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기와 후기 폐경후기 여성에서의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와 위험 요인들

        김종훈,이문수,양재원,고영훈,고승덕,조숙행,Kim, Jong-Hun,Lee, Moon-Soo,Yang, Jae-Won,Ko, Young-Hoon,Ko, Seung-Duk,Joe, Sook-Hae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9 정신신체의학 Vol.17 No.2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생식 노화 연령 연구(stages of reproductive aging workshop : STRAW)의 분류에 따른 초기와 후기 폐경후기에서의 폐경기 증상의 특징을 살펴보고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비임상 표본인 41~59세의 497명의 자연폐경이 된 폐경후기 여성을 대상으로 초기 폐경후기 군과 후기 폐경후기 군으로 구분하였다. 삶의 질의 평가를 위해 폐경평가척도(menopause rating scale : MRS)가 사용되었다. MRS 점수, 인구사회학적 특징, 흡연, 음주 여부, 폐경 연령과 폐경에 대한 태도, 우울감, 월경 전 불쾌장애 병력 여부 등의 위험 요인을 초기와 후기 폐경후기간에 비교 조사하였다. 각 군에서 각각의 변인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MRS에 대한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초기 폐경후기군에서 후기 폐경후기군에 비해 유의하게 더 심한 폐경기 증상, 폐경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심한 우울감을 보였다. 안면홍조증상이 중등도 이상인 군은 경도 이하인 군보다 폐경기 증상의 호소와 우울감이 유의하게 높았고 폐경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이었다. 폐경에 대한 태도와 우울감이 초기 폐경후기군과 후기 폐경후기군에서 모두 폐경기 증상의 심한 정도에 주요한 기여를 하였다. 초기 폐경후기군에서 연령, 폐경연령, 월경 전 불쾌장애 병력 여부가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에 유의하게 기여한 반면 후기 폐경후기군에서는 결혼상태, 직업여부가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에 기여하였다. 결론 : 폐경후기 여성의 삶의 질은 후기보다 초기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들 중 폐경에 대한 태도와 우울감은 초기와 후기 폐경후기의 삶의 질에 공통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그 밖의 위험 요인들은 초기와 후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에는 폐경기 증상 호소로 병원을 찾는 폐경후기 여성 환자들의 임상표본(clinical sample)을 대상으로 삶의 질과 위험 요인을 확립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evaluate the risk factors affecting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in early and late postmenopausal women based on the stages of reproductive aging workshop(STRAW) paradigm. Methods : This cross-sectional study examined 497 Korean postmenopausal women aged 41-59 yea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 divided subjects into early postmenopause group and late postmenopause group. Menopause Rating Scale(MRS) was used to measure the quality of life. MRS scores, sociodemographic variables, smoking, alcohol use, age at menopause, and risk factors such as attitude to menopause, depression, history of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were compared between early and late postmenopause group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each group to assess the independent contribution of several variables. Results : Early postmenopaus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RS scores,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menopause, higher scores of depressive symptoms than late postmenopause group. Moderate to very severe hot flush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menopause, higher score of depressive symptoms, and higher MRS scores than none to mild hot flush groups. Depressive symptoms and attitude toward menopause contributed to the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 in both early and late postmenopause groups. Chronological age, age at menopause, history of PMDD contributed to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in early postmenopause group while marital status and occupation contributed in late postmenopause group. Conclusion :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ostmenopause women was significantly lower in early postmenopause group than the late. Attitude toward menopause and depressive symptom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quality of life in both early and late postmenopause groups but other variables contributed differently in each group. Further studies on clinical samples of postmenopausal women in order to confirm quality of life and its risk factor are needed to be done.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전라북도 온천수의 수질 화학적 특성과 연대 측정

