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코어에서 색채의 상징의미와 관용표현에 관한 고찰

        김은해 한국슬라브어학회 2009 슬라브어연구 Vol.14 No.2

        체코어에서 관용적 직유와 관련하여 색채가 갖는 상징의미와 색채가 나타나는 각각의 표제항들이 갖는 긍정 혹은 부정의 의미는 문맥의 전체적 맥락과도 연계성을 갖지만, 결과적으로 보조관념 (komparatum)이 갖는 의미적 성격에 따라 분류된다고 볼 수 있다. 색채 형용사는 보조관념 (komparatum)에 묘사적 기능과 보조적 기능을 복합적으로 형성하는 주변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핵심은 보조관념(komparatum)의 성격에 따라 색채 역시 내부적으로 다양한 의미적 변화를 나타내는 특성을 갖는다. 묘사적이며 하나의 독립적 어휘로서의 색채 표현 형용사는 관용적 표현을 통해 수사적 기능이 부각되며 아울러 의미적으로 유표성(příznakovost)을 갖게 된다. 본고를 통한 고찰에서 관용적 직유에 있어 색채 표현 형용사는 대개 필수적 구성요소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색채 표현 형용사가 비유영역(Tk; tertium comparationis)에 외현적이지 않아도 색채 묘사가 명확하게 드러나 있는 표현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관용적 표현이나 관용적 직유에 있어, 보조관념이 갖는 연상작용 및 유사성만으로 색채가 뚜렷하게 표현되는 경우 비유영역의 형용사는 선택적인 요소가 되는 현상도 볼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화자의 어휘 목록에 인지된 연상작용에 대한 부가적인 제 2의 묘사 도구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색채묘사 형용사 대신 이를 파생 모어로 하는 상태의 변화를 나타내는 동사로 대체되는 표제항 역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관용적 직유에 있어 표제항에 흔히 나타나는 동사 mít, být는 s+Instr.의 상호 대체성을 갖는 내부층위의 구조간 변형(vnitrorovinné transformace mezistrukturní)을 수반하기도 한다. 표제항에 제시된 동사들에 대하여는 외관 묘사의 경우 동사 vypadat이 계열적 대체성을 갖는 경우도 나타난다. 색채 표현 형용사들을 모어로 하는 명사 파생 구조에 있어서도 의미적 유추관계는 매우 명확하며, 관용적 표현에 있어서는 본 고에서 다룬 색채 표현 형용사 범주 외의 형용사와 동의어 혹은 반의어 관계 구성이 발견된다. 고착화된 관용적 표현이나 관용적 직유에서 동사는 계열적 대체성에 있어 자유로운 경우를 발견할 수 있었는데, 구성요소들이 고착화되어 분리될 수 없음을 전제로 하는 관용적 표현에서 색채를 표현하는 형용사와는 달리 동사는 관용적 표현의 영역에 대한 경계에 완전히 종속되어 있지 않는 속성을 갖는 것을 그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언어 발전과 사회 변화의 통시적 관점에서 볼 때 색채와 관련한 관용적 표현이나 직유에 대한 매개체로서 인간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식물, 동물, 자연 및 사회•문화현상에 기반한 표현 요소들이 자연스럽게 그 부산물로 생성되는 것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This paper contains an analysis of the semantic meanings of various colors and their idiomatic expressions in the Czech language in terms of the aspect of descriptive adjectives that are related to those colors.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the sense of sight and language usage in the Czech language in also the core study skills for the Korean bohemists into a communication context. Czech idiomatic expressions involving color and the symbolic meanings of colors on various semantic levels reveal and identify language features unique to the Czech nation and their language culture. Idiomatic expressions in this category could be effectively explained by the principle of iconicity. Idiomatic similes based on iconicity cross the boundary toward metaphor and symbol through social convention. In the Czech language, adjectives describing colors consist of compound predicates or a compound sentence with a comparatum. In such phrases, these adjectives can indicate markedness. As an autosemantic unit, adjectives that describe colors bring out the fact in sharp relief in this idiomatic expression containing semantic markedness. Some adjectives can be classified as synonyms or antonyms in terms of their semantic features, specifically in the range of idiomatic expressions. In some cases, however, these adjectives describing colors by reference to a tertium comparationis are eliminated in idiomatic expressions and a comparatum is sufficient for the definitions of rhetorical concepts. Verbs appearing frequently in phrases of this category, such as mít and být, have alternative internal transformation of structure with the preposition s + instrumental. As fixed expressions, Czech idioms that include color descriptive adjectives, even though limited in range, contain some adjectives or comparatum that allow more flexible lexical items for their paradigmatic substitution. These verbs that are substituted for adjectives often give more descriptive features in their fixed idiomatic expressions. Adjectives describing colors also motivate word-to-noun derivation, maintaining their semantic view on the motivated lexical items. In the range of this derivational paradigm, semantic sequence is generally clear and anomality or illogicality of lexical meaning are minimalized.

