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각장애학교 컴퓨터 교과 교육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김종무 국립특수교육원 2001 특수교육 교육과정 연구 Vol.2 No.-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교의 컴퓨터 교과에 대한 실태를 기반으로 문제점을 찾아보고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학교의 컴퓨터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조사하였고, 아울러 컴퓨터 교육과정의 새로운 편성과 교재 개발 필요성, 컴퓨터 운영 환경의 변화에 따른 대처 방안, 수업 시수 운영의 불균형, 정보매체를 활용한 수업을 위해 소요되는 예산, 효과적인 교수 전략 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12개 전체 시각장애학교를 대상으로 조사된 내용이지만 일부 내용에 대해서는 컴퓨터 담당 교사의 주관적인 견해가 개입될 소지가 있는 한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blem of curriculum and investigate effective curriculum based on the status of computer curriculum of schools for blind student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a) investigates the state of computer curriculum of school for blind students, (b) reorganizes the new computer curriculum, (c) discusses necessity of developing the reference books, unbalance of lessons hour, budget for information material usage, effective instruction strategies, (d) develops strategies to prepare for the environmental changes.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12 blind schools nationwide, however a part of this study have a limit that projects subjective opinions of several computer management teachers.

      • 특수교육 정보화 체제 구축 방안 연구

        김종무,강경숙,강대식,Kim-Sung, Kellie K. 국립특수교육원 2001 연구보고서 Vol.- No.8

        본 연구는 특수교육 정보화 관련 국내 · 외 문헌자료와 사례를 소개하고, 국내 특수교육정보화 실태 조사를 실시하여 첫째, 기초 통계자료를 확보하고 둘째, 효율적이면서도 실제적인 정보화체제 구축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동안 국내에서 광범위하게 추진되었던 교육정보화 사업에 있어서 전체 학교 학내망 설치와 같은 가시적인 정보화기반 구축 사업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성공적이라는 평가를하고 있지만 특정 수요 집단에게는 정보격차의 심화 및 접근성 문제의 심각성 등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특수교육 정보화 사례와 자료를 소개하고, 국내 특수교육정보화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은 특수학교 교사, 학생, 장애학생 부모, 장애인관련 단체 및 기관, 시 · 도교육청이었고, 조사 결과 특수학교 교사의 경우 컴퓨터 보유, 인터넷 사용 등에 있어서는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으나 정보 활용기술에 해당하는 영역 즉, 장애학생을 교수하기 위한 자료의 제작과 교수-학습과정에서의 적용 수준에서는 저조하게 나타났다. 비장애학생과 비교할 수는 없지만 장애학생의 컴퓨터보유와 인터넷 사용 유 ·무에 관해서는 40~60%의 응답자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고 체계적인 지원이 수반된다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 지원 체제 구축 방안으로 크게 예산지원과 행정지원을 포함하여 특수학교, 교사, 학부모, 장애학생, 행정가, 장애인관련 기관 등의 요소로 구분하여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 소개된 지원내용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정보화 체제 구축을 위한 예산 지원은 외국의 사례에서도 나타났듯이 안정성과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초·중등교육법', '특수교육진흥법'을 통해 지원에 관한 세부 사항을 법으로 규정해야한다. 둘째, 특수교육 정보화 사업과 관련된 부처간 행정 협조체제의 수립과 사업 중복성 등을 피하기 위하여 전담기구나 기관의 지정이 요구된다. 셋째, 특수학교의 경우, 학내망 설치와 더불어 장애인 접근성 문제의 해결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하드웨어 장비의 지원, 교실간 네트워크 구축, 학교간 WAN 구축 등의 사업이 추진되어야 하며, 특수학급의 경우는 정보화 환경구축이 미흡하기 때문에 소속 교육청 과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정보공유 및 행정업무의 연계가 필요하고, 다양한 교수-학습자료의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넷째, 특수교육 교사의 연수 기회를 확대하고 전문성을 키워줄 수 있는 연수내용과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학습자료 제작 기법, 장애인용 프로그램 사용법, 특수단말 장비 및 정보매체 활용 기법 등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집체+원격+화상 형태의 입체적인 연수가 요구된다. 다섯째, 장애학생 부모를 위한 정보화 지원은 학교-교육청간 협력하에 부모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우선, 학교와 인근 지역의 장애인관련 기관을 활용하여 정보소양 교육을 실시하고, 언제, 어디서나 교육이 가능한 원격이나 사이버시스템 등을 매개로 부모의 여건을 배려해줄 수 있는 편리한 교육방법이 준비되어야 한다. 여섯째, 교육청별 특수교육 담당장학사의 정보화 수준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지만 특수교육 정보화를 위한 특수학교(급) 교사의 연수지원을 위한 예산규모의 확보나 프로그램 개발 지원 등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교육부(국립특수교육원)를 중심으로 전체 교육청의 특수교육 정보화 업무를 단일 체제로 묶는 인프라를 구축하여 예산, 프로그램, 네트워크 등을 공유토록 하여 효율성을 확보해야 한다. 