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

        산업의학 교과목에서 문제중심학습의 시행 및 평가

        김정연(Jeong Youn Kim),하은희(Eun Hee Ha) 한국의학교육학회 1999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Vol.11 No.1

        산업의학 교육에 임상과 지역사회에서 접할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 (PBL)방식을 도입하기 위하여, 증례토의 수업모형을 시행하였다. 증례토의 교육은 준비, 시행 및 평가의 세 단계로 나누어 개발, 실시되었다. 1998년도 6~8월의 준비기간을 거쳐 의학과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91명의 학생을 8개조로 나누어 소그룹 토의 및 전체 발표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실시기간은 9월 30일부터 10월 14일까지 3주간이었다. 개발된 증례는 모두 32례로 3주의 교과과정에 맞게 증례토의 I은 중금속에 관한 증례 8례, 증례토의 II은 유기용제에 관한 증례 12례, 증례토의 III은 계통별 독성에 관한 증례 12례로 구성하였다. 한 학생이 3주동안 3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각의 수업시간의 난이도는 각 시간별로 비슷하게 조정되었다. 증례토의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학생을 대상으로 전후에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절반이상의 학생이 만족하였다. 학생들의 학습 능력에 대한 평가 결과는 강의방식의 교육을 받은 학생들보다 PBL방식의 교육을 받은 그룹에서 높은 학습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증례토의 실습 모형의 특징은 우선 수업 교재의 개발에 있어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국내에 보고된 사례를 중심으로 하였다는 점과, 의학과 2학년이라는 지식 수준에 부합되는 내용을 구성하기 위하여 의학과 3학년 학생을 교재 개발에 참여시켜 난이도를 조절하게 하고, 필요한 참고자료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는 점이다. 이 증례토의 수업모형이 산업의학의 표준화된 실습교육 과정을 개발하는 데에 유용한 경험으로 쓰여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o introduce an OEM course of problem-based learning(PBL) on tutorial basis, we developed the case-studies on both clinical and community contexts. The 2nd grade medical students were divided into eight small groups. The case-study course was for 3 weeks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14 in 1998. There were 3 steps for design of case-study course : course plan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which were conducted by 3 tutors and 91 students. We developed 32 cases, and a student solved 3 clinical cases during 3 weeks. There were 3 cases which were the case I(metals), the case II(solvent) and the case III(systemic toxicity). The case-study program was evaluated with questionnaire survey method at the start and end of the course by students. We obtained satisfactory responses from students. Multiple-choice tests revealed that students in case-study group had significantly(P<0.05) higher score than those attended the standard lecture. We concluded that problem-based learning with specific occupational contents is well accepted by students and improves their occupational medicine knowledge.

      • KCI등재

        특수교육현장에서 중도·중복장애 중학생의 의사소통행동 촉진을 위한 AAC 양식 비교

        김정연(Kim, Jeong-Youn),황지현(Hwang, Ji-Hyeo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3

        본 연구는 구어표현이 거의 없는 중도의 지적장애 중학생을 대상으로 AAC 양식의 옵션으로써 로우테크 기반의 의사소통책과 하이테크 기반의 말생성기(Speech-generating device, 이하 SGD)의 두 가지 AAC 양식을 적용하여 의사소통행동의 변화와 선호도를 비교한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AAC 중재를 통해 비구어 중도 지적장애 중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이 증가되는지, 한 가지 AAC 양식을 다른 것보다 선호하는지, 그리고 선호도가 AAC 습득과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교대중재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중재 종료 직후에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여 선호하는 AAC 양식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최종단계는 선호도 조사 종료 직후에, 유지는 선호도 조사 종료 3주, 8주 후에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로우테크 기반의 의사소통책과 하이테크 기반의 SGD 중재는 중도의 무발화 지적장애 중학생의 의사소통 반응행동을 증가시켰으며, 대상학생이 선호하는 AAC 양식은 하이테크 기반의 SGD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증가된 반응행동은 안정된 유지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학생은 AAC 중재를 통하여 의사소통 반응행동을 습득할 수 있으며, 자기주도적으로 선호하는 AAC 양식을 선택하고, 선호하는 양식을 통해 그 효과를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two modes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stated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addressed: (1) Is the students"s communication behavior Increased through the AAC intervention? (2) Do student choosen the preferred AAC system rather than the others? (3) Is the preference influenced acquisition and maintain? This study employed an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AAC book and SGD (speech generating device) for communication respons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modes of AAC system were effective in increasing communication behavior and the subject preferred one AAC system over the other: he showed a preference for SGD with high-technology. Maintain date also supports the experimental results.

