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해저시설물 조사성과의 정확도 제고

        김준식,최윤수,박선미,강문권,Kim, June-Sik,Choi, Yun-Soo,Park, Sun-Mi,Kang, Moon-Kwon 한국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7 No.1

        Recently, the seabed facility is gradually being increased based on the development of harbor and the coastal area. However, the comparison between the survey data with the chart still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leading to various disasters over sea accid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nvestigation on the seabed facility were performed in 5 areas through an accuracy analysis using an up-to-date surveying equipment(MBES, SSS and SBP). Based on the study more systematic management on the seabed facility, more accurate method on the surveying, and some considerations on the related policies are suggested. Through the study, we obtained more accurate measurement on depth and seabed piping forms in Jakdo and Pyong-tack, on sunken ship in a Mok-po, on seabed crater in Je-ju.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present the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information infra and a connection with the seabed facility. The criteria on the equipment's specification, surveying method and procedures are set by the experiments and the investigation and surveying accuracy on the seabed facilities are also suggested. 최근 경제발전과 아울러 점차 확충되어가는 우리나라의 주요항만과 연안해역의 개발로 해저시설물이 점차 증가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실시한 측량자료와 해도를 비교 검토해보면, 상당한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해난사고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5개 지역에 대하여 최신의 조사장비(MBES, SSS, SBP)를 이용한 해저시설물 조사수행 및 정확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해저시설물의 조사방법 및 정확도의 개선방안과 해양조사를 위한 정책적 고려사항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수행한 결과 인천항 작도부근에서 해저배관의 형태 및 천소수심, 목포항부근에서 침선, 평택항 부근에서 해저배관 및 천소수심, 장직로 부근에서 인공어초 및 천소수심, 제주 남부해역에서 해저분화구에 대한 보다 정확한 측량 값을 얻을 수 있었으며, 각종 해저시설물 및 장애물들을 기존 측량성과 보다 더욱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해저시설물에 대한 정보인프라 구축 방안 및 연계를 위한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국내 사용가능 장비의 규격과 조사방법 및 절차에 대한 실험적 기준을 정립하고, 해저시설물 측량과 조사를 위한 정확도 판단 기준을 제시할 수 있었다.

      • 해저시설물 조사 성과의 정확도 제고

        김준식(Kim June Sik),최윤수(Choi Yun Soo),김재명(Kim Jae Myeong),전창동(Jeon Chang Dong)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10

        최근 경제발전과 아울러 점차 확충되어가는 우리나라의 주요항만과 연안해역에 대한 개발로 해저시설물이 점차 증가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실시한 측량자료와 해도간에 상당한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해난사고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최신의 조사장비(MBES, SSS, SBP)를 이용하여 해저시설물 조사 수행 및 정확도 분석을 통하여 인천항 작도부근의 해저배관 형태 및 천소수심, 목포항부근의 침선, 제주남부해역의 해저분화구에 대한 보다 정확한 측량값을 획득할 수 있었으며, 각종 해저시설물 및 장애물들을 기존 측량성과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해저시설물에 대한 정보인프라 구축 방안 및 연계를 위한 방법론을 제시 및 국내 사용가능 장비의 규격과 조사방법 및 절차에 대한 실험적 기준을 정립하고, 해저시설물 측량과 조사를 위한 정확도 판단 기준을 제시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