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커뮤니티 검출기법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쳐 모듈 뷰 복원

        김정민,이찬근,Kim, Jungmin,Lee, Changun 한국정보과학회 소프트웨어공학 소사이어티 2012 소프트웨어공학회지 Vol.25 No.4

        본 논문은 소프트웨어 클러스터링 기법과 커뮤니티 검출 기법의 비교를 통하여 아키텍쳐 모듈 복원 프로세스에 커뮤니티 검출 알고리즘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대표적인 클러스터링 알고리즘과 커뮤니티 검출 알고리즘의 값과 나눠진 모듈간의 상관관계와 차이점을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커뮤니티 검출 알고리즘이 소프트웨어 아키텍쳐 모듈 뷰 복원에 활용되어질 수 있다는 몇 가지 근거를 제시하였고, 기존의 클러스터링 결과와 커뮤니티 알고리즘의 결과치를 비교함으로써, 서로의 결과 데이터가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지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suggests applicability to community detection algorithm from module recovering process of software architecture through compare to software clustering metric and community dectection metric. in addition to, analyze mutual relation and difference between separated module and measurement value of typical clustering algorithms and community detection algorithms. and then only sugeested several kinds basis that community detection algorithm can use to recovering module view of software architecture and, by so comparing measurement value of existing clustering metric and community algorithms, this article suggested correlation of two result data.

      • 예비초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가 가정환경특성을 매개로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김정민 ( Kim Jungmin ),김민선 ( Kim Minsun ),마은희 ( Ma Eunhee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17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예비초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와 학교준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가정환경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경기 및 인천지역의 예비초등학생 부모 및 주 양육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에 응답한 총206명의 응답내용을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예비초등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예비초등학생의 학교준비도는 남아와 130만원 이하의 가구의 예비초등학생이 학교준비도가 낮았으며, 아버지의 학력이 높은 예비초등학생이 학교준비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서행동문제를 가진 예비초등학생은 학교준비도가 낮았다. 셋째, 예비초등학생의 가정환경자극이 놓을수록 학교준비도 역시 높았다. 넷째, 예비초등학생의 정서행동문제와 학교준비도에서 가정환경특성의 매개효과는 부분매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질적연구는 양적 설문조사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유아교육기관의 예비초등학생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3개 그룹을 구성하여 전문가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교준비도에 있어서의 중요도는 주 양육자와의 교사 간 차이가 존재했다. 둘째, 정서행동의 문제가 예비초등학생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셋째, 예초등학생의 가정환경 특성과 학교준비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별히 가정환경의 특성 중 양적분석과 같은 결과로 반응적 상호작용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의 참여자들은 예비초등학생의 학교준비도를 향상하기 위한 가정, 유아교육기관, 정부나 공공기관, 민간지역기관의 각 주체별 역할에 대해 제안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ional behavior problems and school preparedness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home environment.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206 pre- primary school children's parents and caregivers. As a result, first, the school readiness of the childre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choolers was lower in boys and that of the children whose income was less than 1.3 million won and the children with high father's academic ability showed high school readiness. Second, children with emotional behavior problems had low school readiness. Third, the better the home environment of the preschoolers, the higher the school readiness. Fourth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hom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n the preschooler's emotional behavior problems and school readiness were partially medi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survey, qualitative research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3 groups of pre-primary school'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the problems of emotional behavior were reported to affect the school readiness of the children.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me environment and the school readiness of the preschoolers was found to be influential. Especially, the interactive interaction was the weake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me environment. Fourth, participants of the study suggested the role of each subject of home, kindergarten educational institution,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 and private local institution to improve the school readiness of preschooler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天保九如의 思想과 視覺的 傳承에 대한 考察

