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Fukuoka 연속 지진으로부터 관측된 가속도 지반운동을 이용한 수직및 수평 응답스펙트럼 특성 분석

        김준경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5 No.1

        The vertical response spectra using the observed ground motions (acceleration) from 14 Fukuoka earthquake series, including mainearthquake (2005/03/20; Mw=6.5), were analysed and then were compared to horizontal response spectrum, the seismic designresponse spectra (Regulatory Guide 1.60), applied to the domestic nuclear power plants, and the Korean Standard Design ResponseSpectrum for general structures and buildings (1997). 89 vertical ground motions, without considering soil types, 1were used for normalizationwith respect to the peak acceleration value of each ground motion. The results showed that vertical response spectrum hasstrong dependency on epicentral distance and natural frequency(natural period). The ratio of vertical to horizontal response spectrumshowed various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vertical response spectra from observed ground motions revealedhigher values for frequency bands below approximately 20 Hz than Regulatory Guide 1.60 (1968). The results were also compared tothe Korean Standard Response Spectrum (500 years of recurrence rate) for the 3 different soil types (SC, SD, and SE) and showed thatthe vertical response spectra from observed ground motions revealed higher values for the period bands below approximately 2 second(0.5 Hz) than the Korean Standard Response Spectrum (500 yrs; Return Period; Seismic province 1; SE soil conditions). Throughthe qualitative improvements and quantitative enhancement of the observed ground motions, it is necessary that the conservation ofvertical and horizontal seismic design response spectrum should be considered more significantly for the frequency bands suggestedabove. 2005년 3월 20일 규모 6.5의 지진이 발생하였고 이후 발생한 규모 3.7 이상의 14 개 중규모 후쿠오카 지진으로부터 관측된 지반진동파형을 이용하여 수직 성분 응답스펙트럼을 분석하고 결과를 수평 성분 응답스펙트럼, 국내 원자력 관련 구조물의 내진설계 기준과 국내 일반 구조물 및 건축물 내진설계기준과 각각 비교하였다. 지반응답스펙트럼 분석에 이용된 지반운동의 개수는 수직성분 89 개이며고유진동수별 지반응답을 구하고 최대 지반 가속도 값을 이용하여 정규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진앙거리 및 고유진동수에 대한 의존성이 대단히 큼을 보여주었다. 수평 대비 수직 응답스펙트럼 비율은 다양한 특징을 보여 주었다. 또한 국내 원자력시설물의 내진기준으로 이용되고 있는 1 g에 스케일된 Regulatory Guide 1.60(1968)과 비교한 결과 특히 약 20 Hz이하의 낮은 고유진동수 구간에서 Regulatory Guide 1.60(1968)을 초과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 국내 일반 구조물 및 건축물 내진설계 응답스펙트럼을 3 개 지반조건(SC, SD 및 SE)에 적용한 결과를 분석 결과자료와 동시에 비교한 결과 고유주기 약 2 초 이하의 거의 모든 주기 에서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분석된 응답스펙트럼이 가장 높은 설계기준값을 가지고 있는 SE 지반조건의 설계 응답스펙트럼(500년 재래주기,지진구역 1, SE 지반조건)을 초과하고 있다. 신뢰성을 보다 증가시키기 위해 향후 한반도 및 한반도 주변부의 발생지진으로부터 국내주요 관측소에서 관측된 다양한 규모의 지진자료가 필요하고 이러한 관측자료를 대폭적으로 반영하여 관측된 지진자료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위에서 제시된 일부 고유진동수에 구간에서 수직 및 수평성분의 가속도응답스펙트럼의 특성을 유의있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대학 캠퍼스 구성원의 합창음악 활동을 통한 인성적 교류 경험

