여주었는데, 이 상소문을 중심으로 그의 문명론적 시각과 복고적 이상론을 살피게 될 것이다. 그리고 허원식의 이러한 의식들은 자신의 학문연원인 근기실학의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는데, 이런 점에서 성재 허전 이후 근기실학의 학문전통이 후대에 어떻게 발전 전개되었는지를 짐작하는 단초를 보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Choson met a transitional period of civilization and history in the end of century. At this point of time, an intellectual had one`s point for face to transition and carried out a realistic practice. It was based on one`s knowledge and leaning. We must consider their`s variation stand. Then I consider a part through Hyo-WonSik. He was an intellectual of Yongnam district. He was concerned about social reform. It was taken opportunity by enthronement of King Go-Jong and governing of Sir Dae-Won. He indicated his consciousness through some a memorial to the Throne. I will look his civilized view and thought of idealistic restoration through his memorial to the Throne. Also his leanging was taken root to tradition of practical science. From this point, I hope to see the future developments of practical science.

      • KCI등재

        기획논문 : 예강(禮岡) 안언호(安彦浩)의 삶과 지식인 의식 -조선말 향존지식인의 한 초상-

        김철범 ( Cheol Beom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1 남명학연구 Vol.32 No.-

        본 논문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를 살다간 향촌 지식인 예강 안언호의 삶과 의식을 살펴본다. 그는 김해에서 태어나 평생을 그곳에서 살다 그곳에서 죽었다. 그는 근기실학의 계승자인 성재 허전의 문하에 들어가 그의 제자가 되었다. 그가 살았던 조선사회는 왕조의 붕괴와 일제 식민지 침탈로 점철된 변혁의 시대를 겪었다. 이런 변혁의 시대를 겪은 그는 조선시대부로서 자신의 지위와 역 할에 고민했다. 과거를 포기한 이후 그는 향촌사회의 시대부로서 자신의 책무에 충실코자 노력했다. 그는 학통의 문헌간행과 계회조직을 통한 동지들 간의 결속에 적극 참여함으로서 향촌사대부 지식인들 사이의 연대의식을 강화했으며, 서당의 건립과 향교 복원을 통해 향촌사회 사림들의 학문진작에 힘썼다. 또 한 유가의 덕목을 지킴으로서 사풍을 유지하려는 그의 노력은 효우정신의 선양 에 특히 관심을 기울이기도 했다. 물론 그의 이런 노력들이 근대문명의 충격을 흡입하기에는 역부족이었으여, 또한 유가적 지식이 근대문명의 대안이 되기에도 이미 한계에 도달해 있었다. 그러나 그의 경우를 볼 때, 이들 일부 향촌 지식인들은 공동의 유가적 가치관과 윤리관을 갖고 하나의 지적 공동체를 형성했으며, 향촌사회 내부에서도 일정한 힘을 발휘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성재 허전의 문도들 사이에 이런 공통점이 발견된다는 점에서 이들 집단에 대한 면밀한 연구를 통해 향촌 지식인의 약사적 의의를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Ye-Kang An Yeon-Ho`s life and consciousness. He was a rural intellectuals who lived the lat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y. He was` born in Kim-hae, and lived there his whole life, where he died. He became a disciple of Heo-Jeon who was successor of Kun-Ki Silhak. He suffered a period of transformation that Chosun dynasty is collapse and the colony Japanese is invade. He went through a period of transformation as he Chosun Sadaebu, and he worried for their own status and role. Since he gave up "Kwago", he had the initiative to adhere to their obligations as Sadaebu of a country community. He tried to strengthen solidarity among intellectuals with other villages Sadaebu through publishing literature book of his tutor and organization by theres network. Also he made efforts to construct of communities through building a village schoolhouse and restoration of a local old-time school belonging to the Confucian shrine. And keeping the man of virtue`s culture, he had a concern about the sprit of filial duty and friendship. Of these efforts, as well as his breath the impact of modem civilization was not enough. And Confucian`s knowledge also become an alternative to modern civilization has already reached the limit. However, when you view his case, rural intellectuals were take formation as some of these common values and ethical views. And they exerted his some power to the constant inside. In the Heo-jeon`s groups, we found common sense like this. Through careful study of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rural intellectuals, is expected to become a can.