        김종훈,최용욱,Kim, Jong Hun,Choi, Yong Wook 대한화학회 1996 대한화학회지 Vol.40 No.2

        전라북도 내에 최근 새로이 개발된 온천수와 그곳 지하수의 수질 화학적 특성과 연대(나이)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수질 화학적 특성중 온도는 27-29$^{\circ}C$의 미온천이며, $F^-$이온은 평균 2-13ppm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NO_3^-$이온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SO_4^{2-}$는0.02-23ppm이었으나 이중 유황천으로 알려진 $Y_3$의 $SO_4^{2-}$함량은 다른 지역보다 최소 2배에서 최대 40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Diagram에 의한 분류에서 $Y_1,\;Y_3,\;Y_5,\;Y_2,\;Y_4,\;Y_8$은 $HCO_3^-$형, $Y_6$는 $CI^-$형, $Y_7$은 특징없는 물로 분류되었다. 강수(precipitation)와 온천수의 삼중수소 준위를 기초로 한 연대측정에서 piston flow model에 의해 $Y_1$은 -89년으로 가장 오래된 온천수며, $Y_7$은 -2년으로 가장 최근의 물로 계산되었다. 또한 dispersive model에 의한 값도 $Y_1$은 89년, $Y_7$은 2년된 물로 계산되어 piston flow model값과 거의 같은 결과를 얻었다.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ge dating of the thermal springwater developed recently in Chullabukdo were investigated. The temperature range of the thermal springwater was found 27∼29$^{\circ}C$, indicating a low temperature thermal springwater. The concentration of $F^-$ ion in the springwater was found relatively high in the range of 2∼3 ppm, but $NO_3^-$ ion was nearly not detected. The concentration range of $SO_4^{2-}$ ion was 0.02∼23 ppm, among which $SO_4^{2-}$ content of $Y_3$ was found very high compared to that of other springwater, since this site is known as a sulfur spring. $HCO_3^-$ ion content was found 2∼5 times higher than that of groundwater. $Y_1,\;Y_3,\;Y_5,\;Y_2,\;Y_4,\;and\;Y_8$, were classified as $HCO_3^-$ type, $Y_6$ as $CI^-$type, and $Y_7$, as no domonant type by classification diagram for anion and cation facies. From the results of age dating on the basis of the mean tritium level of precipitation and thermal springs, $Y_1$ was identified as the oldest thermal spring (-89 years) and $Y_7$ was identified as -89 years and $Y_7$ was -1 year using dispersive model. The results calculated by two models agreed well each other.

      • SCOPUSKCI등재

        제주도 용천수의 수질 화학적 특성과 연대 측정에 관한 연구

        김종훈,안종성,Kim Jong-Hun,Ahn Jong-Sung 대한화학회 1992 대한화학회지 Vol.36 No.5

        The water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ge dating of springwater in Cheju island had been investigated. C_1, C_4, C_7, C_9 springwaters were not affected by seawater intrusion by TD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relationship of Cl and tritium, Cl and HCO_3 ratio, and total hardness and pseudo hardness. In this case only C_7 springwater was evaluated tasty and healthy mineral springwater by Hahimoto's Mineral Balance Index. On the basis of the mean tritium content of rainfalls and springwater, the average residence time of it, were calculated. Considering the hydrogeologic and hydrochemical condition, completely mixed model seems to be very fit. It was obtained the result that C_9 group springwater (C_{10}, C_{12}, C_{14}) was 1.2 months, C_7 springwater was 5.6 months, and deep groundwater C_{17} was 4 years. 제주도 해안가 용천수의 수질화학적 특성과 연대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수질화학적 특성은 TDS와 전기전도도, Cl과 H-3의 상관관계, Cl/HCO_3비, 경도와 유사경도의 관계 등에 의하여 C_1, C_4, C_7, C_9 용천수만 해수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이 때 C_7 용천수는 Mineral Balance Index에 의해 맛있고 건강한 물이라 평가되었다. 강수의 Tritium 함유량과 용천수중의 Tritium 잔존량을 기초로 한 연대측정에서 제주도 수리지질 및 수문화학적 조건에 적합한 Completely mixed model에 의한 값으로 해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C_9그룹(C_{10}, _{12}, C_{14}) 용천수의 평균 이동시간은 약 1,2개월, 맛있고, 건강한 물로 평가된 C7 용천수의 평균이동시간은 5,6개월, 심부 지하수인 C_{17}은 약 4년정도로 계산되었다.

      • SCOPUSKCI등재

        삼중수소 측정에 의한 약수터 물의 수질특성 연구

        김종훈,최용욱,정택균,Kim, Jong Hun,Choi, Yong Wook,Chung, Taek Kyun 대한화학회 1996 대한화학회지 Vol.40 No.6

        전주근교 약수터 15개 지점에 대하여 그들의 수질특성을 1993년 7월부터 1994년 5월까지 1년 동안에 걸쳐 물속의 삼중수소를 기준으로 삼중수소와 TDS, 삼중수소와 전도도, 삼중수소와 $Cl^-$, 그리고 삼중수소와 총경도의 관계로부터 평가하였다. 이들 약수터 물은 빗물과 유사한 단물, 유동기간이 짧으며 흙층을 통과한 센물, 유동기간이 길고 암반층을 유동한 약한센물, 유동기간이 길고 암반층을 유동한 단물의 특징적 그룹으로 나눌 수 있으며 대부분 빗물과 유사한 물로 해석되었다. Hashimoto의 Mineral Balance Index에 의하면, J-4용천수만 맛있고 건강한 물로 평가되었다.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have been studied for 1 year by means of relationships between tritium and total dissolved solid(TDS), tritium and conductivity, tritium and chloride, and tritium and total hardness for 15 springs in the vicinity of Jeonju city of Korea.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prings were divided into four characteristic groups, but the characteristics of most springwaters studied were similar to those of rainfall. Fifteen springwaters were evaluated to see if those are tasty and healthy using the Hashimoto's Mineral Balance Index. As a result, only one spring (J-4) was found as tasty and healt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