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로 피드백 중재 적용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김주홍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trial research trends in regards to the Neurofeedback(NF) intervention in Korean journal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domestic journals published from 2007 to 2016 and they searched six electronic databases to find relevant articles, using the term 'Electroencephalography', ‘Neurofeedback’.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were most frequently studied with NF training. other studies Stroke, Intellectual disability, Hearing impairment, Depressive disorder, Traumatic brain injury, Dementia,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Tic disorder. NF interventios were attempted in diverse training protocols and assessed with many defferent outcome measurements. The result of this showed that the intervention of NF in client is effective for the recovery of the physical functions related to Neuromusculoskeletal system, mental function of client.. For a better result of study related to this field, more systematic researches should be followed, overcoming the existing limitations and particularly the applicability and effect of NF training need tapping more. 본 연구는 뉴로피드백 중재에 관하여 국내 연구를 바탕으로 임상학적 연구 동향을 조사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저널에 발표된 논문을 바탕으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Electroencephalography, 뇌파”, “neurofeedback, 뉴로피드백” 단어를 사용하여 6개의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하였다. 연구에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에 뉴로피드백 훈련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그 외에는 뇌졸중, 지적장애, 청각장애, 우울증, 외상성 뇌손상, 치매, 측두하악장애, 틱장애에 뉴로피드백 훈련이 다양하게 시행되었고 다양한 평가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뉴로 피드백을 이용한 중재가 신경근골격계 움직임 관련 기능, 정신기능 등의 회복에 효과적이며 뇌파에 대한 근거를 지지할 수 있다. 더 나은 연구를 위해서 향후 기존의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한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며, 뉴로 피드백 적용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들이 더 많이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목적 함수의 연립 방정식화를 위한 직접 도함수 산출에 의한 최적치 계산법

        김주홍,엄기환 한국정보통신학회 2000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4 No.1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for the object function used in optimal control or optimal design that sets the object function as simultaneous and then calculates the optimal value according to the Newton method. The proposed method calculates the optimal value simply using two inputs; object function and initial value, using the DDA(Direct Derivative Algorithm) which is a programmed ordinary derivative function that does not inquire the calculation of derivative function nor any inputs. And we have verified the usefulness of the algorithm for the optimal control and optimal dosing. 최적 제어나 최적 설계에 사용되는 목적함수를 연립 방정식화하여, Newton법에 의하여 최적치를 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식은 도함수의 산출과 입력이 불필요한 일반 도함수를 프로그램화한 직접 미분법(DDA)에 의하여 목적함수와 초기치만을 입력하여 최적치를 구하는 간단한 방식이다. 제안한 방식을 최적 제어와 최적 설계에 적용하여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AHP를 이용한 물류서비스품질 선택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물류기업과 고객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주홍,영민,박수현,부제만 한국경영교육학회 2018 경영교육연구 Vol.33 No.2

        [Purpose] FTA(Free Trade Agreement) broke down regulation and barrier of transactions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made concept of platform broad sense. Increasing number of logistics and expanding logistics industry were followed as a result. Thus, this study aims to measure which factor is important to logistics corporation and customer. [Methodology] This study is based on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ory and existing researches on logistics service quality. To study main factors and detailed factors of logistics service quality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professionals, Analyzing data from the survey using AHP method was followed for measuring relative importance and perception gap. [Findings] This study analyzed key factors of logistics service quality, their relative importance and gap of supplier and customer in logistics service quality evaluation. [Implications] By defining factors of logistics service quality and clarifying their relative importance using paired comparison, this study contributed to decision making in improvement or innovation of logistics service quality. Furthermore, by identifying perception gap, it provides reference to logistics corporation in efficient allocation of resources. [연구목적]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으로 인해 거래에 있어 각종 규제와 장벽이 허물어지고,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에 기반을두고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플랫폼(platform)의 영역이 광의의 개념으로 확대되었다. 이에본 연구는 물류서비스를 구성하는 품질요인 중 어떤 요인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지탐색하고 중요도와 필요성의 관계를 밝혀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에 관한 이론과물류서비스품질에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참고하고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선정한 요인들을물류산업에 관련한 물류전문가들과 물류서비스를 경험한 고객들로 나눠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AHP를 이용, 분석하여 두 그룹의 결과값과 격차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물류서비스품질을 구성하는 주요요인들을 탐색하였으며 각 요인들의 상대적중요도를 밝히고 각 요인들을 인식하는 두 그룹간의 격차를 밝힐 수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 물류서비스품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을 정의하고 각 요인들이 갖는 상대적 중요도를 밝혀냄으로써 물류서비스품질의 개선이나 혁신을 위해 우선 고려해야 할 선택요인을 선정하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공급 측과 수요 측의 인식 격차를 확인함으로써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漢詩를 通해 본 泰安 水路와 水軍鎭