      • KCI등재
      • KCI등재

        小訥 盧相稷의 저술 및 문헌출간활동 - 구한말 영남 지식인의 지식소통의 공간과 방식

        김철범(Kim Cheol Beom)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8 동양한문학연구 Vol.27 No.-

          이 논문은 노상직의 저술과 그가 출간에 관여했던 문헌들을 개괄하고, 이 책들의 출판간행과 당시 교육과 학술활동에서 실천적 노력을 기울였던 노상직의 지적 행적과 관련된 의미와 성격을 고찰하고 있다. 小訥 盧相稷(1855~1931)은 19세기 말기와 20세기 초기를 걸쳐 살다간 경남지역의 대표적 지식인 가운데 한 분이다. 어려서부터 총민했던 그는 부친을 따라 性齋許傳을 배알한 이후 학문에 뜻을 두어, 젊은 시절부터 허성재의 문하에 들어가 근기실학의 학문전통을 익혔다. 본래 학문의 실천적 공부를 중시했던 근기실학의 전통은 그에게 지식인으로서의 자세와 삶의 방향을 보여주었다고 본다. 관직에 별 뜻이 없었던 그는 독서와 글쓰기를 통한 지식인으로서의 자기 역할을 다하고자 노력했던 것인데, 그것이 그의 저술활동에 반추되어 나타난다. 스승인 허전이 자기 학문의 결정을 모두 저술로 쏟아내었던 것과 같이 노상직의 저술도 세상과 세태의 모순을 해결하려는 실천적 노력의 하나였던 것이다.<BR>  뿐만 아니라 노상직은 문헌의 출판 보급에도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었다. 밀양 蘆谷으로 거주를 옮긴 이후로 자신의 저술뿐만 아니라 각종 교육서와 문중이나 지역 유현들의 문헌 등 여러 종의 서적을 출간했다. 또한 노곡에서 출간하는 것이 아니더라도 노상직은 당시 주요 문헌간행을 주도하거나 교정에 직접 참여하기도 했다. 문헌출간사업에 이처럼 적극적으로 참여한 인물도 많지 않았는데, 그의 문학적 자질과 문헌에 대한 안목이 남달리 뛰어났던 때문인 것도 있지만, 출판 간행을 통해 문헌을 보급하고 지식을 소통시켜보려는 의지의 결과였다고 본다.   This essay generalizes Noh Sang-jik"s writings and documents which were involved in his publication. And it studies his intelligent achievements and meanings in the terms of his trying to make practical efforts for contemporary education and writing activities. Having lived in the last 19<SUP>th</SUP> and the early 20<SUP>th</SUP> centuries, Noh Sang-jik(1855~1931) w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intellects in Kyungnam region. He was told to be bright and keen when he was young, and met with his father SeongJae, Heo Jeon. After then, he had a will to learn and under Heo Jeon"s instruction he studied a tradition of modern practical science, realism. The tradition of modern practical science, which focused its basic on practical learning and work, is believed to have taught intellectual attitude and life course to him. With his less interesting in political environment and as one of the intellectuals he just tried to the best of his ability through reading and writing and it was reflected into his work. Just as his master, Heo Jeon, poured all his academic efforts into writings, Noh Sang-Jik"s work was also one of practical efforts trying to solve a contradiction between the world and its social conditions.<BR>  In addition, he was much interested in publishing and distributing. After moving into No gok, Miryang, he published not only his books but also all kinds of educational books, his relatives" and learned folks". Also, he encouraged contemporary other main writings to be published or edited them even though they were not published in No gok. His efforts for publication are considered due to his great gift for literature, and are somewhat more thought the result from his will for distributing literature documents and delivering knowledge in them to the contempora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古文選集의 편찬·간행과 의미

        김철범(Kim, Cheol-Beom)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9 동양한문학연구 Vol.28 No.-

        논문은 조선시대에 편찬 간행된 고문선집들을 개괄하고, 특히 조선후기의 고문선집의 편찬 간행이 갖는 문학사적 의의를 짚어본다. 조선전기의 고문선집들은 대체로 중국의 문선집을 수입하여 그대로 다시 간행했던 데 반해, 조선후기에는 조선의 문인들이 독자적으로 고문선집을 편찬하기에 이른다. 조선후기에 주류를 이룬 산문비평론을 크게 구분하면 진한고문론과 당송고문론이라고 하겠는데, 고문선집의 성향도 편집자의 비평의식에 따라 각기 다른 특징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고문선집의 경향을 통해 조선후기 산문비평의 흐름을 또 다른 측면에서 전망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thesis generalize an anthology of classical prose that compiled and published in Chosŏn, and consider that's historical significance on literature. An anthology of classical prose that compiled and published in the early Chosŏn was republish Chinese anthology, but in the late a literary man compile from an independent point. The theory of prose that constituted the main current in the late Chosŏn was the theory of Jin-Han's classical prose and the theory of Dang-Sung's classical prose. Then an inclinations of an anthology of classical prose varied with a standpoint of compiler. On the other side, we hope for have view of flowing of the prose criticism from the current of an anthology of classical prose.

