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A와 맘퀴스트 생산성지수를 이용한 시설토마토(반촉성) 재배농가의 생산성에 관한 실증 연구

        김정호 ( Jeongho Kim ),이향미 ( Hyangmi Yi ) 한국농업정책학회 2014 농업경영정책연구 Vol.41 No.4

        The following research analyzed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productivity along with relative efficiency evaluation on facilitated tomato farms from 2008 to 2012 year, measuring DEA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The major analyt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efficiency evaluation using DEA model, average total technical efficiency was 0.902 and pure technical efficiency was 0.953. Second, dynamic analysis results using MPI showed retrogression in technical advancement degree which can produce higher calculation factors when fixed quantity of input elements are implemented. Especially, facilitated tomatoes of 2008 to 2012 year showed rapid decrease in productivity. Therefore, to enhance the productivity of facilitated tomatoes, political investment and support must be acquired for technical innovation. Third, in this research, the reason for 0.6% reduction in technical efficiency showed scale efficiency of 0.6% increase. However, net technical efficiency was reduced 0.6%. Therefore, to enhance productivity of facilitated tomatoes, net technical efficiency enhancement must be accompanied.

      • KCI등재

        SURF와 RANSAC 알고리즘을 이용한 대응점 필터링 적용 파노라마 이미지 처리

        김정호(Jeongho Kim),김대원(Daewon Kim) 대한전자공학회 2014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1 No.4

        다중의 영상을 이용하여 하나의 파노라마 영상을 제작하는 기법은 컴퓨터 비전, 컴퓨터 그래픽스 등과 같은 여러 분야에서 널리 연구되고 있다. 파노라마 영상은 하나의 카메라에서 얻을 수 있는 영상의 한계, 즉 예를 들어 화각, 화질, 정보량 등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좋은 방법으로서 가상현실, 로봇비전 등과 같이 광각의 영상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다. 파노라마 영상은 단일 영상과 비교하여 보다 큰 몰입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현재 다양한 파노라마 영상 제작 기법들이 존재하지만, 대부분의 기법들이 공통적으로 파노라마 영상을 구성할 때 각 영상에 존재하는 특징점 및 대응점을 검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대응점을 이용한 RANSAC(RANdom SAmple Consensus) 알고리즘을 사용, Homography Matrix를 구하여 영상을 변환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s) 알고리즘은 영상의 특징점을 검출할 때 영상의 흑백정보와 지역 공간 정보를 활용하는데, 영상의 크기 변화와 시점 검출에 강하며 SIFT(Scale Invariant Features Transform) 알고리즘에 비해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SURF 알고리즘은 대응점 검출 시 잘못된 대응점을 검출하는 경우가 생긴다는 단점이 존재하는데 이는 RANSAC 알고리즘의 수행속도를 늦추며, 그로인해 CPU 사용 점유율을 높이기도 한다. 대응점 검출 오류는 파노라마 영상의 정확성 및 선명성을 떨어뜨리는 핵심 요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대응점 검출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응점 좌표 주변 3 ×3 영역의 RGB값을 사용하여 잘못된 대응점들을 제거하는 중간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고, 문제해결을 시도하는 동시에 파노라마 이미지구성 처리 속도 및 CPU 사용 점유율 등의 성능 향상 결과와 추출된 대응점 감소율, 정확도 등과 관련한 분석 및 평가 결과를 제시하였다. Techniques for making a single panoramic image using multiple pictures are widely studied in many areas such as computer vision, computer graphics, etc. The panorama image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like virtual reality, robot vision areas which require wide-angled shots as an useful wa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such as picture-angle, resolutions, and internal informations of an image taken from a single camera. It is so much meaningful in a point that a panoramic image usually provides better immersion feeling than a plain image. Although there are many ways to build a panoramic image, most of them are using the way of extracting feature points and matching points of each images for making a single panoramic image. In addition, those methods use the RANSAC(RANdom SAmple Consensus) algorithm with matching points and the Homography matrix to transform the image. The SURF(Speeded Up Robust Features) algorithm which is used in this paper to extract featuring points uses an image’s black and white informations and local spatial informations. The SURF is widely being used since it is very much robust at detecting image’s size, view-point changes, and additionally, faster than the SIFT(Scale Invariant Features Transform) algorithm. The SURF has a shortcoming of making an error which results in decreasing the RANSAC algorithm’s performance speed when extracting image’s feature points. As a result, this may increase the CPU usage occupation rate. The error of detecting matching points may role as a critical reason for disqualifying panoramic image’s accuracy and lucidity. In this paper, in order to minimize errors of extracting matching points, we used 3 ×3 region’s RGB pixel values around the matching points’ coordinates to perform intermediate filtering process for removing wrong matching points. We have also presented analysis and evaluation results relating to enhanced working speed for producing a panorama image, CPU usage rate, extracted matching points’ decreasing rate and accuracy.