        김정민(Kim Jungm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天保> 詩는 中國 西周 時代 때 人間의 自覺에 의해 새롭게 인식된 天命思想과 德을 기반으로 召虎가 창작하였다. <천보> 시의 독특한 문학적 특징은 儒家思想으로의 變遷과 함께 音樂뿐만이 아니라 書 畫의 視覺的傳承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소호가 자연의 物像과 現象의 특성에 ‘如’로서 引喩法을 활용하여 宣王의 德을 칭송하고 왕을 위해 하늘과 祖上의 祝福을 祈願한 것이 ‘天保九如’이다. 즉 ‘如山 如阜 如岡 如陵 如川 如月 如日 如南山 如松柏’으로, 지금의 視覺的 傳承의 주요 圖像이 되었다. 이는 南宋代 馬和之의 《毛詩 陳風圖》 로부터 宋代 葉樾의<端溪硯譜>, 明代 方于鲁의 《方氏墨譜》 와 程大約의 《程氏墨苑》 에까지 ‘天保九如’의 圖像的 표현으로 등장하게 되었던 것이다. 특히 程大約의 《程氏墨苑》 은 상류문인계층의 고급문화지식 및 儒敎, 佛敎, 道敎 經典의 내용 등을 그림과 도안으로 시각화 하고 해설을 붙여 출판해 대량생산함으로써 대중화하였다. 이를 계기로 명대 ‘천보구여’ 먹의 유통과 유행은 산수화 <天保九如圖>를 더욱 발전시켰고, 韓 中 日에서도 ‘천보구여’가 書 畵의 독립된 주제로 시각화되어 전승하는 것에 큰 역할을 하였다. ‘천보구여’가 상징하는 본래의 意味는 왕조의 永續을 祝願한 것인데, 근대이후에는 대중화에 따라 長壽를 祝願하거나 出世와 같이 吉祥的 의미로까지 확대되었다. 또한 ‘천보구여’의 개별적 소재에서도 吉祥的 의미가 확대되어 書 畵 외에도 다양하게 시각적으로 전승하고 있다. In the Western Zhou dynasty of China, the ‘mandate of heaven’ ideology(天命思想) and virtue(德) were reinterpreted by self-awakenings of human beings, and Zhào hǔ(召虎) created <Tiānbǎo(天保)> based on these thoughts. The unique features of <Tiānbǎo> had a major influence in passing down visual inheritances such as music, books, and paintings along with the transition into the Confucian Thoughts. Zhào hǔ used allusions with ‘rú(如)’ in his writing of statue and characteristics of nature. With his allusions, he praised the virtue of King Xuan of Zhou and prayed for the blessings of the sky and ancestors for him in his writing, ‘Tiānbǎo jiǔ rú(天保九如).’ Also, ‘Rúshān(如山) Rú fù(如阜) Rú gang(如岡) Rú líng(如陵) Rú chuān(如川) Rúyuè(如月) Rú rì(如日) Rú nánshān(如南山) Rú sōngbǎi(如松柏)’ became major iconography of passing down visual inheritances. They appeared as ideological expression from 《Máo shī Chénfēngtú(毛詩 陳風圖)》 of Mǎ hé zhī from the Southern Song dynasty’s to <Duān xī yàn pǔ(端溪硯譜)> of Yè Yuè from the Song dynasty, 《Fāng shì mò pǔ(方氏墨譜)》 of Fāng yú lǔ from the Ming dynasty and 《Chéng shì mò yuàn(程氏墨苑)》 of Chéng dàyuē. Especially, 《Chéng shì mò yuàn》 of Chéng dàyuē contained high-level knowledge, and scriptures of Confucian, Buddhism and Taoism of the upper class of writers which were visualized with drawings, and published with commentary. The book was mass-produced and popularized. With this as a momentum, distribution and popularity of ink stones from ‘Tiānbǎo jiǔ rú(天保九如)’ of the Ming dynasty fostered a landscape painting, <Tiānbǎo jiǔ rú tú(天保九如圖)>. Also in Korea, China, and Japan, ‘Tiānbǎo jiǔ rú’ took a major role in passing down books and paintings as an independent visual inheritance. Originally, ‘Tiānbǎo jiǔ rú’ symbolizes the prayer for the eternity of the dynasty, but after modern times, it was popularized and its meaning was expanded to hope for ‘good luck’ such as prayer for long life or success in career. Also, other than books and paintings, meanings of various subjects from ‘Tiānbǎo jiǔ rú’ were expanded independently, and various art works had been made with them.

      • KCI등재

        중학생의 주의집중 문제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김정민(Kim, Jungmin),송수지(Song, Sooji)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중학생의 주의집중 문제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우울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 주의집중 문제와 학교생활적응, 우울과 학교생활적응은 상관이 있는가? 둘째, 주의집중 문제와 학교생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우울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 연구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중1 패널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전국에서 표집 된 중학교 2학년 2248명이 연구대상이었다. 변인 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우울이 주의집중 문제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의집중 문제와 우울은 정적인 상관관계, 주의집중 문제와 학교생활적응은 부적인 상관관계, 우울과 학교생활적응은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구조모형 분석 결과 주의집중 문제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주의집중 문제는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고, 우울을 매개로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 problems and school adjustment levels in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11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undertaken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248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ttention problems and depression were observed to b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chool adjustment levels. Attention problems had an influenced upon the levels of depression which, in turn, affected the levels of school adjustment. Additionally, attention problems were seen to have a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level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율주행 장치를 위한 수정된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경로계획과 특징 맵 기반 SLAM

        김정민(Jungmin Kim),허정민(Jungmin Heo),정승영(Sungyoung Jung),김성신(Sungshin Kim)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9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9 No.3

        본 논문에서는 자율주행 장치의 효율적인 자율주행을 위한 특징 맵 기반 SLAM(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과 수정된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경로계획을 제안하였다. 현재 연구되고 있는 자율주행 장치들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환경 적응성이다. 이는 새로운 환경에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해야 하는 경우와 “kid napping” 문제와 연계되어 자율주행 장치가 새로운 위치 혹은 알려지지 않은 위치에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해야하는 경우로 구분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환경 적응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특정 맵 기반 SLAM을 적용하였으며, 지능형 자율주행 장치의 효율적인 주행을 위해 수정된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GA)을 적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직접 설계ㆍ제작한 자율주행 장치를 대상으로 임의의 위치에서 자율주행 장치 스스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한 후, 주어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유전자 알고리즘을 통하여 최적화 된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가를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빠르고 최적화된 경로계획과 효율적인 SLAM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presented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LAM) based on feature map and path-planning using modified genetic algorithm for efficient driving of autonomous vehicle. The biggest problem for autonomous vehicle from now is environment adaptation. There are two cases that its new location is recognized in the new environment and is identified under unknown or new location in the map related kid-napping problem. In this paper, SLAM based on feature map using ultrasonic sensor is proposed to solved the environment adaptation problem in autonomous driving. And a modified genetic algorithm employed to optimize path-planning. We designed and built an autonomous vehicle. The proposed algorithm is applied the autonomous vehicle to show the performance. Experimental result, we verified that fast optimized path-planning and efficient SLAM i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