일곱째, 장애인관련 단체는 정보화 업무 담당자를 배치하여 장애인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활발한 정보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재정지원이 아직도 부족하고, 장애인용 프로그램과 기기의 보급이 부족하여 한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마찬가지로 장애인관련 기관을 하나로 묶는 인프라의 구축을 통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표준화시키고 예산지원의 중복성을 피해야하며 기관 이용자에 대한 관리의 편리성도 함께 도모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collect baseline data and to present effective and practical methods of establishing special education IT system. An extensive review of both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case studies of best practices were conducted for this research as well as the evalu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technology usage and adoption in special education in Korea. Previous nationwide educational technology projects have accomplished notable and successful results such as building Intranet for schools. However, such efforts have, in away, created and aggravated the disproportionate gap, often called as the digital divide, against certain groups of people with unique needs. Also, the accessibility to such technology and information has emerged as a serious problem as the role of technology expanded. This study introduced both domestic and foreign examples of technology in special education and relevant resources, and conducted a large-scale survey to examine the current stage of technology adoption and usage in special education in Korea.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students,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disability-related organizations and relevant agencies, and to municipal and provincial department of education. The results found satisfactory levels of computer ownership and usage of Internet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However, utilizing and incorporating such Information and technology into classroom activities and into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were still limited. Although the data were not comparable to those from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bout 40 to 60 percent of the respondents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 computer ownership and Internet usag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uggesting desirable outcomes with appropriate systematic support.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recommended detailed methods of building broad financial or budgetary assistance systems for special education schools, teachers, parents, students, administrators, and disability-related organizations. First, as shown in the experiences of foreign countries,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o establish the system for the special education information technology has to be mandated under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Act' to ensure and enhance stability and continuity. Second, designation of a single commanding and responsible agency is called for to efficiently coordinate inter-agency collaboration among governmental agencies and departments, and to avoid redundancy of work. Third, for special education schools, tasks such as building school-wide Intranet, development of software solving accessibility issues, subsidizing funds for computer hardware purchase, connecting classrooms through networking system and establishing inter-school WAN are of critical importance. Fourth, the contents and method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raining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improved to professionalize teachers, and expansion of such opportunities are also called for. Fifth, IT support for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also important. Paren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active collaboration between local department of education and schools, and such training programs may be offered at schools or disability-related facilities. Distance learning or online courses, which the parents can access regardless of time or location, are other feasible alternatives. Sixth, the results found that administrative staffs of special education at each local department of education displayed satisfactory competence levels. However, the amount of budget assigned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or program development was seriously insufficient. Therefore, the Ministry of Education (or KISE) should build a universal infrastructure of IT, which encompasses and shares budget, program and network systems across all the IT offices of the local department of education. Seventh, although most disability organizations have IT specialist and offered IT education programs for both person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ey have been experiencing continued problems of insufficient financial support and lack of adaptive technology devices and accessible programs. Therefore, building a universal infrastructure across disability organizations is called for to standardize programs, to prevent overlaps in funding, and thus, to enhance administrative efficiency.

