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업적 직업평가 척도 항목에 관한 연구 - 국어과 및 수학과를 중심으로 -

        김정임 한국직업재활학회 2009 職業再活硏究 Vol.19 No.3

        본 연구는 장애인의 학업적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예측하기 위한 임상도구개발을 위해 기초적 학업능력에 있어서 중요한 국어 읽기, 국어 쓰기, 수학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성한 문항들을 임상현장에 적용하여 평가검사 결과를 분석한 이후 직업재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초적인 평가척도 항목 개발을 의도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서 몇가지 중요한 내용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지금까지 장애인의 영역별 학업수준을 범주화시켜 학업성취도의 구조적인 내용을 밝히려는 노력과 이를 토대로 한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고 있었다. 먼저 학업적 평가와 관련한 기본적인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국어(읽기, 쓰기) 25문항, 수학 25문항으로 구성하여 학업성취수준 측정에 필요한 평가척도 문항을 개념상으로 범주화시켰다. 둘째, 국어와 수학의 신뢰도 분석에서는 국어(읽기, 쓰기)의 자음이해 척도의 전체문항 16개의 문항 중 11개의 문항을 선정하여, 신뢰도 계수 Cronbach α .91의 계수를 얻었다. 척도 평균은 7.30, 분산은 12.26, 표준편차 3.50로 문항의 전체 신뢰도는 비교적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셋째, 6개의 척도 영역을 평균비교로 분석하였을때, 장애등급과 교사평가가 주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장애등급의 분석에서는 수 변별력이 p<.00 학업수준과 가장 관련이 높게 나타나고, 교사평정치의 분석에서도 숫자세기와 수 변별력이 학업수준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선형회귀 분석에서는 교사평정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장애인의 학업성취 수준은 수학 교과목에서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vocational evaluation scale items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area. The current researcher developed a totals of 50 items; 25 items for reading and writing and 25 items for mathmatics each based on items analyses and factor analyses. All the evaluation scale items a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six areas: Consonant Comprehension (11 items), Words Association Scale (14 items), Number Counting Scale (8 items), Numerical Discrimination (6 items), Addition Scale (6 items), and Subtraction Scale (5 items). Reliability coefficients in this study are ranged from .97 to .91 showing high reliability patterns. Reliability coefficients are calculated based on a total of 117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high school students and local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users. This study was intended to estimate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s of persons disabilities and to devise measurement instruments in the areas of reading and writing in Korean language and math to manifest their own fundamental academic abilities. A test battery to measure basic academic skills for the use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was applied to a sample of 117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y  were taking courses at secondary schools, an integrated curriculum and were trained at a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19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김정임 한국학교보건학회 2021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34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llege life stress and self-efficacy on the well-being of nursing students in the COVID-19 environm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7 senior nursing students at K University in W Cit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of in-school practice from July 27 to August 10, 2020,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data analysis, SPSS/WIN 23.0 was used to conduct the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well-being were grades (t=3.07 p=.002) and major satisfaction (t=2.16 p=.032)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College life stress (t=-5.05, p<.001)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students' well-being, and self-efficacy (t=6.91, p<.001)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F=46.97, p<.001).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college life stres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as a factor affecting the subjects’ well-being, while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well-being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try various methods to improve self-efficacy and relieve college life stress.

      • Ganzheitliche Vorschulerziehungskonzepte von Steiner und Montessori

        김정임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10 발도르프교육연구 Vol.2 No.2

        전인교육론인 발도르프 교육학과 몬테소리 교육학은 20세기 초반 유럽에서 시작되었다. 두 교 육론은 각각 인지학적-인류학적인 배경 하에 교육철학적 기반을 구축하였으며, 또한 종교적 그 리고 세계관적 교육사상을 함축하는 등 서로 비슷한 철학적 배경을 함축하고 있다. 그러나 방법 론에서는 서로 상이한 점 있다. 즉 발도르프 교육방법은 예술적 접근을 통해 창의성을 육성하고 하는 반면, 몬테소리는 감각교구를 통하여 유아의 지적수업을 중요시 한 점이다. 즉 슈타이너에 의해 정립된 발도르프 유아교육은 전인적 교육의 실천을 위해 예술적 행위를 통한 교수방법론 이 계발되어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몬테소리 교육학 역시 유아의 전인교육을 강조 하면 서, 감각교구가 계발되어 역시 전 세계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몬테소리는 유아에게 맞는 준비된 환경을 제공하면서 교수학습방법을 계발하였다. 즉 몬테소리 교육은 유아에게 감각교구 의 활용을 통한 지적발달과 함께 유아에게 자유를 줄 것을 강조하였다. 두 교육론은 폭 넒은 교육목표를 통해 인간능력의 의식화와 함께 인간의 전인적 삶을 인식시 키기 위한 교육을 강조하였다. 슈타이너와 몬테소리의 교육사상 및 교육방법은 20세기 이후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가운데에, 현재 한국 유아 교육 현장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실행되고 있는, 슈타이너와 몬테소리의 전인교육사상을 통하여, 현대 교육에서 어린 유아기부터 지적 학습에 시달리고 있는 현대 유아들을 위한 전인육 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 발도르프유아교육의 기본원리와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김정임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09 발도르프교육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발도르프유아교육의 기본원리인 행위적 존재, 리듬, 모방과 모범, 반복, 질서와 교육과정인 미술, 음악, 문학, 동작, 놀이에 관한 연구논문이다. 발도르프유아교육은 슈타이너의 인지학을 토대로 하여 인간의 창의성 및 개별성 발달을 추구하는 교육이다. 따라서 슈타이너의 인지학적 인간학은 유아교육의 기본원리와 교육과정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실천되는 것을 강조한다. 발도르프유아교육은 인간의 신체, 영혼 그리고 정신을 조화롭게 발달시키는 전인적 인간교육을 추구한다. 그러므로 지식위주의 수업은 지양하고 유아의 전인발달에 필요한 유아의 직접적인 경험위주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 유아교육의 현장은 직접적인 경험위주의 교육보다는 지식위주의 수업을 지향하고 있다. 즉 한국의 유아교육현장은 슈타이너의 인지학적 관점에서 고찰한 유아교육 현장과는 다른 교육목적을 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도르프유아교육이 한국 유아교육현장에 성공적으로 실천되기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 교육사조에 의한 전인교육사상가 고찰