      • KCI등재

        농촌지역의 특성 분석 및 유형화

        김정연(Kim, Jeong-Youn),김은순(Gim, Uhn-Soon),오명택(Oh, Myung-Taek) 한국지역개발학회 2014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6 No.1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and to classify regional types by applying the multi-variate techniques of factor and cluster analyses, with 171 Eup?Myon level data of Chungcheongnam-do in 2010. During the process of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rural areas, the differences in location, socio-demographic factors, geo-politics, urbanizing and industrializing patterns in rural areas have been driving or accelerating differentiation of rural areas. Based on the factor analysis, 21 factors of Eup-Myon areas are categorized five princip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municipal city characteristics, typical paddy farming characteristics, urbanizing rural characteristics, aged farming characteristics, and industrializing r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171 Eup?Myon areas of Chungcheongnam-do are classified as 6 different regional types as follows; rural service center, aging rural area, urbanizing rural area, paddy farming area, transitional rural area, and manufacturing industry area. It revealed different regional types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characteristics, which hints rural areas have been experiencing diverse differentiation process depending on regional types.

      • KCI등재

        거점면소재지마을종합개발사업의 추진실태와 개선과제

        김정연(Kim, Jeong-Youn),박종철(Park, Jong-Chul) 한국지역개발학회 2009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lanning process of Myeon Center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s(MCCDP) and propose alternatives.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MFAFF) plans to set a pilot projects for MCCDP which are pertinent MCCDP invokes the process and scheme of Rural Village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RVCDP) and has some problems. One of the problems is that MCCDP of MFAFF and Small Town Developemt Project(STDP) of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MAPS) are implemented as separate projects. As a result, development of rural center suffers inefficiency. We suggest desirable direction of MCCDP as follows: first, MCCDP and STDP should be integrated in a Rural Service Corner Development Project Second, MCCDP and h spatial development plan for city or county should be connected Third, direction of MCCDP should he reshaped to fit the changing rural condition. Fourth, MCCDP should include more economic development programs or projects which are related with regional economy and be more flexible. Fifth, the formulation and promotion of the plan should be carried out in partnership.

      • KCI등재

        장애학생 의사소통에 관한 초임 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 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김정연( Jeong youn Kim),허유성( Yu sung Heo)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related to communication of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Two times of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9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newly appointed within the last year. 6 were female and 3 were male participants. As a result, three major themes and thirteen sub-themes were identified. The three major themes were categorized as 'the meaning of communicating with students,' 'experiences of communication education,' and 'support for enhancing communication teaching capacity.' The sub-themes included 'isolated students in March,' 'beginning of building relationships,' 'communication through class activities,' 'unfamiliar classrooms compared to theoretical knowledge,' 'misunderstandings about students,' 'balancing curriculum and life guidance,' 'trial and error,' 'uncertainty about teaching expertise,' 'securing adaptation time to teaching,' 'sharing communication education goals and objectives,' 'finding evidence-based practices,' 'understanding changes in the communication education paradigm,' and 'breaking through collabora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include improving communication education, such as AAC,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considering no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chool culture, and reducing workload to provide adequate preparation time.

      • KCI등재
      • KCI등재

        중도ㆍ중복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의 동향 분석: 국내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2006∼2016년)

        김정연 ( Kim Jeong-youn ),김시원 ( Kim Si-won ),권은애 ( Gweon Eun-ae ),정수리 ( Jeong Su-ri ),김연지 ( Kim Yeon-je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2

        최근 특수교육에서는 특수교육대상자의 중도ㆍ중복화로 중도ㆍ중복장애학생들의 교육에 관심과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으며, 이들의 교육적 요구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도ㆍ중복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들을 살펴보고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과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최근 11년간 국내 특수교육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중도ㆍ중복장애학생 대상의 실험연구를 분석하였다.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분석된 논문은 38편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회지 및 연도별 연구동향은 2011년부터 연구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지체ㆍ중복ㆍ건강장애 연구`에 게재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실험연구의 참여자 수는 3명 이하인 경우가 84.2%였으며, 연령별로는 초등학교 학생, 장애유형별로는 중도 지체장애학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가 78.9%로 주를 이루었다. 넷째, 주제별 연구 경향은 의사소통에 관련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분석한 논문들의 중재 효과는 전반적으로 의미 있는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ㆍ중복장애학생의 독특한 특성과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위한 후속 연구과제 및 방향을 제안하였다. According to an increasing numbers of students with severe multiple disabilities, educational needs for those students are being focused and diversified. This research are to analyzed the trend in experimental researches targeting students with severe multiple disabilities, and therefore to get a direction and implicatioms for further study.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38 experimental researches from recent 11 years of korean special education journal articles are analyzed. The rese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trend by year shows the number if researches is increasing from 2011. Also, `Korean Journal of P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has the largest number of researches among academic journals analyzed in this study. Second, 84.2% of experimental researches have no more than 3 participants. Among participants, elementary students are the greatest group by age, and students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are the greatest by types of disabilities. Third, single subject research occupies 78.9% of research design. Fourth, the most popular subject is the study on communication. Fifth, the moderating effects of analyzed paper are significant. Based in these results, the subjects and directions for the education,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with severe multiple disabilities, are proposed.