      • 이스라엘의 農業生産에 관한 硏究

        김종무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90 論文集 Vol.41 No.2

        The farming conditions in Israel is not very suitalbe for both plant and animal production. The natural conditions in Israel is also not very suitable for agricultural production. There are great shortages of water supply.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situation is one of very serious problems at present. There are increasing trend of import and national consumption in recent years. The national economy of Israel could be improv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in agricultural prodction and High-technology in industrial production. The quality of industrial products should be improved in future, so that the export of industrial procucts could be increased by earning higher amounts of positive balance of payment in national economy.

      • KCI등재

        아프리카TV 프로야구 편파 중계방송 시청동기와 시청만족 관계 분석 -BJ 친밀성을 매개변인으로-

        김종무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4

        프로야구는 인기가 높은 관람 스포츠로 야구장은직장인들의 스트레스 해소와 주말 가족 나들이 장소가 되었다. 그러나 야구장을 찾아가는 시간적, 공간적제약으로 많은 사람들은 TV로 야구 중계방송 시청을 통해 관람 요구를 충족하고 있는데, 이러한 프로야구중계방송은 오랜 기간 지상파와 유료방송사의 핵심경쟁력 중 하나로 인식되었다. 또한 기술의 발달과 1 인 방송과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은 프로야구를 시청하는 시청 형태의 변화도 가지고 왔다. 기존 프로야구중계방송을 TV와 인터넷에서 전문 아나운서와 해설가의 방송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BJ가 진행하고 양팀모두 공정하게 중계하는 방송이 아닌 BJ가 선호하는팀에 편파적으로 방송하는 프로야구 편파중계방송을시청하는 시청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아프리카TV 프로야구편파 중계방송 시청 동기가 무엇이며, 시청동기와 시청 만족과 영향 관계에 있어 BJ의 친밀성이 어떤 매개 역할을 할 것인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2018년 9월 13일부터 19일까지 7일간 온라인 설문을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185부 중, 불성실한 응답을 한 11부를 제외한 총 174부를 최종 결과 분석에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아프리카TV 프로야구편파 중계방송 시청 동기 요인은 ‘사회교류추구’, ‘오락추구’, ‘정보추구’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프리카TV 프로야구 편파 중계방송 시청동기 요인이 시청만족에 미치는 영향 결과 ‘사회교류추구’, ‘오락추구’, ‘정보추구’ 요인 모두 시청만족에 정(+)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오락추구’ 요인이 변수들 중에서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셋째, 아프리카TV 프로야구 편파 중계방송 시청동기 요인이 BJ친밀성에미치는 영향 결과 ‘사회교류추구’과 ‘정보추구’ 요인은BJ친밀성에 정(+)의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오락추구’ 요인은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정보추구’ 요인이 변수들 중에서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 넷째, BJ친밀성은 아프리카TV 프로야구편파 중계방송 시청동기 요인이 시청만족 관계에서어떤 매개 역할을 할 것인가에 대한 분석 결과 ‘사회교류추구’ 요인과 ‘정보추구’ 요인 모두 BJ친밀성에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프로 야구와 같이 팀에 대한 펜의 충성도와 우호적인 친밀성이 존재 하고 있는 시청자들에게 BJ와의친밀성은 시청만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추후 1인 방송 BJ들이 장르와소재 선택에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Since pro baseball is popular viewing sports, baseball park becomes the place where company employees visit to remove distress and families visit for weekend outing. Due to restriction of time & space in visiting baseball park, many people satisfy their desire to view by watching relay broadcast of baseball through TV. Such relay broadcast of pro baseball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main competitiveness of ground wave and charged broadcast for long time. Further, the viewing type of pro baseball was changed by technical development and the emergence of 1 man broadcast & new platform. Although the existing relay broadcast of pro baseball is broadcast with professional announcer and commentator on TV & Internet, the demand of viewers who view biased relay broadcast of pro baseball which partially broadcasts for the team preferred by BJ is increasing.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motive to view biased relay broadcast of pro baseball by Afreeca TV and the mediating role of BJ familiarity in the relation between viewing motive and viewing satisfaction & influence. To this end, online question was performed for 7 days from September 13 to 19, 2018. Out of the collected 185 question papers, 174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of outcome after excluding 11 with insincere response. According to analysis, first, the motive factor to view biased relay broadcast of pro baseball by afreeca TV is found to be ‘pursuit of social exchange’, ‘pursuit of amusement’ and ‘pursuit of information’ factor. Second, due to the influence of motive factor to view biased relay broadcast of pro baseball by afreeca TV on viewing satisfaction, all factors of ‘pursuit of social exchange’, ‘pursuit of amusement’, ‘pursuit of information’ are found to have positive(+) influence on viewing satisfaction. ‘Pursuit of amusement’ factor showed the highest influence among variables. Third, due to the influence of motive factor to view biased relay broadcast of pro baseball by Afreeca TV on BJ familiarity, the factors of ‘pursuit of social exchange’ and ‘pursuit of information’ have positive(+) influence on BJ familiarity. However, ‘pursuit of amusement’ factor showed no significant influence and ‘pursuit of information’ factor showed the highest influence among variables. Fourth,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mediating role of BJ familiarity in the relation of viewing satisfaction of viewing motive factor to view biased relay broadcast of pro baseball by afreeca TV, it is found that neither ‘pursuit of social exchange’ factor nor ‘pursuit of information’ factor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BJ familiarity, thereby exhibiting complete mediation effect. This implies that familiarity with BJ has no influence on viewing satisfaction in connection with fan loyalty to team in pro baseball and viewers for whom favorable familiarity exists. This will be important materials for 1 man broadcast BJ in selecting and materials later.