        김준경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6 No.-

        This study is an empirical research paper that investigates the participants' affective exchange and the process of applying Christian music to their lives by commanding the choral music(Choir) activities in N University located on Cheonan, Chungnam.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the subjective point of view is included in the problem posing or research objective, and research method as a qualitative research that analyzed the contents of experience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practice once every week by using an observation technique for total 300 persons : 45 professors, 40 teaching staffs, 200 students, and 15 volunteers who actually participated in the chorus practice. However,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arrange its phenomena on the standpoint of religion and Christian music centered on the whole atmosphere found in the process of weekly practice and the qualitative contents of personal exchange rather than the individual affective case directly.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the analysis process may be summed up as follows. All the professors and teaching staffs, students, and volunteers who were participating had a solid religious foundation. This researcher can read the process of strengthening the community spirit to mutually support, serve, and participate focused on the emotional exchange or meeting with respect rather than the musical accomplishment through the music chorus. In that sense, this program is considered as it should continue in special technique that the open education, the basic ideology of university establishment, can apply to the reality. The viewpoints we have to sympathize based on such perspective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at is, all families in the university campus should carefully consider that the role of university for the community and nation and the duties to diagnose and evaluate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the adolescents' real dreams as our future leaders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university establishment. People are very social creatures, and it is the reality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experts who can lead and experience the emotional, spiritual, and physical well-being. 이 글은 성암사상연구 논문집 제10집(2013. 12)에 실렸던 신앙고백적 내용을 논문형식으로 재구성한 것으로 충남 천안에 소재하고 있는 N대학의 합창음악(Choir)활동을 지휘하면서 참여자들의 인성적 교류와 기독교음악을 자기 삶에 적용시키는 과정을 탐색한 실증적 연구논문이다. 실제로 합창연습에 직접 참여한 교수 45명, 교직원 40명, 학생 200명, 자원봉사자 15명 등 총 300여명이 매주 1회의 연습과정에서 경험한 활동내용을 관찰기법에 의하여 분석한 질적연구로 문제제기나 연구목적, 연구방법은 다분히 주관적 견해가 삽입되어 있음을 밝힌다. 그러나 직접적으로 개인의 인격적 사례보다는 매주 연습과정에서 발견된 전체적인 분위기나 인격적 교류의 질적 내용을 중심으로 그 현상을 신앙적, 기독교 음악적 측면에서 분석 정리하였다. 분석 과정을 토대로 요약정리하면, 교수와 교직원, 참여 학생, 자원봉사자 모두들 신앙적 기초가 다져 있었으며, 음악적 소양보다는 음악 코러스를 통하여 정서적 교류나 인격적 만남에 의미를 두고 서로 지지하고. 봉사하며, 참여하는 공동체의식이 강화되고 있는 과정을 읽을 수 있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프로그램은 대학 설립의 기본 이념인 열린교육을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전문적 기법으로 계속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관점을 기초하여 우리가 공감해야 할 관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즉, 대학캠퍼스의 모든 가족들은 지역사회와 국가를 위하여 대학이 무엇을 하여야하며, 미래의 지도자인 청소년들의 진정한 꿈을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진단하고 평가해야 할 의무가 대학설립의 목적과 일치해야할 것이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인 동시에 정서적, 영성적, 육체적 안녕감을 경험하고 지도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 KCI등재

