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VR 수술 환자에 있어 항생제가 warfarin의 prothrombin response에 미치는 영향 : Epocelin versus Tienam

        김주휘,하선주,유영인,윤덕심 한국병원약사회 1998 병원약사회지 Vol.15 No.2

        For patients undergoing prosthetic cardiac valve replacement surgery, adequate anticoagulation is of vital importance in the prevention of thromboembolic complications. The type of prophylactic antibiotic administered to these patients during and after surgery could influence their response to subsequent warfarin anticogulation therapy. So to evaluate the response of epocelin® (E) and tienam® (T), we reviewed retrospectively fifty three cases of patients who undergone cardiac valve replacement surgery in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from January 1. 1993 to June 30. 1997. Thirty-nine of the 53 patients studied were given epocelin® as the prophylactic antibiotic and fourteen of the 53 patients received tienam®. The prothrombin (PT) response to warfarin (W) was assessed until the third day of anticoagulant therapy. Their P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48hrs before operation and 24hrs after operation and the morning before W was begun. The two groups received similar W doses for 2days. The PT on the morning of the third day demonstrated that T (13.9±2.1sec) was significantly greater (p<0.05) than E (11.5±1.0sec). The percentage of activity (PT%A) on the morning of the third day demonstrated that E (96.0±8.1%) was significantly greater (p<0.05) than T (78.9±16.3%). T had a significantly greater percentage of change (PT%C) in PT%A (19.5±17.3%, p<0.05) from the first to third day than E (4.1±7.4%, p<0.05). The data suggests that tienam® increases warfarin sensitivity early in the postoperative course of oral anticoagulation therapy, which may lead to excessively high prothrombin times with the possibility for serious bleeding. From the result, using tienam® on CVR surgery must be under drastic care and using antibiotics to prevent infection on CVR surgery needs the advice of the pharmacist in order to select safer and cheaper antibiotic which has less interaction with warfarin.

      • KCI등재

        실러에게서 ‘미적 정조’를 통한 미적 교육의 역할과 의의

        김주휘 대한철학회 2017 哲學硏究 Vol.144 No.-

        우리는 『미학편지』에 사실상 다른 맥락에서 제기되고 다른 강조점을 갖는 두 개의 미적 교육론이 존재한다는 데에서 출발한다. 현재 전해오는 『미학편지』의 초고에 해당하는 1793년 아우구스텐부르크 공작에게 보낸 편지에서 실러는 미적 교육을 통해 미적 취향을 형성하는 것이 도덕에 직접적으로 유익한 결과를 낳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어 했으며, 미를 통한 형식충동의 계발 및 이성능력의 함양을 강조했다. 실러는 1793년의 편지를 수정하고 보완하여 1795년 『미학편지』를 출판하는데 여기에는 인간의 조건이자 이념으로서의 미를 규정하는 부분과 그에 뒤따르는 미의 작용에 대한 부분이 중요하게 추가되어 있다. 이 부분은 미에서 이성과 감성의 통일을 강조하며, 미적 교육을 통한 인간의 총체성 회복을 강조한다. 이 글에서 우리는 현재 남아 있는 1793년 편지와 비교할 때 1795년의 『미학편지』가 새롭게 제시하는 미적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 및 역할에 대한 생각을 검토할 것이다. In this work we start from the thesis that Schiller’s Aesthetic Letters contains two different doctrines of aesthetic education. When Schiller first raised the need of aesthetic education in his 1793 letters to Friedrich Christian von Augustenburg, he wanted to show that the taste for beauty contributes to morality and emphasized that man could reach pure reason only by way of beauty. When he revised the original letters and published them in 1795, he added some important parts concerning beauty as the condition and idea of humanity and the following arguments about ‘aesthetic condition.’ These added parts emphasize the harmony of reason and sensibility in beauty and the restoration of totality in ‘aesthetic condition.’ We examine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aesthetic condition’ in comparison with Schiller’s 1793 doctrine of ‘three-phase development of humanity,’ and explain the background of this thought and also how it developed before and after Aesthetic Letters.