        김정임 울산과학대학 1997 연구논문집 Vol.24 No.1

        아동발달을 위한 전인교육의 중요성은 이미 유럽에서 17, 18세기 코메니우스, 루소 등에 의해 인식되었으며 학문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교육사상에서 본 이들의 교육철학사조는 실학주의, 자연주의에 속하며, 그 후 19세기에 들어와서 이들의 영향을 받은 신인문주의에 속하는 페스탈로찌나 프뢰벨에 의해 체계적으로 교육이론들이 발전되었고, 20세기에의 현대 유아교육에서는 루소 이후 강조되어 온 아동중심의 인간주의적 교육을 목표로 현실적인 교육을 개선해 가려는 교육움직임이 나타났다. 여기에 몬테소리의 아동중심 유아론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들의 교육목표에는 그 당시에 지배된 세계관과 종교적 자세가 반영되어 있으며, 그 당시 교육사상가들은 이상적인 인간형에 대한 알맞은 교육이념을 신과 자연사이에 있다고 이해하고, 교육을 통해 인간의 이성의 힘을 전달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들의 교육적 기본입장은 전인교육사상에 입각했으며, 나아가 이들의 학문적인 노력은 유아교육에 있어서도 큰 영향을 미쳤다.현재 유아교육에 있어서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Die paedagogische Bedeutung von Ganzheitlichkeit fuer die kindliche Entwicklung wurde schon in Europa des 17. und 18 Jahrhunderts etwa von Comenius oder Rousseau hervorgehoben. Spaeter im 19 Jahrhundert, entfalteten sich dann systematisch paedagogische Theorien ueber Pestalozzi, Froebel usw. Deren Erziehungsziele orientierten sich an der jeweilig vorherrschenden Weltanschauung und religioesen Haltung, z.B. an christlichen Hintergruenden und sie versuchten die menschlichen Kraefte (Vernunft) durch Erziehung zu vermitteln, wobei die entsprechende Erziehungsvorstellung auf dem Menschenbild, das zwischen Gott und Natur liegt, beruhte. Im weiteren Sinne wurde diese systematische wissenschaftliche Bemuehung fuer die Vorschulpaedagogik beeinfluesst. Beispielsweise entwickelten Froebel und Montessori aufgrund deren Einfluesse eigene paedagogische Erziehungskonzepte fuer die Fruepaedagogik. In dieser Arbeit werden unter dem Aspekt der Ganzheitlichkeit in Europa bewirkend Weltanschauung und religioese Erziehungsgedanke von Comenius, Rousseau, Pestalozzi, Froebel und Montessori systematisiert und zur Diskussion gestellt.

      • 발도르프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자유놀이

        김정임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12 발도르프교육연구 Vol.4 No.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공간은 교육을 위해 아주 효과적인 장소로서 제공되어야 한다. 유아는 교육기관에 등원하는 순간부터 교실이라는 공간을 하나의 놀이공간으로 인식한다. 이 때, 교사나 성인이 작업에 몰두하는 모습은 유아의 자유놀이에 전이되어 유아에게 고요함, 성실함, 끈기, 인내심, 집중력 등을 신장할 수 있는 교육 적 효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자유놀이는 유아의 신체 발달과 창의성 그리고 상상력 등을 발달시키고 성인이 되 어 스스로 삶을 능동적으로 이끌어 가는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적어도 자유놀이시간 만큼은 유아들이 자율적으로 관심 있는 활동영역을 찾아서 놀면서 하루 일과를 맞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교사들은 의미 있는 활동의 모델을 제공하면서 놀이를 격려해주어야 할 것이다. 유아의 전인발달에 필요한 자유놀이의 중요성을 성인이나 교사가 인식하여 유아교육현장에서 좀 더 제공한다면 유아의 전인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