        김주홍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020 해양문화재 Vol.13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aean, the place having rapid tidal current against cargo ships and the roles of Anheung Camp (Anheungjin) as the salvation place backside in the river city through poems and essays shown in the literature collections of scholars in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is study also found out how the roles of Anheungjin as a port of call for transport ships and Sogeun Camp (Sogeunjin) which was established to pray for safe sailing of the transport ships were carried out through the operation of watchtowers. Chapter I reviewed a number of the sinking accidents of transport ships in Anheungryang which was called as Nanhaengryang (meaning the place of rapid tidal current), damages of human lives, and plunder of Japanese pirates in poems and essays shown in the literature collections of scholars, which are introduced as a basic material to restore the tough life of Taean residents who had to scoop out the grains for tributes from the wrecked ships and take the burden to wrap up the situations. Chapter II investigated the attempt to do excavation work for the Gulpo canal in order to change Nanhaengryang to Anheungryang by era. Such attempts had been done since the time of King Injong in the Goryeo Kingdom. There were persistent attempts for the excavation work according to great interests shown by kings and subjects even after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but they failed after all. This study showed the probabilities of the excavation works in Gulpo through the poems of various scholars by clause. Chapter III reviewed poems and essays shown in the collection of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by clause and by theme in order to understand the circumstances of the Anheung region. Through Chinese poems, Clause 1 deals with the attempts for the excavation works in Gulpo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passing through Namhaengryang, the hardship resulted from the failure in excavation works, and the poems related to civil hardship due to the sinking accidents of transport ships. Clause 2 shows poems and essays of various scholars related to Anheungjin which was encamped as a salvation place in Ganghwado after the Qing invasion of Joseon. Clause 3 introduces poems, essays, and petition letters to the King related to Anheungjin, through which we can suspect the recognitions of scholars at that time on the Taean region. Lastly, it shows literature records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eight watchtowers supervised by Anheungjin and Sogeunjin. Among them, it was passed down orally that the watchtower in Shinjinri guided the sea routes for envoys from Song Dynasty as well as serving for ritual service that prayed for a safe voyage. As a result of this study on poems of scholars, it was confirmed that being succeeded from the Goryeo Kingdom, Taean functioned as a place for scouts to defend against Japanese pirates in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also identified the guidance of transport ships and the fact that the guard soldiers (supervising officers) resided all the time to detect drift or emergence of any foreign ships and they performed their duty faithfully. This study also found out new facts through the realistic expression of the people at that time. Defending Ganghwado by Anheungjin, escorting transport ships by Sogeunjin, and establishing and operating watchtower to watch out the sea are those newly introduced facts in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In relation to further survey and research of the navy camp to do, studies of the watchtowers should be done as well. 본 연구는 조선시대 文人들의 文集에 나타난 詩와 散文을 통해 漕運船 難行梁으로서의 泰安과 江都의 배후 구원처로서의 安興鎭 역할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외 조운선의 기항지인 안흥진과 이들 조운선의 무사 운항을 위한 所斤鎭의 역할이 候望所의 운용을 통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 관련 제Ⅰ장에서는 文人들의 文集에 나타난 詩와 散文이 難行梁이라 일컬었던 安興梁에서 조운선의 다수 침몰과 인명 피해외 왜구의 노략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당시의 수운체계와 이들 해중에 침몰한 세곡을 건져내고 뒤처리와 부담을 떠안아야 했던 태안 지역민들의 고단했던 삶을 복원하는 기초자료임을 소개하였다. 제Ⅱ장에서는 난행량을 안흥량으로 바꾸기 위한 堀浦 掘鑿 시도를 시대별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시도는 고려 인종대부터 있었다. 조선 건국 후에도 역대 왕과 대신들의 지대한 관심 속에 지속적인 굴착 시도가 있었으나 결국 실패하였다. 이어 각 항별로 여러 문인들의 詩를 통해 굴포 굴착의 개연성을 소개하였다. 제Ⅲ장에서는 과거 안흥 지역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조선 시대 文人들의 文集에 나타난 詩와 散文을 각 항별 주제별로 살펴 보았다. 1항은 한시를 통해 난행량 통과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굴포 굴착 시도와 실패가 가져온 어려움, 조운선 침몰로 인한 민폐 발생 관련 시. 2항은 丙子胡亂 후, 강도의 배후 구원처로서 설진된 安興鎭 관련 여러 문인의 시와 산문. 3항은 안흥진과 관련된 글을 통해 당시 문인들의 태안 지역 인식을 추정해볼 수 있는 시와 산문외 상소. 끝으로, 안흥진과 소근진에서 소관하였던 8개소의 望臺所에 대한 문헌 기록과 현황을 소개하였다. 이중 신진리 후망소는 고려 시대에 宋나라 사신들의 항로를 안내하고, 동시에 무사 항로를 기원하는 祭祀의 장소였다고 口傳으로 전해진 곳이다. 본 연구에서 문인들의 詩를 통해 살펴본 결과, 조선 시대에는 고려의 기능을 이어 倭寇防禦를 위한 斥候所였음을 새로 확인하였다. 이외 漕運船의 안내, 그리고 조선 후기에는 異樣船·荒唐船의 표류와 출현을 후망하기 위해 항시 望軍(監官)이 상주하며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음을 밝혔다. 이 연구에서 당대인들의 현장감 있는 표현을 통해 새로운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안흥진의 강도 구원과 소근진의 조운선 호송 역할에서 해상의 후망을 위한 후망소의 설치 운용은 처음으로 소개하는 것이다. 향후 진행예정인 수군진 조사·연구와 관련하여 이들 배후 후망소에 대한 조사·연구도 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