      • KCI등재

        니체의 ‘자연’ 사유에 대한 소고

        김주휘 한국니체학회 2011 니체연구 Vol.19 No.-

        Recently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infer the implications of Nietzschean thoughts on the environmental philosophy. In this regard, we would address such questions as what ‘nature’ is and what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civilization is in Nietzsche’s thought, and ask what we should turn to in order to infer the environmental implications of Nietzschean thought. Nietzsche suggests his own thesis of “ascend to nature” in contrast to Rousseau’s famous “return to nature.” From this we find that for Nietzsche nature and human civilization are not simple opposites. Rather, nature itself is considered as the source of the creative and productive forces which lead to human civilization. That is, nature itself involves the seeds of its own negation. In addition, Nietzsche attends to the violences which both of nature and its negation imply, while rejecting any idyllic notion of nature and humanity. Consideration of the violent nature and anti-nature leads Nietzsche to the suggestion of ‘beauty’as the highest goal of humanity, in which the simple opposition of nature and anti-nature is superceded for the higher combination of affirmation and negation. We propose that the ideal of beauty is what we should attend to for the environmental implications of Nietzschean thought. 근래에 니체의 사유로부터 환경 철학적 함의를 이끌어내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행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도에 앞서 우선 니체에게서 ‘자연’은 어떻게 이해되고 있으며 인간과 문명, 그리고 자연의 관계는 어떠한지의 문제에 천착하고, 니체 사유의 환경 철학적 함의를 도출하기 위해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지점은 무엇인지를 제안해 본다. 우선 필자는 니체가 루소의 ‘자연으로 돌아가라’ 테제를 비판하면서 그것과 대비하여 ‘자연으로의 상승’ 테제를 주장한 데에 주목하고, 이로부터 니체에게서 자연과 문명은 단순한 대립이 아니라 연속성과 초월성의 이중적 관계를 갖고 있으며, 특히 니체가 자연을 창조적인 것으로, 문명 자체를 그로부터 산출할 수 있는 생산적인 자연으로 파악하고 있음을 강조한다. 또한 니체가 자연에 대해 목가적이고 이상적인 상을 갖는 대신, 오히려 자연의 폭력성과 파괴성에 주목하고 자연에 대한 어떠한 도덕화의 시도에도 반대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하지만 그러한 자연을 극복하고자 하는 시도들 역시 마찬가지로 폭력적일 수밖에 없다. 인간이 극복하고 넘어서야 하는 대상으로서의 자연이 하나의 야수라면, 그러한 자연을 부정하는 자로서의 인간 역시 또 하나의 야수인 상황에서, 필자는 니체가 아름다움에로의 상승을 요청하는 데에 주목하고, 이것이 니체에게서 환경 철학적 함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지점이라고 제안한다.

      • KCI등재

        인간학적 문제로서의 삶의 부정 -『도덕의 계보학』 2부 다시 읽기

        김주휘 한국니체학회 2010 니체연구 Vol.18 No.-

        It is well known that Nietzsche’s thought implies an ethics of affirmation. In this work I’ll try to take a new approach to the problem of affirmation and negation. Usually it is thought that Nietzsche’s masters are free of negation and of any reactivity and that the curse of negation is only the fate of the slaves or those who are weak. But Nietzsche himself takes a notice to those subtle and complex phenomena which cannot be easily labelled active or reactive,affirmative or negative. As an example of such phenomena, I’ll take up the “active ‘bad conscience’” in the second essay of The Genealogy of Morality and show that, according to Nietzsche, a certain form of negation threatens not just a part of humanity such as the slaves or the weaklings but humanity itself, including the masters and those who are strong and creative. A certain form of negation is a necessary accompaniment to any human, social and civilized life. This is why humanity is called “the sick animal.” Based on the close analysis of the essay, I’ll show the Nietzschean anthropological insight that what makes humanity different from the other animals could give it both a great future and a great danger. Any talk of the Nietzschean affirmative life should consider these anthropological thoughts. 니체의 철학이 삶의 긍정의 윤리학을 포함하고 있음은 그동안 많은 이들에의해 강조되었고 또 다양한 측면에서 설명되어왔다. 필자는 몸과 생성, 운명과영원회귀 등 긍정의 철학의 내용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를 보완하는 의미에서,삶의 부정의 현상으로 우회하여 니체에게서 긍정의 문제를 조명한다. 니체에관한 흔한 독해는 주인과 강한 자들이 삶의 부정의 문제에서 완전히 자유롭다고상정한다. 그러나 니체의 글에는 능동과 반동, 긍정과 부정의 단순한 이원적대당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복잡하고 미묘한 현상들에 대한 주시가 존재한다. 필자는 이로부터, 니체의 통찰에 따르면 삶의 부정이란 단지 인간의 일부에게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인류 자체의 문제, 곧 인간으로서의 삶 자체에 필연적으로 수반하는 문제라고 주장한다. 삶의 부정의 위험성은 사회적․문명적 삶을살아가는 인간 모두의 문제이며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니체는 인간을 “병약한동물”로 규정했다. 이러한 주장은 모든 능동적인 자기형성의 과정에 수반하는“자신에 대한 나쁜 감정”의 대한 분석에 근거한다.

