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과학 영재의 물체 인식 개념 변화를 위한 튜토리얼의 개발과 적용

        이지원 ( Ji Won Lee ),김중복 ( Jung Bok Kim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1 초등과학교육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ects of teaching materials for elementary science gifted conception about object recognition. Elementary science gifted have misconceptions that they can see in lightness. They can not explain how a shadow is made. This paper reports in-depth investigation on elementary science gifted`s understanding of object recognition focusing on process of light. A program is developed to elementary science gifted in the subject matter. The tutorial emphasizing the process of light consists of pre-test, worksheet, and post-test. The Tutorial has 4 steps; darkness and light, light on things, light reached eyes, structure of the eyes. Each steps has 2~4 experiments. Through the tutorial, we expect their misconceptions can be changed into scientific conceptions. For the research and analysis, a questionnaire is posed to 39 elementary science gifted at M Elementary School in D Metropolitan City. The first method of product analysis makes a comparative study of pre-test, post-test score, and hake gain each test. As a result, total score of all student was raised. And hake gain of pre-test(Ⅱ) is 0.6, hake gain of post-test is 0.68. It is Medium gain. Also, elementary science gifted could understand how we see through the tutorial emphasizing process of light. And their misconceptions can be changed into scientific conceptions.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교육프로그램 참가자 만족도 조사로 본 국립과천과학관의 비형식 과학교육프로그램 운영 방향 연구

        이슬 ( Yi Sul Kim ),이선희 ( Sun Hee Lee ),손정주 ( Jung Joo Sohn ),김중복 ( Jung Bok Kim ),권효순 ( Hyo Sun Kweo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科學敎育硏究誌 Vol.3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국립과천과학관 교육프로그램 참가자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통해 비형식 과학교육기관의 교육프로그램 운영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과학관으로서 4,322 ㎡의 교육 공간을 따로 확보하고 있어 교육의 기능이 용이하며 최근 1년간 1만명 이상의 자체 교육프로그램 수강생을 유치한 경기도 과천시 소재의 국립과천 과학관을 연구 장소로 선정하여 2010년 5월 교육프로그램에 참가자 중 87명의 학생과 78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과학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및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비형식 과학교육기관이 과학적 소양 및 탐구 능력, 과학적 태도 향상 측면에서 학교교육에 대한 보완을 해 주기를 바라는 인식이 나타났다. 개선해야 할 점으로는 학생 활동에 대한 피드백, 학년별 세분화, 강사의 수업방식과 홍보에 대한 요구가 있었으며,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을 위한 중장기 프로그램을 마련, 접수대상 제한, 수업 지도안 개발, 홍보 방식의 개선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for management of informal science education center by survey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implication. The place to study was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in Kyung-gi province. 4,322㎡ for the education space can make education done effectively. And attendees of their own education program are over 10,000 per year. 87 students who attend education program and 78 of their parents joined the survey of participants`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ost of the participants want informal science education center to be able to make up for school education in part of promoting scientific literacy, heuristic method and scientific attitude. Things to be improved were feedback about student activity, segment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each grade, public relations exercise of program and advanced method of teaching based on each subject of classes. As ideas for improvement, it seemed that making long term program for continuous participant, limiting participant appropriately, developing guide manual of teaching, improving publicity of program were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