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화 선형혼합모형의 임의효과 공분산행렬을 위한 모형들의 조사 및 고찰

        김지영,이근백,Kim, Jiyeong,Lee, Keunbaik 한국통계학회 2015 응용통계연구 Vol.28 No.2

        일반화 선형혼합모델은 일반적으로 경시적 범주형 자료를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이 모델에서 임의효과는 반복 측정치들의 시간에 따른 의존성을 설명한다. 임의효과 공분산행렬의 추정은 여러가지 제약조건들 때문에 쉽지 않은 문제이다. 제약조건으로는 행렬의 모수들의 수가 많으며, 또한 추정된 공분산행렬은 양정치성을 만족하여야 한다. 이러한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임의효과 공분산행렬의 모형화를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제안되었다: 수정 단냠레스키분해, 이동평균 단냠레스키분해와 부분 자기상관행렬을 이용한 방법이 있다. 이 논문에서 위의 제안된 방법들을 소개한다.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s are used to analyze longitudinal categorical data. Random effects specify the serial dependence of repeated outcomes in these models; however, the estimation of a random effects covariance matrix is challenging because of many parameters in the matrix and the estimated covariance matrix should satisfy positive definiteness. Several approaches to model the random effects covariance matrix are proposed to overcome these restrictions: modified Cholesky decomposition, moving average Cholesky decomposition, and partial autocorrelation approaches. We review several approaches and present potential future work.

      • KCI등재

        쇠퇴지역과 도시지역의 재난 취약요인 비교·분석

        김지영(Jiyeong-Kim),박종화(Jong Hwa-Park),조병호(Byung Ho-Cho),이삼수(Sam Su-Lee)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0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1

        In this study, we conduct a comparative of the disaster vulnerable factors among urban area, declining area, and urban regeneration project zones. Also, we examine that the declining areas is how disaster vulnerable. The method choice vulnerable factors to disaster by studying from relevant previous studies, and use the ANOVA for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saster vulnerable factors among urban area, declining area, and urban regeneration project zones. The result are as follow. First, the declining areas are more high to ratio of fire prevention zones, erosion control zones and landslide hazard zone than urban area. This relatively mean that the declining areas were vulnerable to disaster of fire, landslide, and collapse. Second, the declining areas are more vulnerable to disasters than urban area in terms of social, physical and geographical aspects.

      • KCI등재

        원격수업 학습자 만족도 변화에 대한 연구

        김지영 ( Jiyeo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20년 COVID-19로 인해 대학교육의 전면에 등장한 원격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대학 원격수업 운영의 방향성을 재고하기 위해서이다. 연구방법은 D대학교에서 2020학년도 1학기와 2학기에 실시한 원격수업에 대한 만족도 조사와 원격수업 수강 의향에 대한 설문 조사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원격수업 만족도 조사 연구결과에 따르면 D대학교의 경우 학기가 진행될수록 원격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상승하고 있으며 향후 원격수업 수강의향도 높아지고 있음이 드러났다. 하지만 소통의 제약이나 학습자의 학습패턴 부적응 등은 향후 원격수업 확대를 위해 개선되어야 할 부분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원격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변화를 고려하여 대학교육이 재편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원격수업의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direction of future university distance lessons by analyzing changes in learners’ satisfaction with distance lessons that appeared at the forefront of university education due to COVID-19 in 2020. The research method is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remote classes conducted by D University in the 1st and 2nd semesters of 2020 and the willingness to take the remote class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survey on satisfaction with distance classes, it was revealed that in the case of D university, as the semester progresses, satisfaction with distance classes increases, and the willingness to take remote classes increases in the future. However, limitations in communication and maladjustment of learners’ learning patterns were identified as areas that need to be improved in order to expand distance classes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raised the necessity of reorganizing university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changes in learners’ satisfaction with distance learning, and proposed a method of operating distance lessons that can strengthen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 KCI등재

