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COVID-19 전후의 국내 대기질 변화 - 미세먼지 조성 변화를 중심으로
김정빈,이수동,강예령,김창혁 한국대기환경학회 2021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COVID-19의 세계적 대유행은 인류의 삶과 환경 모두에 큰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COVID-19 발생 이후 국내 미세먼지 농도 역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는 보고가 있었으며, 사회적 거리 두기, 산업의 침체 등이 주요 원인으로 거론되었다. 그러나, COVID-19 대유행이 대기 중 국내 미세먼지 농도와 2차 초미세먼지 가스상 전구물질 변화에 관한 연구가 최근 국내외에 보고되고 있으나, 미세먼지 조성 변화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COVID-19 전후의 국내 미세먼지 조성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 변화의 국내외 요인을 추정한다. 국립환경과학원의 PM2.5 성분측정망 자료를 활용하여 COVID-19 대유행 전후 국내 미세먼지 조성의 시계열 변화를 파악하고, 집중측정망 및 일반측정망 자료와 비교하고자 한다. 특히, 미세먼지의 농도 및 조성은 발전소나 자동차와 같은 배출원에서 연소의 결과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에 큰 영향을 받으므로, 도로변 대기 측정 자료 등을 토대로 배출원 영향을 논의할 것이다. 또한, 사회적 거리 두기 시행과 산업 위축 시기 등의 사회경제적 요인 변화를 함께 검토하며 미세먼지 변화 경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한편, COVID-19 발생 초기 중국 내 공장 가동중지 시기의 국가 배경농도 측정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미세먼지 조성변화에 미친 국외 요인의 영향도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COVID-19 전후 미세먼지 농도 감소 및 조성 변화의 원인을 분석하고, COVID-19 종식 이후, 일상으로 복귀 시, 대기질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정책 결정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일본서기(720)에 보이는 漢(あや)은 중국이 아니다. –借字 異表記 관점에서–
김정빈 구결학회 2015 구결연구 Vol.34 No.-
이 글은 이와나미판 일본서기에 보이는 漢(あや)에 대하여 借字 이표기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이와나미판 일본서기의 漢(あや)는 倭漢·東漢·新漢·漢手·漢直·漢部 등의 國名·地名·姓氏·촌락명으로 보이는가 하면 漢城의 かん과 관련된 지명, もろこし와 관련된 국명 등의 형태로 일본서기에 나타난다. 통설에 의하면 漢(あや)은 중국을 가리키는 것이다. 그러나 일본서기 및 동아시아 역사 문헌 등을 통해 자세하게 살펴보면 사실은 그렇지 않고 오히려 韓일 것이며 그 중에서도 특히 백제일 것이라는 史實을 서술했다. 이것은 고대 동아시아 문자 활동의 하나인 차자 이표기를 방편으로 한 構作으로 보인다. 漢(あや) 관련 언어를 관견에 의해 조사하여 색인 및 분운표를 작성하여 함께 공개했다. 고대 韓語(音) 발굴 및 관련 연구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고대 백제·일본간의 言語文化 交流에 대하여 : 日本書紀(720) 百濟 關聯記事를 중심으로
김정빈 韓南大學校 東西文化硏究所 2009 동서문화연구 Vol.12 No.-
고대백제와 일본 간의 생활언어문화 교류는 일찍부터 있어왔다. 본고는 일본서기 백제관련기사를 구체화하여 그 교류가 누구에 의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그 결과를 이용해 앞으로 우리에게 어떤 연구가 가능한지를 알아본 것이다. 이는 언어사적 연구의 보강론으로서 진행된 것이다. 고대백제와 일본, 고대신라와 일본의 상호교류에는 시간과 내용, 그리고 이데올로기에 있어 서로 차이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대일본의 문자언어문화, 불교중흥, 농업을 비롯한 기간산업 전반에 걸쳐 나타난다. 그 결과로 존재하는 일본 칠지도는 4세기 중반의 동아시아 정세를 읽을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京都 太秦 廣隆寺에 일본국보 제1호 彌勒菩薩半跏思惟像과 나란히 앉아있는 백제불상은 기록상으로도 백제유래가 명확하다. 이러한 것은 고대한·일간의 생활언어문화 교류에 의한 결과물로 보고 있다. 현재 일본어사는 역사적인 생활언어문화의 그 始原的인 문제로서 고대한 국의 언어문자 자료에 귀착하고 있다. 이것은 곧 고대한국어사적인 문제해결은 일본에 잔존하는 고문헌도 활용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관련문헌의 발굴, 연구에 지혜를 모아야 할 때라고 본다. 본고는 이러한 취지를 다루었다.
