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흑한우와 한우 및 수입우를 판별하기 위한 multiplex PCR 기술
김찬수(Chan-Su Kim),고정문(Jung-Moon Ko),차현철(Hyeon-Cheol Cha),박중국(Joong Kook Park),정준(Joon Jeong)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8
본 연구는 현행 한우확인시험법에 이용되는 Microsatellite (MS)와 소의 유전형질 중 품종 판별에 주로 이용되는 Melanocortin Receptor 1 (MC1R) 유전자상의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를 분석하여 설계한 Primer를 Multiplex PCR을 활용하여 소의 품종을 판별하였다. MC1R 유전자형은 E<SUP>D</SUP>, E<SUP>+</SUP>, e형의 3Type으로 나뉘며 E<SUP>D</SUP>/E<SUP>D</SUP>, E<SUP>D</SUP>/E<SUP>+</SUP>, E<SUP>D</SUP>/e, E<SUP>+</SUP>/E<SUP>+</SUP>, E<SUP>+</SUP>/e, e/e의 6가지 유전자형을 가진다. E<SUP>D</SUP>유전자형은 외래종이 지닌 유전자형으로 E<SUP>D</SUP>/E<SUP>D</SUP>, E<SUP>D</SUP>/E<SUP>+</SUP>, E<SUP>D</SUP>/e이 이에 속하며, e유전자형은 한우가 지닌 유전자형으로 e/e의 유전자형을 가진다. 흑한우의 경우 E<SUP>D</SUP>, E<SUP>+</SUP>, e의 모든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으나 이는 교잡에 의해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E<SUP>+</SUP>유전자형이 흑한우 고유의 유전자형으로 추정되어 본 연구에서는 이에 따라 E<SUP>+</SUP>/E<SUP>+</SUP>, E<SUP>+</SUP>/e의 유전자형을 흑한우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E<SUP>D</SUP>, E<SUP>+</SUP>의 경우 단순 PCR기법만으로는 그 판별에 어려움이 있어, MS Maker를 활용한 다형성 분석을 통해 흑한우와 수입우를 판별할 수 있는 새로운 Primer를 설계하였으며, 이를 통해 소의 품종을 판별하였다.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Jeju black cattle, Hanwoo and imported beef, we performed a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ssociated with microsatellite (MS) and melanocortin 1 receptor (MC1R) gene. The MC1R gene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on of the melanin synthesis within mammalian melanocytes. MC1R encoded by extension (E) locus was almost fixed with recessive red e allele in the Hanwoo. We estimated that the specific genotypes (E<SUP>+</SUP>/E<SUP>+</SUP>, E<SUP>+</SUP>/e) of MC1R gene were characteristic genotypes of Jeju black cattle. But the PCR products resulted from using the MC1R gene derived primers only are not sufficient to identify Jeju black cattle from other relatives. We performed two times of successive multiplex PCR to provide a more accurate result for the identification of Jeju black cattle. The results suggest that two types of successive multiplex PCR methods using MC1R gene and Microsatellite derived primer set will be more useful to identification of Jeju black cattle, Hanwoo and imported beef.
해저매몰체 탐지를 위한 Chirp SBP의 주파수에 따른 해상도 비교
김찬수(Chan-Su Kim),김현도(Hyun-Do Kim),김진후(Jin-Hoo Kim)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8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
해저면 하부에 매몰된 해저 케이블을 탐지하기 위해서 고주파 탄성파 탐사를 실시하였다. 2-7 ㎑ Chirp SBP와 10-20 ㎑ Chirp SBP로 탄성파 탐사 자료를 획득하여 주파수에 따른 해상도를 비교해 보았다. 2-7 ㎑ SBP의 자료에서 케이블 매설을 위한 트렌치와 매설 케이블의 반사신호가 서로 교란된 형태의 쌍곡선 기록이 나타나 케이블의 정확한 매몰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웠으나, 10-20 ㎑ SBP의 자료에서는 각 반사면을 구분할 수 있는 해상도에 해당하여 확연히 구분된 쌍곡선 형태를 보임으로서 매설된 해저 케이블의 매설심도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Development of Reverse Electrodialysis Power Generation Technology
Chan-Soo Kim(김찬수),Han-Ki Kim(김한기),Young-Woo Choi(최영우),Mi-Soon Lee(이미순),Kyo-Sik Hwang(황교식),Ji-Hyung Han(한지형),Nam-Jo Jeong(정남조),Kang-Min Cheon(전강민),Su-Cheol Hong(홍수철),Gyeong-Hwa Jeong(정경화)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5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1
저속 PCB에서 이상 고조파의 EMI 문제 및 해결 방안
김찬수(Chan-Su Kim),이해영(Hai-Young Lee) 한국전자파학회 2015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6 No.7
본 논문에서는 실제 양산되는 디지털 전자제품에서 발생한 고조파 신호의 이상 현상 사례를 소개하고, 실용화에 효과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일반적인 디지털 신호의 고조파 잡음수준은 5차 이상부터 40 (dB/decade)의 기울기로 감소하므로 5차 이상의 고조파는 대부분의 회로설계에서 무시되어 왔다. 하지만 특정 형상의 PCB 혹은 기구에서는 10차 이상의 고조파도 높은 수준의 전달과 방사가 발생함을 측정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공간적 설계 제한이 존재하는 상용제품에서 커패시터를 주기적으로 배치한 저역통과 여파기 구조를 제안하였고, 측정을 통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고조파 잡음수준의 지속적인 증가와 실용제품들의 공간적 제약을 모두 해결할 수 있어서 향후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paper, unusual harmonics noise problem of digital electronic products in mass production was introduced and a practical solution was proposed. Generally, 5th or higher harmonics noise level has been ignored in circuit designs because over 5th harmonics noise decreases by 40 (dB/decade). Through some measurements, it is confirmed that over 10th harmonics noise can propagate and radiate in case of a certain PCB or housing conditions. We propose a capacitively loaded micro-strip low pass filter for commercial products having spatial design constraints and measured the effectiveness. The proposed structure can solve both of the continual increment of harmonics noise level and the spatial design constraint of commercial products. We expect the proposed method be effectively used for various digital electronic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