        국내 5개 주요 도시에 대한 등재해도 스펙트럼

        김준경,위성훈,경재복 한국지구과학회 2016 韓國地球科學會誌 Vol.37 No.3

        Since the Northridge earthquake in 1994 and the Kobe earthquake in 1995 occurred, the concept of performance based design has been introduced for designing various kinds of important structures and buildings. Uniform hazard spectra (UHS), with annual exceedance probabilities, corresponding to the performance level of each structure, are required for performance-based design. The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ectral ground motion prediction equations, which were developed from both Korean Peninsula and Central and Eastern US region, and several seismotectonic models suggested by 10 expert panel members in seismology and tectonics. The uniform hazard spectra for 5 highly populated cities in Korea, with recurrence period of 500, 1,000, and 2,500 years using the seismic hazard at the frequencies of 0.5, 1.0, 2.0, 5.0, 10.0 Hz and Peak ground acceleration (PGA) were analyzed using the probabil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The sensitivity analysis suggests that spectral ground motion prediction equations impact much more on seismic hazard than what seismotectonic models do. The uniform hazard spectra commonly showed a maximum hazard at the frequency of 10 Hz and also showed the similar shape characteristics to the previous study and related technical guides to nuclear facilities. 최근 미국 노스리지 지진(1994)과 일본 고베 지진(1995) 발생 이후 다양한 구조물 및 건축물을 설계할 때 성능 기반 설계 개념이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다. 성능기반 설계가 도입되면서 구조물 각각의 성능에 적합한 연발생빈도의 등재해도 스펙트럼이 요구되고 있다. 10 인의 지진 및 지체구조 전문가가 제시한 국내 및 미국 중동부에서 개발된 스펙트럴 지반진동 감쇠식과 다수의 지진지체구조구 모델을 사용하였다. 인구 밀도가 높은 5개 주요 도시에 대해 확률론적 방법을 이용하여 등지진재해도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0.5, 1.0, 2.0, 5.0, 10.0 Hz 및 PGA에 대해 확률론적 지진재해도 결과를 이용하여 500년, 1,000년 및 2,500년의 3개 재현주기에 대해 등재해도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민감도 분석 결과 각각의 고유 진동수에 해당하는 지반진동 감쇠식이 지진지체구조구 모델에 비하여 지진재해도에 보다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등재해도 스펙트럼은 공통적으로 10 Hz에서 최대값을 보여 주었고, 원자력 관련 기술기준 또는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등지진재해도 스펙트럼과 수준과 모앙 특성에서 유사성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후보

        Group Intervention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Evidences of Effectiveness for Social Skills Group

        김준경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4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13 No.-

        Having a child with an autism spectrum disorder can have a profound effect on family life. Since thesedisorders affect the ability of children to have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y may have a hard time bonding withother family members. In addition, a great amount of stress can be placed on family members, particularly thosewho are involved in daily care of the child. Often one of the parents has to give up their job to take care of thechild and help with all the therapies, and because of the difficulty and cost of finding qualified help. Mostchildren with autism require many expensive therapies. Many of them are not covered by insurance, or arelimited. Many families end up taking out loans or a second mortgage on their home to pay for all the therapies. In order to minimize the financial burden for parents and to maximize the treatment effectiveness for the child,practitioners must keep following two components in preparing for intervention as evidence-based practicesuggests: 1) Practitioners make systematic use of clinically relevant research to select accurate and precisediagnostic tests, identify prognostic markers, and assess the potential effectiveness and safety of different kinds oftreatments; 2) Practitioners are expected to draw from multiple sources for information to inform their treatmentdecisions. To ensure the intervention for a child with Autism Spectrum is based on the best evidence fromwell-conducted research, fourteen articles published in U.S journals were carefully selected and reviewed based onthe criteria. The results of review were summarized in a table to inform the practitioners and parents of whattype of intervention model and skills/techniques were proven to be the most effective.