      • KCI등재

        루소와 스토아적 주제들의 계승 I - 자연적 선에서 도덕적 덕으로 -

        김주휘 대한철학회 2019 哲學硏究 Vol.152 No.-

        In this work we pursue some parallels and similarities in Rousseau’s thoughts in Emile and Seneca’s in Letters on Ethics. We find quite a likeness in their ideas of ‘the harmonious world order,’ of ‘the golden age, corruption and redemption,’ and in their developmental theories of the human individual. Finally we find that Rousseau’s ‘conscience’ has a similar status with Stoic wise man’s ‘wisdom’ and plays double roles concerning oneself and others. We insist that by virtue of the notion of “conscience” Emile shows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between nature and society, between human and citizen, which Rousseau presented as quite antagonistic at least in the introductory part of the book. Because Rousseau’s ‘education of nature’ focuses on “conscience,” which is key to the above stated reconciliations, it can bring out a man who is both a ‘man of nature’ and a citizen. Conscience being the final phase in the development of amour de soi, we find another similarity in Rousseau’s and Seneca’s thoughts. 우리는 이 글에서 세네카의 『편지』와 루소의 『에밀』을 중심으로, 세계의 조화로운 질서라는 관념, 황금시대와 타락과 구원이라는 관념, 그리고 인간 발달의 이론과 인간의 도덕적 이상의 측면에서 두 사유가 갖는 평행적인 측면과 유사한 지점들을 확인한다. 특히 우리는 루소에게서 양심이 스토아적 현자의 지혜와 같은 역할을 하며, 자기 자신 및 타인과 관련해 이중적인 도덕적 요구를 한다는 점에 주목할 것이다. 『에밀』은 양심의 이러한 이중적 요구를 통해 자연과 사회, 그리고 인간과 시민의 화해 가능성을 보여준다. 주인공 에밀은 한편으로 독립적인 자연인이 되도록,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동시에 사회 안에서 살도록 길러지는데, 여기서 에밀이 자연인의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것도, 그리고 에밀이 시민으로서의 삶을 살도록 종용하는 것도 모두 양심이다. 루소의 자연교육의 핵심이 바로 이러한 이중적 역할을 하는 양심 교육에 있기 때문에, 그것은 인간이자 동시에 시민인 자를 만들어낼 수 있다. 우리는 양심이 자기애의 최고의 발전 형태라는 점에서 다시 한 번 루소의 사유와 스토아주의의 오이케이오시스oikeiosis 이론과의 유사성을 확인한다.

