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Urease를 생산하는 Vibrio parahaemolyticus의 분리 및 urease 생산

        김종숙,영희 한국생명과학회 2000 생명과학회지 Vol.10 No.1

        Urease is an important microbial enzyme and its production is a marker to predict potential pathogenicity. An unusual halophilic bacterium producing urease was isolated from sea product and identified as Vibrio parahaemolyticus KH410. Its biochemical properties were indole negative, gelatin positive, sodium citrate positive and Kanagawa positive whereas other characteristics were identical as the standard strain except it showed a positive reaction on Christensen's urea agar. V. parahaemolyticus urease production was directly related to urea concentration. The production of urease was noticeable by the addition of 0.2% urea, 0.5% glucose, 2% NaCl in LB broth, and the initial pH of 5.5. The maximum production reached after 6 hr of incubation at 37$^{\circ}C$. However, NiCl2, metal ions, phosphorus did not affect production of urease.

      • KCI등재
      • KCI등재

        상속세법의 보충적 평가 방법에 대한 기업 규모의 효과

        김종숙,중길,이병철 한국회계정보학회 2013 회계정보연구 Vol.31 No.4

        This study evaluates the fairness of the supplementary evaluation method (SEM) and analyzes the firm size effect on the valuation of SEM. Listed companies with the market value are classified by their sizes to compare with stock values estimated by SEM. Sample firms are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total value of company's assets. The followings are found. Most of listed companies have lower stock values by SEM than the adjusted stock value. For the group that is evaluated most unfavorably, the stock value by SEM is unfavorably evaluated by almost 2.6 times. For the group that is evaluated most favorably, the stock value by SEM is favorably evaluated but the difference between two values are not too large. Therefore, the difference of the stock value by SEM and the adjusted value is significantly large for the unfavorably evaluated group, whereas the difference are immaterial for the favorably evaluated group. If we suppose that a market value of a listed firm contains premium compared to the firm value of a similar unlisted firm, ceteris paribus, it is the fair argument that the per stock value by SEM is unfavorable compared to the per adjusted stock value of listed companies. Of the unfavorably evaluated group,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to the stock valuation are total value of asset and earnings per share. In the other hand, of the favorably evaluated group, total value of asset is not considerable factor, but there is a negative effect from total value of liability and cash flow of operating activities. This result is caused by stock valuation of SEM that uses net asset value instead of total asset value. 본 연구는 보충법의 적정성을 평가하고 기업의 재무적 특성 중 가장 중요한 변수로 인식되고 있는 규모에 따라 보충법 평가액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보충법 주가와 비교 가능한 시가가 존재하는 상장기업을 일정 규모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주가가 적절히 평가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장기업의 발행주식 액면가를 5,000원으로 표준화하여 수정시가를 산출하고 이를 보충법 주가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상장기업의 총자산을 기준으로 표본을 4 그룹으로 구분한 후 이들 그룹별로 보충법주가와 수정주가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상장기업 표본에서 보충법 주가가 수정주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충법주가가 수정주가보다 낮은 저평가 그룹의 경우 수정 주가와 보충법 주가의 차이는 보충법 주가가 2.6배 현저하게 저평가되었다. 이에 반하여 고평가 그룹의 경우 보충법 주가가 고평가되기는 하나 그 차이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편이다. 즉, 보충법주가와 수정주가의 차이는 저평가 기업군에서 수정주가와 보충법 주가의 차이가 현저하게 큰 반면에 고평가 기업군에서는 두 척도가 상호 역전되기는 하나 차이가 크지 않다. 보충법 주가가 상장기업의 수정 주가보다 저평가되는 것은 상장프리미엄이 존재한다고 가정할 때 타당한 것이다. 저평가 기업군의 경우 주가평가액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총자산과 주당순이익이다. 반면에 고평가 기업군의 경우에는 총자산이 전혀 관계가 없고 총부채와 영업활동으로부터 현금흐름이 주가에 대하여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결과의 주된 원인은 보충법 주가 공식이 순자산을 사용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저평가 기업 군의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기업규모가 클수록 보충법 주가가 높아지지만 보충법 주가와 수정주가의 괴리는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상증법상 비교평가방법 주가에 대한 기업규모와 상장의 효과

        김종숙,이병철 한국회계정보학회 2014 회계정보연구 Vol.32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alidity of the comparative evaluation method(CEM) of the Inheritance Tax Law in terms of stock listing and firm size. Complementary valuation method(CVM) and CEM are applied both for the listed firm sample and the unlisted firm sample which are classified by firm size in order to identify listing and size effects on the valuation. Face values are standardized by 5,000Wo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stock price of CVM of the listed firm is lower than the standardized stock price(ST_PRICE) and that of CEM. For the unlisted firms, the price of CEM is higher than that of CVM. The larger the firm size, the higher the ST_PRICE, prices of CEM and CVM. The gap of the ST_PRICE and the price of CEM is larger as firm size is increased. The results for unlisted firms are similar except for the largest firm size group, of which the ST_PRICE, prices of CEM and CVM are decreased. Also the price gap between CEM and CVM are decreased in the largest size group. The prices of CEM and CVM of the unlisted firms are higher than ST_PRICE and that of CVM of listed firms. These phenomena may be due to smaller share outstanding of the unlisted firms than that of the listed firm. It is due to the effect of listed that the price of CVM is lower than the ST_PRICE for the listed firm sample. It is desirable to adopt a weighting system based on firm size to increase firms to get benefits from CEM. 본 연구는 비교법의 적정성을 평가하고 규모 등 기업의 특성과 어떠한 연관관계에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에 따라 시가가 존재하는 상장기업 표본과 시가가 없는 비상장기업의 표본에 보충법과 우사상장법인 비교평가방법(비교법)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고 규모를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비상장기업의 주가가 비교법 적용으로 적절히 평가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주식의 액면가가 서로 다른 점을 감안하여 액면가를 5,000원으로 통일한 수정주가를 이용하였다. 상장기업의 경우 보충법 주가는 수정주가보다 낮았으나 비교법 적용가능기업의 비교법 주가 평균은 보충법 주가 평균보다 높았다. 비상장기업의 보충법 주가는 상장기업의 수정주가보다 높았다. 비상장기업의 비교법 대상 비교법주가는 비상장기업 보충법주가보다 높았다. 비교법 적용기업만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도 이와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기업의 규모를 상장기업을 기준으로 4그룹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상장기업의 경우 기업의 규모가 커질수록 수정주가, 보충법주가, 비교법 주가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정주가와 비교법주가의 차이는 규모가 커질수록 차이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상장기업의 경우 상장기업의 규모와 동일한 기준으로 4그룹으로 구분해 본 결과 규모가 1, 2, 3그룹으로 커질수록 수정주가, 보충법주가, 비교법 주가가 증가하고 수정주가와 비교법주가의 차이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규모가 가장 큰 4그룹의 경우 3그룹보다 수정주가, 보충법주가, 비교법 주가가 감소하고 수정주가와 비교법주가의 차이도 축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법 적용가능 기업만을 대상으로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을 비교한 결과 비상장기업의 보충법 주가와 비교법 주가는 상장기업의 수정주가와 보충법주가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비상장기업 보충법과 비교법 주가의 고평가 현상은 비상장기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발행주식수가 적고 잉여금이 많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한 보충법주가가 수정주가보다 훨씬 낮은 것은 상장 프리미엄이 존재한다고 가능성을 의미하며, 비상장기업이 유사상장기업의 비교법을 적용할 하여 비교법 주가를 계산할 때 규모에 따라 차이율을 사용하면 추가하여 더 많은 비상장기업이 비교법을 적용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