      • KCI등재

        특수학교 교사는 하루를 어떻게 보내는가?: 주요 교직 활동 구성 및 관계의 양적 분석

        김정연(Kim Jeong Youn),허유성(Heo Yu S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3

        이 연구는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현직 특수교사들이 하루 일과를 어떻게 보내는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는 남자 교사 6명(33.3%)과 여자 교사 12명(66.7%), 총 특수교사 18명이 참여하였다. 특수교사 18명을 대상으로 주 2회, 10분 간격의 시간 기록 방법으로 총 12주 동안 학교 및 학교 밖에서의 주요 교직 활동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특수교사의 일상 활동은 5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를 보면, 첫째, 개인 주도 활동(수업, 수업준비, IEP·평가, 생활지도, 연수 등)으로 보내는 시간이 61.5%로 가장 높았다. 수업준비 시간은 6.1%를 차지하였다. 협력적 활동(교직원 회의, 동료 협의회, 부모 상담)의 비율이 4.7%, 행정업무 및 공무 출장이 15.9%로 비교적 높았다. 개인 업무 및 휴식 21.1%, 기타가 8.6%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주요 변인에 따라 일부 활동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업무는 10년 이상, 비담임, 부장, 중등 교사에서 비율이 높았다. 셋째, 행정업무량이 주요 교직 활동, 특히 수업준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수업과 생활지도에 보내는 시간의 과다한 비율이 미치는 영향, 수업준비 및 IEP·평가에 보내는 시간 부족 문제, 교사 간 협업 및 공동체 활동을 늘릴 필요성, 짧은 휴식시간이 갖는 부정적 영향과 대책, 주요 교직 활동과 행정업무 간의 ‘상충관계’에 대한 논의, 그리고 교사 변인 간 차이점이 주는 교육적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analysis of how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spend their daily routines. A total of 18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cluding six male teachers (33.3%), 12 female teachers (66.7%)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ain teaching activities in school and out of school for 12 weeks by total record method of 18 special education teachers twice a week and every 10 minutes. The daily activit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divided into five areas.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61.5% of the time spent on personal initiative activities (class, preparation of class, IEP/evaluation, life guidance, in-service program, etc.) was the highest. Class preparation time was 6.1%. The ratio of collaborative activities (faculty meetings, peer councils, and parent consultations) was 4.7%, and administrative and public service was relatively high at 15.9%. Personal work and rest were 21.1%, and others 8.6%.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som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main variabl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dministrative tasks have been high for more than 10 years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non-teachers, general managers, and middle school teachers. Third, administrative workload negatively affects fundamental teaching activities, especially class preparation. In the discussion, the impacts of excessive time spent on class and life guidance, the problems of lack of time spent on class preparation and IEP/assessment, need to increase teacher-to-teacher collaboration and community activities, the negative impacts of short breaks, the relationship in time between fundamental educational activities and administrative tasks,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teacher related variables were included.

      • KCI등재

        통합교육환경에서 AAC중재가자폐성장애 학생의 의사소통행동과문장표현에 미치는 영향

        김정연 ( Jeong Youn Kim ),윤형준 ( Hyung Jun Yu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통합교육환경에서 AAC 중재가 자폐성장애 학생의 의사소통행동과 문장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상황간 중다간헐기초선 연구설계 방법을 사용하여 초등학교 통합학급에 입급되어 있는 자폐성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통합교육환경의 세 가지 상황(국어수업시간, 점심시간, 쉬는 시간)에서 의사소통행동의 빈도와 의사소통행동의 기능별 빈도, 문장표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환경에서의 AAC 중재는 세 가지 상황 모두 참여 학생의 의사소통행동의 빈도를 증가시켰다. 둘째, 통합교육환경에서의 AAC 중재는 세 가지 상황 모두 의사소통 시도하기, 요구하기, 대답하기 등의 의사소통행동의 기능별 발생빈도를 증가시켰다. 셋째, 통합교육환경에서의 AAC 중재는 참여 학생의 문장표현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자폐성장애 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통합교육환경에서의 AAC 중재 구성 요소 및 영향들에 대해 논의하였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AC intervention in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on communication behaviors and sentence expression of students with ASD. This study analysed its effects on freq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s, frequency in functions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s and sentence expression in three situations (A Korean language class, lunch time and recess) in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targeting students with ASD placed in inclusive classes at an elementary school using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AC interventions in the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increased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s in all the three situations. Second, the AAC interventions in the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increased frequency in functions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s such as attempting communication, asking and answering in all the three situations. Third, the AAC interventions in the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improved sentence exp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discussed components of AAC intervention and its effects in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behaviors in students with ASD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