      • KCI등재

        루소의 자존심amour-propre에 대한 새로운 해석들 - 덴트와 롤즈, 그리고 노이하우저 -

        김주휘 대한철학회 2020 哲學硏究 Vol.156 No.-

        Rousseau’s amour-propre has long been thought to be vanity and considered as a moral evil in itself. According to this understanding, Rousseau’s works as a whole suffer a fundamental contradiction. If human social life necessarily begets amour-propre, and it is a moral evil in itself, the morally justified form of human life must be found, if any, at the pre-social stage of human history. Many interpreters of Rousseau followed this path. However, in this case, we cannot explain the project of Social Contract, i.e., Rousseau’s project of giving an idea of legitimate social and political order, which has exerted great influence on the modern era. Thus arises ‘the problem of Rousseau,’ as Cassirer called it. In this work we introduce and examine some representative works on Rousseau’s amour-propre, which questio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reading of it. At first we introduce the work of Dent, who paved the way for a new interpretation of amour-propre and showed how we can understand Rousseau’s works as composing a coherent system. He showed persuasively that we cannot identify amour-propre simply with vanity and that amour-propre coul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n equal relationship between citizens. After Dent’s groundbreaking work, many researchers began to give notice to the more positive roles of amour-propre in human social life. Here especially we deal with Neuhouser’s bold claim that amour-propre contributes to the constitution of a rational subject, not only in the cognitive but also in the conative aspect. In consideration of some of the arguments in the direction of this new understanding, we feel the necessity of seeing Rousseau in his era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he fighting for and against with his idea of amour-propre?’ 루소에 대한 연구에서 자존심은 매우 오랫동안 허영심과 같은 것으로서 그 자체로 만악의 근원으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이해에 따르면 루소의 저작 전체는 하나의 커다란 모순을 품게 된다. 자존심은 사회적 삶에 필연적으로 뒤따르는 것이며, 그러한 자존심이 만악의 근원이라면 도덕적으로 정당한 삶은 사회적 삶 이전의 단계, 즉 인간의 삶의 전사회적 단계에 있을 수밖에 없다. 많은 해석자들은 루소의 이상적 삶을 그렇게 이해해왔다. 그런데 이 경우 우리는 루소의 『사회계약론』의 기획, 즉 정당한 사회적・정치적 질서에 대한 적극적인 구상을 전혀 이해할 수가 없게 된다. 이로부터 카시러가 지적한 유명한 ‘루소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 글에서 우리는 루소의 자존심에 대한 위와 같은 해석의 자명성에 문제제기를 한 대표적인 연구들을 소개하고 그 논변들을 검토할 것이다. 가장 먼저 루소의 자존심에 대한 관례적인 해석을 거부하고 새로운 이해를 제시한 이는 덴트Dent인데, 그의 문제제기가 힘을 얻으면서 루소 연구의 장에서는 가히 혁명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커다란 변화가 생겼다. 덴트는 루소에게서 자존심을 도덕적 악으로서의 허영심과 단순하게 동일시할 수 없음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고, 자존심을 다른 각도에서 볼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 덴트 이후 여러 연구자들이 루소의 사유에서 자존심이 갖는 긍정적인 역할들에 주목하게 되었고, 덴트가 제안한 것보다 더 광범위한 자존심의 역할을 주장하는 입장도 나왔다. 우리는 이 글에서 덴트의 새로운 해석 및 그와 유사한 취지를 갖는 롤즈의 해석, 그리고 덴트 및 롤즈의 새로운 해석 방향에 동의하면서 그로부터 한 걸음 더 나아간 주장을 전개하는 노이하우저의 해석까지, 루소의 자존심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시도들을 소개하고 간략하게 평가할 것이다.