      • KCI등재

        성인 남성에서 골밀도와 관련된 생화학적 지표 및 생활습관 요인

        김은해,조희경,조동영,권혁중,최재경,임열리,도현진,김은,오승원 대한가정의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0 No.5

        Background: More than half of the causes of male osteoporosis is due to secondary osteoporosi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tect and modify its related facto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 nd related lifestyle factors and biochemical markers with low bone mineral density (BMD) in Korean men. Methods: A cross-sec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in men aged 40-69 years who visited a hospital for health checkup from January to March 2007. BMD was measured at proximal femur and lumbar spine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nmetry. Lifestyle factors were estimat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fasting glucose, uric acid, gamma glutamyltransferase, alkaline phosphatase, creatinine, free testosterone, 25-OH vitamin D, urine deoxypyridinoline, osteocalcin were measure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fi nd the association to the lowest tertile of BMD. Results: A total of 152 subjects were included. After multivariate analysis adjusted with age, BMI, smoking, alcohol and exercise, different factors were correlated with low bone density in each site of femoral neck and lumbar spine. Factors correlated at both sites were BMI and exercise; lower BMI and doing no exercise increased risks of low bone density. Increasing age and alcohol intake ≥ 14 drinks/week were associated with lower BMD at femoral neck.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ower lumbar spine BMD only were lower level of uric acid and higher level of urine deoxypyridinoline. Conclusion: Different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low bone density at femoral neck and lumbar spine in men. BMI and exercise were related in both sites; age, alcohol intake, uric acid and deoxypyridinoline were related on either site. 연구배경: 남성 골다공증은 절반 이상이 2차성 골다공증이므 로 위험요인을 확인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 서는 70세 미만의 남성에서 골밀도와 관련된 생활습관 및 생 화학적 지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7월 1월부터 3월까지 일개 대학병원에 건강검진을 위해 방문한 40-69세의 남성 중 골밀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저질환이나 약물 복용력이 없는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 가설문으로 흡연, 음주, 운동, 유제품 섭취빈도 및 과거력을 파 악하였고, 생화학적 지표로서 공복혈당, 요산, 감마지티, 알칼 라인포스파타아제, 크레아티닌, 유리 테스토스테론, 25-OH vitamin D, 요중 데옥시피리디놀린, 오스테오칼신을 측정하였 다. 골밀도는 DXA를 이용하여 요추와 대퇴골에서 측정하였 다. 골밀도 분포에 따른 3분위군 중 최고군과 최저군간의 특 성을 비교하였으며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한 인자들을 다변량 로짓회귀분석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총 152명의 연구대상자의 단변량 분석 결과 골밀도 상 위군과 하위 삼분위군 간에 차이를 보인 인자는 연령, 체질량 지수, 흡연, 음주량, 운동, 요산, 알칼라인포스파타아제, 크레 아티닌, 25-OH vitamin D, 데옥시피리디놀린이었다. 연령, 체 질량지수, 흡연, 음주량, 운동으로 보정한 다변량 분석 결과 대 퇴 경부와 요추 골밀도 간에는 관련 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두 부위에 공통적으로 관련된 요인은 체질량지수, 운동이었고, 체질량지수가 낮을수록, 비운동군인 경우 두 부위의 골밀도 가 유의하게 낮았다. 두 요인 외에도 대퇴 경부에서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주 14잔 이상 음주를 하는 경우 골밀도가 유의하 게 낮았다. 요추에서는 공통 요인 외에도 요산이 낮을수록, 데 옥시피리디놀린이 높을수록 골밀도가 낮았다. 결론: 성인 남성에서 대퇴 경부와 요추의 골밀도에 영향을 주 는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다. 두 부위에 공통적으로 관련된 요 인은 체질량지수, 운동이었고 한 부위에만 관련성을 보인 요 인은 연령, 음주량, 요산, 데옥시피리디놀린이었다.

      • KCI등재

        Differences in Grammatical Gender of Noun Synonyms between Czech and Slovak Languages

        김은해 한국슬라브어학회 2011 슬라브어연구 Vol.16 No.1

        Daný gramatický rod je jednou z nejvýznačnějších vlastností u neživotných maskulin, feminin a neuter v češtině a slovenštině. Entita gramatického rodu substantiv v obou jazycích nemá přímý vztah k mimojazykové realitě. Klasifikace gramatického rodu u synonymních substantiv v obou jazycích se uplatňuje jako gramatický prostředek, který se odráží v diferencovaných metodologických paradigmatech. Tedy, rozdíl gramatického rodu u synonymních substantiv v obou jazycích se kříží i s kategoriemi čísla a pádu. Čeština a slovenština jsou ve tvoření sufixu u přejatých substantiv značně odlišné. U přejatých synonymních substantiv typu koncovky -ma v obou jazycích má slovenština více sklon k typickému principu, v němž se udržuje pravidlo skloňování podle ženského rodu než čeština. Koncepce pragmaticko-kognitivního aspektu gramatického rodu, který je i pro shodu podmětu s přísudkem rozhodujícím faktorem v jazykové konstrukci obou jazyků, též spočívá v obligatorní vazbě mezi slovy. This paper has explored gender divergences of synonymous nouns in the Czech and Slovak languages. It is of note that Czech masculine noun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he feminine gender category in relation to their synonyms in Slovak. Loan nouns of masculine or neuter gender with the ending -ma in Czech tend to be marked in the category of feminine gender in Slovak. There are relatively few cases in which Czech masculine and feminine nouns are marked as neuter nouns in Slovak. The formal similarity of nouns word shape in synonymous relations between Czech and Slovak is fairly high and the frequency of their divergence in the gender category is also high. Differences in the number category of synonymous nouns between these two languages are not typical, but these factors are also among the patterns linked to the asymmetric aspect of synonymous nouns between these two most similar languages. In loanword adaptation and in its grammatical application with the ending –ma, Slovak is closer and more conservative to the fundamental principle on major patterns of typical declension for feminine gender noun of this type than Czec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