      • KCI등재

        엔토자케 숑가의 남성 인물 읽기: 『사진: 움직이는 연인들』의 션 데이빗

        김정호 ( Kim Jeongho ) 대한영어영문학회 2010 영어영문학연구 Vol.36 No.1

        Ntozake Shange’s characterization of the black male characters on stage has urged the black male critics to criticize her works as a black feminist’s ruthless and unjustified attack on all black men. Yet a closer look at and reading black male characters in Shange’s a photograph: lovers in action shows that Shange reserves sympathy for them. In a photograph: lovers in motion redefines Shange manhood as jealousy, emotional vulnerability and sensitivity often attributed to female characters. Shange wants the audience to understand black men’s vulnerability is not far from that of black women. Shange believes that with this understanding black men and women are able to work together against racist society that victimizes them both.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차세대 네트워크융합 서비스를 위한 인공지능 기술 연구

        김정호 ( Jeongho Kim ),전문석 ( Moon-soeg Ju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1

        인공지능이란 기계가 사람처럼 생각하고 인식하여 행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알고리즘 체계이다. IT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는 2017 년을 이끌 ‘10 대 전략 기술 트렌드’ 중 가장 첫번째로 인공 지능과 고급 머신 러닝을 선정하였다. 현재 인공지능의 기술은 텍사스 홀덤 대회나 바둑과 같은 전략적 의사 결정을 필요로 하는 게임에서도 뛰어난 기술을 선보이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인공지능 기술을 탑재한 자율주행차의 사고가 일어나는 미완성적인 부분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진행되어온 인공지능 기술의 동향을 살펴보고 나아가 인공지능이 안정적으로 서비스가 적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데이터 기반 딥페이크 탐지기법에 관한 최신 기술 동향 조사

        김정호(Jeongho Kim),안재주(Jaeju An),양보성(Bosung Yang),정주연(Jooyeon Jung),우사이먼성일(Simon S. Woo) 한국정보보호학회 2020 情報保護學會誌 Vol.30 No.5

        최근 전 세계적으로 ‘가짜뉴스’, ‘가짜 연예인 음란 동영상’ 및 ‘지인 능욕’에 사용되는 인공지능 기반의 딥페이크 (Deepfakes)기술이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딥페이크 기술이란 딥러닝 기술을 이용해 악의적으로 조작된 음성, 영상, 이미지 등을 만들어 내는 방법으로,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맞추어 더욱더 빠르고 정교한 생성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딥페이크 기술은 빠른 개발 속도와 쉬운 접근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범죄에 악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딥페이크 생성 기술을 설명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탐지 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 기반 딥페이크 탐지 기술의 현황을 설명한다.

      • KCI등재

        흑인여성주의연극의 의미화 과정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 엔토자케 샹게의 『유색인 소녀들』을 중심으로

        김정호 ( Kim Jeongho ) 대한영어영문학회 2011 영어영문학연구 Vol.37 No.3

        Semiotics is concerned not so much with what things mean, but how they mean. It is the study of how meanings come about and are constructed in society. Semiotics is important and useful to the study of black feminism drama as a signifying practice because it helps account for the text and its signification. A semiotic approach to shange’s discursive strategy such as vernacular expression, resistance to normative language and story, disruption of conventional narratives and collective interactions of many genres together opens up the plurality of multi-layered meanings and thematic politics of the black feminism dramas. Her choreopoem is best described as decolonizing discourse in which colored subjects confront and liberate themselves from different kinds of oppressive structur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동의에 지향된 담론적 정치 참여자로서의 공중 개념과 한국의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

        김정호(Jeongho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0 No.2

        이 논문이 살피고자 하는 것은 공중이라는 용어의 다양한 의미들이 아니라 이 말로 표현되어 온 특정한 한 의미다. 이 의미란 ‘공적 문제에 대해서 동료 시민들과의 공유된 이해와 동의된 판단을 형성하기 위해 대화와 토론에 참여하는 시민’이라는 개념이다. 이 개념은 존 듀이나 한나 아렌트, 위르겐 하버마스 그리고 제임스 케리 등과 같은 학자들의 주장의 핵심적 요소로 사회와 언론에 대한 서구의 비판적 연구와 민주주의에 대한 탐구에 중요한 이론적 토대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공중 개념이 한국의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어떻게 수용되어 왔는가를 살피는 것이다. 여기서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전통적으로 비판 커뮤니케이션 연구라 불려 왔던 연구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사회적 의미를 탐구하고 평가하려는 연구들을 총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이 논문은 한국의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동의에 지향된 담론적 정치 참여 행위에 의해서 규정되는 이러한 공중 개념을 분석적 범주로서 사용해 오지 않았다는 것을 주장한다. 이 개념에 기반하고 있는 서구 학계의 많은 주장들이 한국의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주요한 이론적 자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개념이 분석적 범주로서 무시되어왔다는 사실은 한국의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성격과 한계를 드러내 준다. This article examines not the term “the public” or “publics”-which has various meanings -but its particular meaning, which is a group of citizens who engage in political discussion and debate with fellow citizens in order to form shared understandings and common judgments with regard to contemporary affairs and public issues.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show the importance of this concept in critical studies of media and society and to analyze how this concept has been accepted in South Korean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In this article,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refer to communication studies that aim to explore social meanings of communication phenomena. This article argues that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concept of the public as agreement-oriented discursive political participants in South Korean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