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효 잡음을 활용한 FTV 입체음향 개선방안 연구

        김종운,조현석,이윤배,여성대,김성권,Kim, Jong-Un,Cho, Hyun-Seok,Lee, Yoon-Bae,Yeo, Sung-Dae,Kim, Seong-Kweon 한국전자통신학회 2015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0 No.2

        본 논문에서는 FTV(Free-viewpoint TV) 서비스에서, 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유효 잡음 이용 입체 음향효과 방법을 제안한다. 농구장에서 초지향성 마이크 및 무선 마이크를 사용하여 선수와 심판의 연속적인 음향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주파수 스펙트럼을 관찰하였으며,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시청자가 Zoom-in을 할 경우, 유효 주파수 여부를 판단하였다. 따라서 FTV 서비스에서 시청자가 피사체를 향해 Zoom-in 시, 제거대상이었던 잡음을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FTV의 입체 음향 연구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that immersive audio effect method using the effective noise to improve engagement in free-viewpoint TV(FTV) service. In the basketball court, we monitored the frequency spectrums by acquiring continuous audio data of players and referee using shotgun and wireless microphone. By analyzing this spectrum, in case that users zoomed in, we determined whether it is effective frequency or not. Therefore when users using FTV service zoom in toward the object, it is proposed that we need to utilize unnecessary noise instead of removing that. it will be able to be useful for an immersive audio implementation of FTV.

      • KCI등재

        벤처기업의 인력구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종운,Kim, Jong-woon 한국벤처창업학회 2015 벤처창업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국내 벤처기업 1,793개사 자료를 활용하여 비정규직 비중 증가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업무분야별 근로나 비중 및 근로자의 학력 비중이 벤처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벤처기업의 비정규직 비중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매출액 성장률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는 소규모기업보다는 중규모 기업이 그 부정적인 효과가 더 크고, 유의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리직, 연구직, 생산직 및 판매직 등 업무분야별 비중이 벤처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 규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소규모기업은 업무분야별 비중의 차이가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중규모기업의 경우에는 생산직과 판매직 비중에 영향을 받았다. 한편, 근로자의 학력과 매출액 상승률과의 관계에 대하여는, 기업규모별 차이가 가장 두드러져서, 소규모기업의 경우에는 대졸자 및 대학원졸업자의 비중이 매출액 증가율에 유의하거나 또는 유의하게 않은 정도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중규모기업의 경우에는 대학원졸업자 및 대학졸업자의 비중이 모두 매출액 증가율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혁신성을 바탕으로 한 인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창업하는 벤처기업의 경우, 섣부른 비정규직의 활용이 경영성과 제고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으나, 그러한 영향을 발생시키는 근본적인 이유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s of changes in temporary workers on firm performances, and the effects of different workforce portions of business functions on corporate performances, respectively, using Korean venture business survey conduected in 2013.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venture businesses decreases significantly, as the portion of temporary workers increases, which is more pronounced in small companies than in medium companies. In addition, the portions of workforce for administration, R&D, production, and sales don't have uniform effect on firm performance, where medium companies are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portions of production and sales, while small companies do not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 This analysis implies that innovative firms, based on knowledge workers, need to use caution when they plan to increase temporary workers, which may lead to lower performance. However, we need further research for the basic causes of the possible lower performance.

      • KCI등재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창업동기 및 창업계획시기를 중심으로

        김종운,Kim, Jong-woon 한국벤처창업학회 2014 벤처창업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영향을 분석하여 어떤 요인들이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이론적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의 특성과 경험, 그리고 창업에 대한 태도와 창업능력, 그리고 사회적평가 등 계획행동이론의 창업의지 3대요소 뿐만 아니라, 창업에 관심을 가지는 동기 및 창업을 하려는 시기 등을 창업의지설문(Entrepreneurial Intention Questionnaire)을 통하여 7점 척도의 리커트스케일로 조사하고 그 신뢰도를 확인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행동이론의 3대 의지요인은 모두 창업의지에 매우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고, 그 중 특히 창업에 대한 태도 변수와 기업가적 자질이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 둘째, 대학생들이 창업에 관심을 가지는 동기에 따라 창업의지가 유의하게 다른 경우가 있었다. 독립성 추구나 수입 또는 자아실현 등 적극적 의지로 창업 관심을 가진 경우보다 가업승계 기타의 사유로 창업에 관심을 가지는 경우에는 창업의지 지표가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셋째, 창업에 관심을 가지는 대학생들 중 창업실행의 시기를 재학 중이나 취직 직장생활 후로 설정하는 학생들보다 졸업 직후로 잡는 이들이 창업의지가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부모의 창업 사업 경험이 자녀의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부모의 창업 사업 업종과 대학생인 자녀의 창업 관심업종의 통계적 유사성은 기각되어서, 서로 같다고 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기존 연구와는 달리 부모의 창업경험 및 업종 등의 영향이 거의 없이 독립성 및 자아실현 등 적극적 창업동기를 가진 대학생들의 창업의지가 높으므로 대학생들의 잠재적인 창업능력과 의지를 발현할 수 있는 교육체계를 통해 창업의지의 선행요소를 개발 자극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among college students of a university in Daejeon. We have used a revised Entrepreneurial Intention Questionnaire including personal trai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three factor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motivations to startup and planned startup tim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strongly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three TPB factor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of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students' motivations to create a firm such as independence and self-achievement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s, while the students who want to start their business right after their graduation have significantly higher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an those who want to create a firm after doing a salaried job. Furthermore, students whose parents have created or operated a firm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others, and parents' startup business typ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ir sons and daughters' interested areas of business.