김정빈 구결학회 2014 구결연구 Vol.32 No.-
이 글은 지난 『구결연구』 31집의 ‘범어한역경에 의한 고대 동아시아 한자음 연구-한국어(음)사의 몇 가지 의문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편이다. 제1부 색인은 後秦弘始(399-416)年, 佛陀耶舍共竺佛念譯의 『佛說長阿含經』 권제6〜권제17에 소속되어 있는 21종의 범어한역경에 보이는 음운자료를 색인화한 것이며, 제2부 분뉴분운표는 이 범어한역경 색인을 대상으로 하여 中古音을 대표하는 광운 206운 체재에 따라 도식화한 것이다. 이 글은 지난 『구결연구』 31집에 이어 그 검증을 위한 것이며, 당시의 음운상을 구체적으로 공개하는 것이다. 고대한국어 및 동아시아 한자음의 역사적 연구자들에게 두루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유두갑상선암의 고식적 갑상선전절제술과 내시경하 갑상선전절제술 후 부갑상선 보존율 비교분석
김정빈,박인석,조현진,곽금희,양근호,배병노,김기환,한세환,Jungbin Kim,Inseok Park,Hyunjin Cho,Geumhee Gwak,Keunho Yang,Byungnoe Bae,Kiwhan Kim and Sehwan Han 대한갑상선-내분비외과학회 2012 The Koreran journal of Endocrine Surgery Vol.12 No.2
Purpose: Incidental parathyroidectomy is the most common and unexpected consequence of a total thyroidectomy. It can cause hypocalcemia symptoms such as muscle cramping and even seizures. We conducted this study to compare several factors including the preservation rate of parathyroid glands during both a bilateral axillo-breast approach endoscopic thyroidectomy (BABA) and a conventional open thyroidectomy (CT) for papillary thyroid carcinoma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99 papillary thyroid cancer patients who had a total thyroidectomy between January 2008 and December 2011. We group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BABA (n=70) and CT (n=229). We analyzed age, tumor size, operation time, the number of preserved and removed parathyroid glands, amount and duration of seroma drainage, pain score, hypocalcemia symptoms, and serum total calcium level in both the BABA and CT groups. Results: We observed a younger age (under 45 years old) (P=0.000), smaller tumor size (P=0.000), longer operation time (P=0.000), larger amount of drainage (P=0.000), longer duration of drainage (P=0.007), and larger pain score (P=0.000) in the BABA group. Of the 70 patients that received an endoscopic thyroidectomy, we preserved all four parathyroid glands in 56 patients (78.6%). Of the 229 patients that received an open thyroidectomy, we preserved all four parathyroid glands in 141 patients (61.6%, P=0.004). Conclusion: BABA results in more extensive tissue damage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than CT. However, BABA was an excellent method for preserving parathyroid glands when compared with CT for thyroid carcinoma. Thus, it seems to be feasible performing BABA when it matches the indications. (Korean J Endocrine Surg 2012;12: 0-101)
광주(光州) 북동부(北東部)에 분포(分布)하는 소위(所謂) 편상화강암(片狀花崗岩)에 관(關)한 암석학적(岩石學的) 연구(硏究)
김정빈,김용준,Kim, Jeong Bin,Kim, Yong Ju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1984 자원환경지질 Vol.17 No.3
This studg is to clarify intrusion sequence and petrogenetic processes of the so-called schistose granites in the northeastheastern part of the Kwangju, Chonnam Province. The study area is composed of the Pre-cambrian and Unknown age metasediments, the Unknown age schistose granites and basic plutons, the Cretaceous sedimentary and volcanic rocks, and the Cretaceous Ogang-ri granite and dykes. The schistose granites of the study area is divided into three rock units based on relative intrusion age, mineralogical constituent and texture;SoonChang schistose granite, two mica granite and Sam-o-ri schistose granite. The schistose granites intruded into metasediments, are intruded by Ogang-ri granite and dikes, and overlain by the Cretaceous sedimentary and volcanic rocks. The schistose granites vary widely in composition (granite-granodiorite-tonalite) and content of porphyroblastic feldspar Caugen and rectangular shaped). The foliation of schistose granites shows similar trend to the Shinian direction. In especially, strong foliation reflects dynamic metamorphism by mortar texture and much content of well oriented biotite. These schistose granites are characterized by its gray feldspar porphyroblasts. This feldspar is considered to be formed by potassic metasomatism and assimilation of pelitic metasediments of unexposed highly metamorphosed rocks deeply buried under the level of the schistose granites emplacement. Variation of silica versus oxides of major elements shows that the schistose granites are similar to the trend of Daly's average basalt-andesite-dacite-rhyolite which shows the trend of the fractional crystallization of magma. AMF diagram shows that the schistose granite is corresponded to contaminated differentiation products such as Lower California batholith and Cascade lava. These evidence suggest that the schistose granite is a series of differentiation products formed by fractional crystallization that associated with srtongly contamination and potassic metasomat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