      • KCI등재
      • 모션그래픽을 활용한 인터렉티브(interactive) 인터넷 배너광고에 관한 연구 : 리치 미디어 (Rich Media), 비욘드 배너(Beyond the Banner)광고 기법 중심으로 Focused on Rich media, beyond the banner advertisement

        김종무 江南大學校産學技術硏究所 2004 산학기술연구소논문집 Vol.- No.18

        최근 및 년 사이 인터넷이 보편화되면서 우리의 일상생활은 크게 변화되고 있다. 마우스 클릭 몇 번으로 전자 상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만 보아도 쉽게 알 수 있듯이, 온라인(on-line) 속에서 일어나는 경제(e-business)가 엄청난 속도로 발전되면서 우리는 네트워크 안에서 또 다른 생활 터전을 일구어 나가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커뮤니케이션의 방법론에 다양 한 변화가 생겨나면서 자연스럽게 새로운 형식의 광고마케팅 활동이 도입되고 있다 물론 현실에서 일어나는 오프라인(off-line)에서의 광고 활동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형식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더 다양하고 창의적인 시도가 온라인에서 벌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등 브로드밴드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멀티미디어 스트리밍(streaming)이 주목을 받고 있다. 국내외 무수한 업체들이 이 시장에 뛰어들고 있으며, 수많은 제품과 솔루션이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특히 이제는 단순한 이미지의 전송에 그치지 않고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소리, 파일등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활용과 더불어 수용자와 인터렉티브(interactive)적인 리치 미디어 (Rich Media), 비욘드 배너(Beyond the Banner)광고 디자인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현실에서 일어나는 오프라인에서의 광고 활동과는 전혀 다른 모션그래픽 이라는 새로운 형식의 인터렉티브 방식인 리치 미디어 (Rich Media), 비욘드배너(Beyond the Banner)광고 디자인의 활용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