      • KCI등재

        니체의 완전주의적 요청에 대한 이해: ‘동물-인간-위버멘쉬’ 이행을 중심으로

        김주휘 범한철학회 2013 汎韓哲學 Vol.71 No.4

        In this work we pursue what comprises the characteristic demands of Nietzschean perfectionism. We assume that they are implicated in the well-known idea of the transitions of the animal to man, and of man to overman. Especially we assume that the meaning of the latter transition can be explicated only in regard to the former. Following Nietzsche’s evolving idea on the distinction between man and animal, we found that he situates it in the ethical life of man (in Thus Spoke Zarathustra), and in the ability of will’s memory and the right of promise (in The Genealogy of Morals). Nietzsche thinks that the humanization occurs within a community, by means of the Mores of Custom, compelling the negation of the animality and the nature. As the result, for Nietzsche, man is above all an ascetic and a conforming herd animal. The first form of man’s spirit is that of the camel. From these considerations, we conclude that the transition into overman lies in the reconciliation with nature and in the individualism of an ethical sort. 이 글은 니체의 완전주의적 사유를 문화적 속물주의와는 거리가 먼 도덕적 완전주의의 일종으로 해석한다. 특히 그것의 의미가 동물에서 인간, 그리고 다시 위버멘쉬로의 이행이라는 사유에 응축되어 있다고 보고, 후자의 이행의 의미를 밝히기 위해 전자의 이행의 의미를 검토할 것을 제안한다. 동물에서 인간으로의 이행에 대한 니체의 사유의 궤적을 따라간 결과, 우리는 니체가 여타의 동물과 다른 인간의 특징을 가치판단을 통한 윤리적 삶의 영위 여부에서(『차라투스트라』), 더 나아가 인간 존재를 동물적 존재와 다르게 예측가능하며 일관되고 책임 있는 자로 만들어줄 수 있는, 보다 근본적인, 의지의 기억과 약속의 능력에서 찾고 있음(『도덕의 계보』)을 발견한다. 니체는 동물에서 인간으로의 이행, 즉 인간화가 공동체 안에서, 공동체의 규범에 의한 교육과 훈련에 의해, 자연의 부정을 강요당하면서 일어난다고 보았다. 그 결과 인간은 우선 자연을 부정하는 금욕주의자가 되고 공동체의 규범에 순응하는 무리동물이 된다. 인간의 정신은 가장 먼저 낙타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로부터 우리는 인간의 위버멘쉬로의 이행이 자연과의 화해 및 윤리적 개인주의에 대한 요구를 표현한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대면적 Multi busbar 모듈 전력 손실 저감을 위한 태양전지 설계

        김주휘,이재형 한국태양광발전학회 2023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Vol.11 No.1

        Solar energy had become the main energy industry of renewable energy along with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One of the technologies that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photovoltaic power and the decrease in the unit price of photovoltaic modules was the large-area solar cell. However, as the area increased, the light receiving area increased and the current value increased accordingly. Since power loss occurs when the current value was large, the number of busbar was increased to increase the current collection rate, and a technology to lower the current value through half-cutting was developed. The bus bar of the solar cell serv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generated current was transmitted. This was because when the number of busbar decreases, the moving distance of electrons increased, so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decreases and when it increases, shadows occured. An important aspect of the electrode design was the optimal balance of these busbars and number of finger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lar cell according to the number of front bus bars of the large-area solar cell were simulated using Griddler 2,5 pro. After selecting the number of busbar with the best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was compared by varying the number of fingers and a better direction for the number of cutting was presented.

      • KCI등재

        Establishing a Patient-centered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 Early Results from a Single Institution

        김주휘,류현진,박준빈,Sang Hui Moon,명선정,박완범,임재준,윤현배 대한의학회 2020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5 No.50

        Background: Longitudinal integrated clerkships (LICs) have been adopted by medical school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block clerkship rotations and to promote continuity of care. In 2018,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troduced a patient-centered LIC program as part of a new curriculum in parallel with traditional block rotation clerksh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patient-centered LIC program and to investigate its educational effects. Methods: In 2018 and 2019, a total of 298 third-year medica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LIC program. We divided the students into groups of eight, which were organized into corresponding discussion classes. Throughout the academic year, students followed up patients by interviewing them at the hospital or reviewing their electric medical records. Discussion classes on set topics were held seven times per year with facilitators and clinical faculties. Students completed a course evaluation questionnaire at the end of the academic year. The questionnaire included 22 items measured on a 5-point scale and two open-ended questions asking about the benefits and limitations of the program. The items covered three domains: student experience, satisfaction, and self-assessment. Final reflective essays were collected as both student assessments and data for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During the study period, the overall experience of the students improved. We increased the number of faculty members and patients and decreased the number of students in each discussion class. We also provided additional feedback through an e-portfolio. Students' satisfaction changed positively. Compared to the rotational clerkship, students answered that the LIC provided additional help in learning the two core competencies. During the first 2 years of the program,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 program was more helpful than the rotational clerkship increased from 23.7% to 46.4% for continuity of care (P < 0.001), and from 20.5% to 50.7% for patient-centered care (P < 0.001). Conclusion: Our patient-centered LIC, in parallel with traditional block rotation clerkships,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experience of continuity of care and patient-centered ca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