      • KCI등재후보

        靑泉 申維翰의 문장학습법과 글쓰기론

        김철범(Kim Cheol-Beom)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7 동양한문학연구 Vol.25 No.-

          이 논문은 문장학습 방법과 글쓰기에 대한 신유한의 논지를 통해 그의 산문비평론의 일면을 고찰한다. 16세기 후반에 조선 문단 내부의 반성과 중국문단의 영향으로 유입되어온 진한고문이 유몽인과 같은 문인들에 의한 실험기를 거쳐 17세기 후반에 이르러 다양한 경로로 발전되었다. 신유한은 이 시기에 진한고문을 발전시킨 대표적인 문인이다.<BR>  신유한은 영남출신의 남인으로서 특별한 사승을 잇거나 문파에 속한 일도 없이, 스스로 진한고문의 학습을 통하여 독자적 공부방법을 터득하였다.『상서』로부터『좌전』ㆍ『사기』ㆍ『한서』 등에 이르는 고전 역사서를 문장정맥으로 삼고, 진한시대의 기사문에서 聲容·聲色을 파악하는 공부에 매진하였다. 우선 그의 생각 가운데 무엇보다도 독특한 것은 六經 가운데『상서』를 문장의 최고 전범으로 간주하고, 史傳文體의 모범으로 설정한 점이다. 육경을 문장전범으로 삼는 것은 진한고문론의 일반적 견해였다. 그러나 허목과 같은 이들은『상서』를 聖人 또는 聖人 시대의 문장으로 보고 성인의 학덕을 갖춘 글쓰기의 전범으로서 읽었지만, 신유한의 경우는『상서』의 글쓰기를 史傳體 즉 史家 문장의 정맥을 이룬 전형으로 읽었던 것이다.<BR>  특히 기사문의 예술성을 확보하기 위한 글쓰기에 많이 노력했던 신유한은 聲色이나 意境·意相을 산문창작론으로 끌어들여 산문의 예술적 성취를 해명코자 했다. 나아가 사실적 묘사를 통해 개성적 특성을 드러내기 위해 작품 안에 정신기백이 생동하는 진실한 면모를 표출시키는 "眞本色" 의 미학을 추구하였다. 일찍이 秦漢古文論이 記事文을 선호하는 전통이 있었지만, 기사문 글쓰기의 미학적 논리가 마련된 것은 신유한에 의해 실현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With Shin Yu-han"s learning style and argument of writing, this essay studies a phrase of his prose critic theory. The ancient writings of Ch"in and Han dynasties, which flowed into Joseon dynasty under the reconsideration which had occurred in Joseon literary inside and the influence which China literary had on Joseon in the later part of the sixteenth century, had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through the experimental period when some writers like Yu Mong-In had worked to the later part of the seventeenth century. Shin Yu-han, he was a typical writer who developed the ancient writings of Ch"in and Han dynasties at that time.<BR>  As a native of the southeastern, Shin Yu-han studied and got his own learning style by himself with his own study of the ancient writings of Ch"in and Han dynasties without taking over a particular chronicle or joining to a literary sect. He took ancient historic books from Book of History to Zuo"s Commentary, Historian Record, History oh Hanas a vein of his writing and pushed on the study of grasping shapes and feelings of sound in descriptive compositions which were written in Ch"in and Han dynasties.<BR>  First of all, this essay considers that the most special thing among his ideas is that he considered Book of History as the best model among〈Liu ching〉and took it as a model for a literary style of history. At that time, it was common among studies of the ancient writings of Ch"in and Han dynasties to take〈Liu ching〉 as a writing style. However, Shin You-han read the writing of Book of History as a typical writing style of history, that was as a type of achieving a vein of historian writings while some writers like Heo Mock thought Book of History as a sage or a writing style under a sage period and took it as a writing style with erudition of a sage.<BR>  Especially, he tried very hard to ensure virtuosity of descriptive composition and worked very hard to explain an artistic achievement of prose by taking shapes of sound or meaning boundaries into a study of prose creation. Furthermore, to show characteristic features through realistic descriptions, he pursued the aesthetics of "true colors" expressing true phases which had spirits animate in his works. There once was a tradition which preferred a descriptive style in the study of ancient writings of Ch"in and Han dynasties, but it could be evaluated that thanks to Shin Yu-han, an aesthetic argument of descriptive compositions has been arrang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