        초등학생 문해력 진단도구 개발과 타당화

        김지영 ( Kim Jiyeong ),박혜진 ( Park Hyejin ),이경남 ( Lee Gyoengnam ) 한국독서학회 2024 독서연구 Vol.71 No.0

        목적: 본 연구는 현장 수요 기반 진단도구의 개선 및 학습지원대상학생의 선정을 체계화를 지원하기 위해 읽기 능력을 집중적으로 진단하고 관련 정보를 상세히 제공할 수 있는 문해력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내용: 문해력 진단도구 개발 절차를 밝히고, 평가틀 구성의 과정을 제시하였다. 텍스트의 유형은 서사 텍스트와 정보 텍스트로 나누고, 정보 텍스트는 크게 4개의 주제 분야로 개발하였다. 진단검사의 모든 문항은 텍스트(지문)를 기반으로 하여 해결하도록 하고, 학년별 검사지의 텍스트 수는 10개로 통일하였다. 정답률, 변별도, 신뢰도 등의 결과 분석 자료를 근거로 최종 1배수 문항을 선택하기 위해서 예비검사를 시행하였다. 대도시 2개 학교, 중소도시 1개 학교를 표집하여 A, B 세트를 학급별로 나누어 적용하고,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읽기 능력의 기초가 부족한 학습자를 선별하고, 이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하는바, ‘기초’, ‘기초 미달’의 두 개 수준으로 구분하고 두 수준을 구분하는 학년별 준거 점수를 산출하였다. 의의: 본 연구는 학습자의 읽기 능력을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는 데 필요한 문해력 진단도구를 다양화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literacy diagnostic tool that can focus on reading skills,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to improve local needs-based diagnostic tools, and systematize the selection of students for learning support. Content: The procedure for developing a literacy diagnostic tool is described, and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assessment framework is presented. Texts were divided into narrative and informational types. The informational texts were then categorized into four main subject areas. All questions in the diagnostic test are based on texts (passages), with a unified number of 10 texts per grade. To select the final items, including analysis of factors such as correct answer rate, variance, and reliability, a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in two schools in a large city and one school in a medium-sized city. The results of Sets A and B were categorized into classes and described. Sinc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learners lacking basic reading skills and provide them with necessary information, learners were categorized into two levels: “basic” and “below basic.” A cutoff score was calculated for each grade level to distinguish between these levels. Significance: This study diversifies the literacy diagnostic tools available to systematically assess learners‘ reading skills and provide customized support.

      • KCI등재
      • KCI등재

        공공택지개발지구의 식생변화가 지표면온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공공택지개발지구의 개발 전과 후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은정(Kim, Eun Jung),김지영(Kim, Jiyeong) 한국지역개발학회 2019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and land surface temperature(LST) in the sites of public residential development in Seoul. The scope of the study was analyzed based on the residential development projects that took place between 2007 and 2017 in Seoul. Seven residential development area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uch as Sinae 3, Sinjung 4, Naegok, Segok 2, Gangnam, Ogum, and Wirye. Landsat TM and OLI satellite images were used to derive NDVI and normalized LST(zLST).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residential development projects showed a decrease in NDVI during 2007~2017. There were strong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NDVI07 and zLST07, NDVI17 and zLST17, and △NDVI and △zLST. Especially, the correlation between △NDVI and △zLST was high in the districts of Sinnae 3, Ogum, and Wirye.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t role of environmental-friendly development in public residential development project.

      • KCI등재

        사용자 맞춤형 가상 코디네이터 앱 개발

        강다영(Dayeong Kang),김지영(Jiyeong Kim),이경미(Kyoung-Mi Lee)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7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5

        In recent, there has been a great change in the shopping market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the generalization of mobile devices. Customers have become more comfortable with online shopping where they can purchase clothes without having to visit their own shop directly. While online shopping is convenient and easy to buy, it is difficult to judge whether it is suitable for you to buy clothes. This paper proposes an application that users virtually coordinate on their own full-body photo or a user-specified model. The proposed application encourages smart purchases by enabling users to see their virtual coordination on their bo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