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텔레바이오인식기반 반려동물 개체식별기술 표준화 동향

        김재성(Jason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20 情報保護學會誌 Vol.30 No.4

        반려견·반려묘 등 반려동물이 사람인구 대비 1/5인 수준인 1000만 개체로 급증하고, 이에 따른 팻산업이 6조원 규모로 급성장하는 추세와 함께 RFIP칩 신체내부이식하는 형태의 동물등록제 실시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과 거부감으로 인하여 최근 들어 반려동물의 비문(일명 코지문)·홍채 등 바이오인식기술을 이용한 개체식별기술에 대한 니즈가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2019년 부터 반려동물에 대한 바이오인식기술을 접목한 개체식별기술을 활용하는 동물등록제 적용을 위하여 동물보호법 개정작업이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전망되며, 반려동물의 유사한 품종에 대한 개체식별 필요성에 따라 팻보험 사기예방·유기견 예방·디지털 동물병원 헬스케어서비스·팻레저·팻복지 등의 다양한 팻산업 응용분야에서 바이오인식기술을 이용한 반려동물 개체식별의 필요성은 날로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텔레바이오인식 기반의 반려동물 개체식별기술에 대한 연구필요성과 함께 TTA PG505 등 국내표준화 추진현황과 ITU-T SG17 등 국제표준화 추진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 바이오인식 국제표준화 동향

        김재성(Jason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9 情報保護學會誌 Vol.29 No.4

        바이오인식기술은 사람의 지문 · 얼굴 · 홍채 · 정맥 등 신체적 특징(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또는 음성 · 서명 · 자판 · 걸음걸이 등 행동적 특징(Behavioral characteristics)을 자동화된 IT 기술로 추출 · 저장하여 다양한 IT 기기로 개인의 신원을 확인하는 사용자 인증기술이다. 전통적으로 바이오인식기술은 출입국심사(전자여권, 승무원 · 승객 신원확인), 출입통제(도어락, 출입 · 근태관리), 행정(무인민원발급, 전자조달), 사회복지(미아찾기, 복지기금관리), 의료(원격의료, 의료진 · 환자 신원확인), 정보통신(휴대폰인증, PC · 인터넷 로그인), 금융(온라인 뱅킹, ATM 현금인출) 등 다방면에서 폭넓게 보급되어 실생활 깊숙이 자리잡게 되었다. 2001년 미국의 911 테러사건으로 인하여 전 세계 국제공항 · 항만 · 국경에서 지문 · 얼굴 · 홍채 등 바이오정보를 이용한 출입국심사가 보편화됨과 동시에 ISO/IEC JTC1 SC37(Biometrics) 국제표준화기구를 중심으로 표준화가 급속도로 진행되어 왔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 · 테블릿 PC 등 모바일기기에 지문 · 얼굴 등 바이오정보를 탑재하여 다양한 모바일 응용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주는 모바일 바이오인식 응용기술이 전 세계적으로 개발 · 보급되고, 삼성전자 · 페이팔 중심으로 바이오인식기술을 이용한 모바일 지급결제솔루션에 대하여 페이팔 · 구글 · 마이크로소프트 · 비자카드 · 마스터카드 등 미국 주도의 사실표준화협의체인 FIDO1), ITU-T SG17 Q9(Telebiometrics) 국제표준화기구를 중심으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모바일 바이오인식기술은 스마트폰을 통한 비대면 인증기술 수단으로서 핀테크, 원격의료분야에서 중요한 요소기술로 작용될 전망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바이오인식 표준화를 위한 국외 표준화 기구를 소개하고, 각 기구별 표준화 현황을 살펴본다.