      • KCI등재

        두층의 이황화몰리브데늄에서 비틀린 각도에 따른 바닥 엑시톤 에너지 연구

        김준경,차하은,박인우,한강희,박승룡,조수현 한국물리학회 2020 새물리 Vol.70 No.12

        The exciton is an electron hole bound state in semiconductor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opto-electronic devices such as light-emitting diode. Therefore, a desire exists to control the exciton formation energ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optoelectronic applications. Here, we report formation energy of ground exciton states in a MoS2 twisted bilayer measured by using 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 By varying the twist angle, we found that the exciton formation energy was tunable within the energy range roughly between 1.87 eV at about 0◦ and 60◦ twist angles and 1.90 eV at about a 30◦ twist angle. The exciton formation energy is directly related to the band gap energy, and the band gap of a bilayer MoS2 becomes smaller than that of a MoS2 monolayer due to interlayer coupling. Our results can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interlayer distance is smaller and the interlayer coupling is larger at 0◦ and 60◦ twist angles than at 30◦ twist angle. The twist angle dependence of the exciton formation energy can also be qualitatively explained by the twist-angle-dependent direct band-gap energy from first-principles calculations results. 엑시톤은 반도체에서 존재하는 하나의 전자와 하나의 홀이 결합된 입자이다. 엑시톤은 발광다이오드와같은 광전소자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다. 특별히 엑시톤 에너지는 발광하는 빛의 파장과 밀접히 관계되어 있는데, 이 에너지를 제어하는 것은 광전소자 응용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우리는 광발광분광학 실험을 통해서 두 층 MoS2 의 비틀린 각도에 따른 바닥 상태 엑시톤 에너지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비틀린 각도가 0도와 60도 근처에서는 약 1.87 eV, 30도 근처에서 약 1.90 eV 를 보이며 엑시톤 에너지가비틀린 각도에 따라서 체계적으로 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엑시톤 에너지는 밴드갭 에너지와 밀접한관계가 있다. 두 층 MoS2 에서 층과 층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한층 MoS2 에 비해서 밴드갭이 줄어들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비틀린 각도가 0도 또는 60도일 때 30도일 때에 비해서 층간 간격이 짧고결합이 강해지게 되므로 밴드갭이 더 작아지게 되는 효과가 나타나는 현상으로 우리 실험 결과를 이해할수 있다. 또한 이 결과는 제일원리 계산 결과를 통해서 보고된 층 MoS2 의 비틀린 각도에 따른 직접천이밴드갭의 변화와 정성적으로 일치한다.

      • KCI등재

        성공적 노후를 위한 노년기 라이프 코칭에 관한 소고

        김준경 한국코칭학회 2014 코칭연구 Vol.7 No.2

        우리나라의 인구 고령화 추이는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을 정도로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고령사회를 앞두고 노인문제로는 경제적 빈곤, 건강 악화, 역할상실, 고독감 등을 들 수 있으며, 해결하고자 하는 욕구에는 소득 및 경제적 안정의 욕구, 고용 및 직업적 기호에 대한 욕구, 안정된 주거환경에 대한 욕구, 신체 및 정신건강의 유지, 자립적 일상생활, 치료와 요양 등 건강에 대한 욕구, 여가 및 문화 활동에 대한 욕구, 사회적 관계의 유지와 사회참여에 대한 욕구, 지식 교육 및 기회훈련에 대한 욕구를 비롯한 복합된 다원성을 보인다. 이러한 노인문제를 라이프 코칭을 통해서(삭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삶의 균형을 갖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노년기 자기관리를 통해 주변의 환경을 조절해 나가는 스스로의 능력과 노인을 위해서 질병, 재정, 인간관계, 여가, 개인의 성장과 역할 등에 대한 코칭이 필요하다. 아울러 사회복지실천 분야에서의 노인들의 욕구에 맞춰진 실천적이고 효과적인 차별화된 코칭 기술들을 연구하고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성공적 노후를 위해서 필요한 코칭으로 1)성공적 노후를 위한 Goal Skill 2)건강한 노후 준비를 위한 Reality Skill 3)노후 준비의 필요성 인식을 위한 Recognition Skill 4)상호작용적 노후를 위한 Options Skill 5) 안정된 노후를 위한 Will Skill 등 GRROW 모델(이희경, 2012)을 바탕으로 한 코칭 스킬을 제시하였다. Korea's aging population trend is increasing at the fastest rate in the world. Emerging aging society and economic hardships can bring elderly poverty, poor health, role loss, loneliness, etc. Intervening Seniors issues through Life Coach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s critical to have a balance in life. Especially for the elders who are out of their own power and to control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old age disease, self-management, finances, relationships, recreation, etc. are needed for growth and the role of individual coaching.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study and provide practical and effective coaching techniques tailored to the distinctive needs of older people in the social work field.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coaching is necessary for Successful Aging: 1) for Successful Aging Goal Skill 2) Reality Skill preparing for a healthy old age 3) Recognition Skill awareness of the need for retirement preparation 4) Options Skill 5) for interactive retirement 6) Will Skill etc. GRROW model for a stable retirement (Hŭi-gyŏng Yi, 2012) was proposed based on coaching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