      • KCI등재후보

        벤처기업의 외부협력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종운,Kim, Jong-Woon 한국벤처창업학회 2012 벤처창업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국내 벤처기업들의 외부 협력이 그 협력의 대상 및 협력 내용별로 벤처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벤처기업실태조사" 중 1,567개 벤처기업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기관과 외국기업과의 협력은 벤처기업의 매출성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다른 중소기업과의 협력이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반면, 대기업과의 협력은 유의하게 부정정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대기업과의 협력 내용별로는, 공동기술개발 신제품 공동개발은 벤처기업의 경영성과에 매우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직원교육훈련 인력교류 및 공동마케팅 해외동반진출도 유의하게 벤처기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반면, 자금지원 대출알선은 매우 유의하게 벤처기업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기술지도 정보제공 기술이전 및 성과공유제 시행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벤처기업의 혁신능력을 제고시키거나 새로운 시장개척과 관련한 협력 유형이 경영성과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향후 대 중소기업간 협력정책의 추진방향에 시사점을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ternal collaboration factors that affect the performance of Korean venture businesses. We use 1,567 firm data (from Venture Business Survey by Small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 external collaborations with large business, research institutions, other small business, and foreign companies, on their sales increase between 2008 and 2009. Our analysis shows that Korean venture business' collaborations with research institutions or foreign companies increase their sale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while their collaborations with large business decrease their sales significantly. In the mean time, their collaborations with other small businesses show no significant result. Additional analysis on the collaboration categories between venture businesses and large businesses shows that collaborative R&D, employee training and collaborative marketing help venture business to increase their sales significantly, while financial collaborations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ales increase. Technology transfers and profit-sharing mechanism have no significant effect. The result shows that venture business' collaborations for the increase in the fundamental capability of innovations and for searching new markets rather than simple transfer of technology or financial collaborations,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increase in sales.

      • KCI등재후보

        음악치료 활동이 ADHD 경향 아동의 정서 및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

        김종운 ( Jong Un Kim ),김명숙 ( Myung Sook Kim ),김유진 ( Yu Jin Kim )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9 동서정신과학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치료 활동이 ADHD 경향 아동의 정서 및 행동 장애를 극복하는데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주의집중 지속시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소재 D 어린이집에 재학 중인 만 5세의 여자 원아로 어머니에 의해 의뢰 되었다. 음악치료 활동 프로그램은 2009년 6월부터 8월까지 회기당 30분씩 주 1회,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음악치료 활동 프로그램의 내용은 언어적이고 음악적인 분야로 나누어 반복하고 모방하며 표현하고 학습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으며 ADHD 경향 아동이 흥미를 가지고 즐겁고 자유롭게 참여하고 활동할 수 있는 내용으로 신체표현, 언어표현 노래와 악기에 의한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측정은 본 연구자와 상담분야 박사학위 수료자 2인이 주의집중행동장애아의 정서적 표현과 행동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주의집중 지속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주의집중행동 장애아의 불안 행동이 개선되었고 눈 마주침 행동의 빈도와 지속시간이 향상되었다. 또한 주의집중 지속시간이 증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emotion and behaviors of a girl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The subject for this study is a seven-year girl. She was asked a therapy by her mother. The program of music therapy lasted from the first of June to the tenth of August in 2009, once a week for 12 sessions. Research measurement are Conners Teacher`s Rating Scale and observation of emotional, behavioral changes as well as the duration of attention by two observers. The conclusion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observation of emotion and behaviors, there were positive changes. Second, as to analysis of the attention duration, there were positive changes on the duration of attention. Thus, there was positive improvements on the emotion and behaviors of a child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This results confirmed that music therapy was effective on the increase of attention duration and the frequency of eye contact as well as the positive change of the emotion and behaviors of a child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se results, but the following research through music therapy was asked to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 KCI등재

        초기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복식 근치적 자궁목절제술 및 자궁목잘룩 원형결찰술 시행 후 성공한 만삭 분만 2예

        김종운 ( Jong Woon Kim ),김윤하 ( Yoon Ha Kim ),최호선 ( Ho Sun Choi ),김철홍 ( Chul Hong Kim ),조혜연 ( Hye Yon Cho ),조문경 ( Moon Kyoung Cho ),송태복 ( Tae Bok So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11

        Since the screening tool was introduced, the incidence and mortality of cervical carcinoma has decreased. However, the incidence of early stage cervical cancer is increasing in young women who want to preserve their fertility. The risk of preterm delivery after trachelectomy is high and remains problematic. Herein we report two patients who had successful full-term delivery after abdominal radical trachelectomy and concurrent cervicoisthmic cerclage for early stage cervical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