      • 생체신호를 이용한 텔레바이오인식기술 동향 및 전망

        김재성(Jason Kim),이새움(Saewoom Lee) 한국정보보호학회 2016 情報保護學會誌 Vol.26 No.4

        전통적으로 바이오인식기술은 출입국심사(전자여권, 승무원·승객 신원확인), 출입통제(도어락, 출입통제·근태관리), 행정(무인민원발급, 전자조달), 사회복지(미아찾기, 복지기금관리), 의료(원격의료, 의료진·환자 신원확인), 정보통신(휴대폰·PC·인터넷 인증), 금융(온라인 뱅킹, ATM 현금인출) 등 다방면에서 폭넓게 보급되어 실생활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림1]은 신체적 특징(Physiological biometrics)과 행동적 특징(Behavioral biometrics)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기술인 바이오인식기술의 유형과 함께 각 기술별 보안취약점(괄호 안 빨강색글자)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들어, 모바일 지급결제서비스·ATM 인출기·인터넷전문은행 등과 같은 핀테크 분야에서 비대면 인증기술로 바이오인식기술이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한편, 가짜지문 등 기존의 신체적 특징을 이용한 바이오인식기술의 위변조 위협에 대한 우려 존재함에 따라 뇌파·심전도·근전도·맥박 등 살아있는 사람의 행동적(신체의 기능적) 특징을 이용한 생체신호를 이용하여 비대면 인증기술로서 활용하기 위하여 주요 선진국에서 차세대 바이오인식 기술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이다.[1] 또한, 이러한 생체신호는 최근에 삼성전자, LG전자, 애플 등에서 스마트워치를 통해 심장박동수를 측정하고 스마트폰을 통하여 모바일 지급결제, 헬스케어 등과 같은 IoT 모바일 융복합 응용서비스에 활용될 전망이다. 본고에서는 뇌파·심전도(심박수)와 같은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스마트워치·밴드형·의복형 또는 패치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생체신호센서, 생체신호 인증기술 및 관련표준화 동향을 고찰해 보기로 한다. 국내외 관련기술과 표준화 동향을 면밀히 분석하여 지난 2015년 5월29일에 발족한 국내외 전문가그룹인 KISA“모바일 생체신호 인증기술 표준연구회”(이하 KISA 표준연구회)가 구심점이 되어 한국형 생체신호를 이용한 차세대 텔레바이오인식기술에 대한 연구개발과 국내외 표준화 추진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 미래 스마트시티에서의 바이오인식 기술표준화

        김재성(Jason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22 情報保護學會誌 Vol.32 No.4

        포스트 코로나시대에는 다가올 디지털 인프라 사회에서의 스마트시티에서 안전하고 편리한 사이버 경제활동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특히 비대면 디지털 환경에서 바이오인식기술의 중요성은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바이오인식 관련 국제표준화기구인 ISO/IEC JTC1 SC37(Biometrics)/SC27(Security)과 ITU-T SG17 Q10(ID Management & Telebiometrics) 등 바이오인식기술 국제 표준화 동향과 아시아바이오인식협의회(Asian Biometric Consoritum) 사실 표준화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여, 모바일기기·웨어러블 디바이스 응용분야, 디지털 헬스케어분야, 자율주행 응용분야, 국제공통·국가공용 ID카드분야, 동물보호 공학분야 등 미래의 스마트시티에서 활용될 바이오인식기술에 대한 전망과 함께 관련되는 국제표준에 대한 주요내용과 적용분야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향후 디지털 사회로의 대전환 시대가 도래함에 따른 생체인식기술을 적용한 스마트시티의 발전전망을 고찰하고자 한다.

      • 바이오인식 국제표준화 동향

        김재성(Jason Kim),전명근(Myung-Geun Chun) 한국정보보호학회 2017 情報保護學會誌 Vol.27 No.5

        네트워트를 이용한 비대면 거래의 활성화와 국경을 넘는 다양한 인적 교류로 인해서 개인의 신원을 증명하는 사회적 · 기술적 수요가 나날이 급증하고 있으며, 더욱이 핀테크의 활성화와 국제적으로 벌어지고 있는 테러 등의 위협 등은 개인의 신체적 특징에 기반을 둔 바이오인식 기술의 발달을 촉진 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바이오인식 기술은 전자여권의 예와 같이 국가간에 바이오인식 정보를 활발하게 주고 받아야 하는 상황이고, 더욱이 개인의 신체적 특징정보를 취득하여 등록하는 국가와 국경통제 등을 위하여 개인의 바이오인식 정보 등을 취득하여 인증하는 국가가 상이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바이오인식 정보간의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표준과 이를 평가하기 위한 표준적합성 평가기술, 일정 수준의 보안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표준화된 성능 평가 절차와 보증 수준, 바이오인식 정보를 응용한 개인인증 기술, 프라이버시와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는 바이오인식 정보의 보호를 위한 표준 등이 다양하게 수행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바이오인식 표준화를 위한 국외 표준화 기구를 소개하고, 각 기구별 표준화 현황을 살펴본다.

      • 바이오메트릭스 정보보호 가이드라인

        김재성(Jason Kim),신용녀(Anne Shin),김학일(Hakil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05 情報保護學會誌 Vol.15 No.6

        신원확인을 위하여 생체정보를 수집하거나, 이용하는 데 있어서 준수하여야 할 생체정보 보호대책에 관한 중요사항을 정함으로써 생체정보의 안전한 이용 환경을 조성하고, 개인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유무선 통신환경에서 생체정보가 수집ㆍ저장ㆍ전송ㆍ폐기 전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취약점과 위협을 정의하고, 이에 대한 기술적?관리적 보호대책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편, ITU-T, ISO 등 국제 표준 및 국내 TTA 단체 규격 등과 호환 가능하도록 보안대책을 제시함으로서 국가 간의 생체정보에 대한 보호조치 방안에 관하여 상호 연동성을 보장한다. 본고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생체인식 국가인프라가 구축되는 시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생체정보에 대한 불신감과 인권침해 등의 사회적인 논란을 최소화하고 개인의 생체정보 보호기술의 발전과 관련 응용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전자여권ㆍ선원신분증ㆍ국제운전면허증ㆍ전자주민증 등 공항ㆍ항만ㆍ육로의 출입국관리에 생체정보의 활용이 전 세계적으로 보급 확산되는 시점에서 생체정보 활용 및 생체인식시스템에 대한 신뢰성을 제공함으로서 국내 생체인식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 국내외 모바일 바이오인식 신융합기술 연구사례 분석

        김재성(Jason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2 情報保護學會誌 Vol.22 No.4

        전통적으로 바이오인식기술은 출입국심사(전자여권, 승무원ㆍ승객 신원확인), 출입통제(도어락, 출입ㆍ근태관리), 행정(무인민원발급, 전자조달), 사회복지(미아찾기, 복지기금관리), 의료(원격의료, 의료진ㆍ환자 신원확인), 정보통신(휴대폰인증, PCㆍ인터넷 로그인), 금융(온라인 뱅킹, ATM 현금인출) 등 전세계적으로 다방면에서 폭넓게 보급되어 실생활 깊숙이 자리잡게 되었다. 최근 들어서는 2,000만명의 스마트폰 보급이 폭증하고 NFC칩을 이용한 모바일 지급결제서비스가 개시됨에 따라서, 다양한 모바일 응용서비스 출현과 함께 모바일 기기인증 및 모바일 신융합 응용서비스에 대한 보다 강력한 인증수단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에서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모바일기기에 적용된 바이오인식 융합기술, 출입국 심사에 적용한 모바일 바이오인식기술, 원격진료를 위한 메디컬 바이오인식기술, 지능형 CCTV에 얼굴인식기술 적용 등 국내외 모바일 바이오인식기술 개발동향과 및 표준화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모바일 바이오인식 신융합기술 개발 및 국제표준화 추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모바일기기에서 바이오 인식 적용기술 동향

        한승진(Seungjin Han),김재성(Jason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2 情報保護學會誌 Vol.22 No.4

        바이오 인식, 즉 지문, 목소리, 얼굴, 눈동자, 침, 땀 등 인간이 가진 바이오 인식 정보를 기반으로 한 IT는 많은 응용이 가능하다. IT 전문가들은 모바일을 활용한 바이오 인식 비즈니스야말로 21세기의 새로운 광맥이 된다고 믿고 있다. 바이오인식 기술은 가트너 그룹 및 미국 MIT 대학의 ‘21세기 유망 20대 기술’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하였으며 타 IT 산업에 비해 10~2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바이오 인식 기술을 모바일장치에 적용한 최신 사례들을 분석하고 동향을 소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