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한 기계번역에서 관용구에 기반한 의미분석

        김유섭,김영택(Yu Seop Kim),Yung Taek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8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5 No.4

        기계번역에서 단어-단어(word to word)의 번역을 실행하면 원시 문장(source sentence)과 그 목표 문장(target sentence) 사이에 의미(meaning)의 차이가 생기게 된다. 특히 한국어와 영어와 같이 문장의 구조와 구절의 의미의 차이가 큰 두 언어 사이의 번역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관용구에 기반한 의미 분석(semantics analysis)을 제안하며, 기존에 제시되고 있는 원시 관용구(Source Idiom), 연어외에 두 언어권의 문화적, 역사적 차이로 발생하는 의미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관용구를 확장하고 그 의미분석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관용구를 획득하고 인식하는 알고리즘과 이들과 관련해 나타나는 문제와 그 해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확장한 관용구에 기반한 번역으로 의미의 정확도(meaning accuracy)가 개선된 것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In English-Korean machine translation, the literal translation generates the meaning difference between the source sentence and the target sentence. This problem is caused more critically among the two languages by the structural differences and meaning differences of the phrase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emantics analysis based on the idioms for the resolution of the problems. And the idioms are extended beyond conventional idiom to cover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differenece of the cultures between the two language speakers and analyzed to form new transformation of meaning system. The algorithms for the acquisition and recognition of the idioms are presented with thc solution for the related problems. And the improvement of the meaning accuracy for the translation is shown in this paper through the experiment.

      • KCI등재

        영한 기계 번역에서 미가공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한 대역어 선택 중의성 해소

        김유섭,장정호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1 No.6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utilizing only raw corpus without additional human effort for disambiguation of target word selection in English-Korean machine translation. We use two data-driven techniques; one is the Latent Semantic Analysis(LSA) and the other the Probabilistic Latent Semantic Analysis(PLSA). These two techniques can represent complex semantic structures in given contexts like text passages. We construct linguistic semantic knowledge by using the two techniques and use the knowledge for target word selection in English-Korean machine translation. For target word selection, we utilize a grammatical relationship stored in a dictionary. We usenearest neighbor learning algorithm for the resolution of data sparseness problem in target word selection and estimate the distance between instances based on these models. In experiments, we use TREC data of AP news for construction of latent semantic space and Wall Street Journal corpus for evaluation of target word selection. Through the Latent Semantic Analysis mothods, the accuracy of target word selection has improved over 10% and PLSA has showed better accuracy than LSA method. Finally we have showed the relatedness between the accuracy and two important factors;one is dimensionality of latent space andvalue ofNN learning by using correlation calculation. 본 논문에서는 미가공 말뭉치 데이터를 활용하여 영한 기계번역 시스템의 대역어 선택시 발생하는 중의성을 해소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은닉 의미 분석(Latent Semantic Analysis:LSA)과 확률적 은닉 의미 분석(Probabilistic LSA:PLSA)을 적용한다. 이 두 기법은 텍스트 문단과 같은 문맥 정보가 주어졌을 때, 이 문맥이 내포하고 있는 복잡한 의미 구조를 표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을 사용하여 언어적인 의미 지식(Semantic Knowledge)을 구축하였으며 이 지식은 결국 영한 기계번역에서의 대역어 선택시 발생하는 중의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단어간 의미 유사도를 추정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대역어 선택을 위해서는 미리 사전에 저장된 문법 관계를 활용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대역어 선택시 발생하는 데이터 희소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최근점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그리고 위의 두 모델을 활용하여 최근점 학습에서 필요한 예제 간 거리를 추정하였다. 실험에서는, 두 기법에서의 은닉 의미 공간을 구성하기 위하여 TREC 데이터(AP news)를 활용하였고, 대역어 선택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Wall Street Journal 말뭉치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은닉 의미 분석을 통하여 대역어 선택의 정확성이 디폴트 의미 선택과 비교하여 약 10% 향상되었으며 PLSA가 LSA보다 근소하게 더 좋은 성능을 보였다. 또한 은닉 공간에서의 축소된 벡터의 차원수와최근점 학습에서의값이 대역어 선택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대역어 선택 정확도와의 상관관계를 계산함으로써 검증하였다.

      • KCI등재

        다중 에이전트 Q-학습 구조에 기반한 주식 매매 시스템의 최적화

        김유섭,이재원,이종우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11 No.2

        This paper presents a reinforcement learning framework for stock trading systems. Trading system parameters are optimized by Q-learning algorithm and neural networks are adopted for value approximation. In this framework, cooperative multiple agents are used to efficiently integrate global trend prediction and local trading strategy for obtaining better trading performance. Agents communicate with others sharing training episodes and learned policies, while keeping the overall scheme of conventional Q-learning. Experimental results on KOSPI 200 show that a trading system based on the proposed framework outperforms the market average and makes appreciable profits. Furthermore, in view of risk management, the system is superior to a system trained by supervised learning. 본 논문은 주식 매매 시스템을 위한 강화 학습 구조를 제시한다. 매매 시스템에 사용되는 매개변수들은 Q-학습 알고리즘에 의하여 최적화되고, 인공 신경망이 값의 근사치를 구하기 위하여 활용된다. 이 구조에서는 서로 유기적으로 협업하는 다중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전역적인 추세 예측과 부분적인 매매 전략을 통합하여 개선된 매매 성능을 가능하게 한다. 에이전트들은 서로 통신하여 훈련 에피소드와 학습된 정책을 서로 공유하는데, 이 때 전통적인 Q-학습의 모든 골격을 유지한다. 실험을 통하여, KOSPI 200에서는 제안된 구조에 기반한 매매 시스템을 통하여 시장 평균 수익률을 상회하며 동시에 상당한 이익을 창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게다가 위험 관리의 측면에서도 본 시스템은 교사 학습(supervised learning)에 의하여 훈련된 시스템에 비하여 더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에어로빅 댄싱이 비만여성들의 대퇴부 근기능 및 혈청 효소수준에 미치는 효과

        김유섭 한국운동과학회 1999 운동과학 Vol.8 No.1

        에어로빅 댄싱이 비만여성들의 대퇴부 근기능 및 혈청 효소수준에 미치는 효과. 운동과학, 제8권 제1호, 39-52, 1999. 에어로빅 댄싱을 통한 비만여성들의 근기능과 대퇴부 근 수축 운동시 에너지 대사 변인인 근 효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2주간의 에어로빅 댄싱 처치기간별 킨컴 측정에 의한 근력 근지구력 그리고 혈청 근 효소수준을 살펴본 결과 대퇴 신근력 및 굴근력의 경우 실험군에서 40.4%, 65.5%의 높은 향상을 보였다. 총일량은 신전 및 굴곡시 42.1%, 37.7%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으며, 평균파워는 실험군에서 신전시 80.75%, 굴곡시 27.4%의 높은 향상을 나타냈다. 등속성 최대 운동전후 LDH수준은 각 기간별 큰 변화가 없었으며, CPK 수준은 실험군에서 pre-test시 -40.7%, post-test -72.4%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따라서 장기간의 에어로빅 댄싱은 비만인의 근력 및 근지구력의 향상과 근 효소수준의 긍정적인 변화에 기대효과가 크다고 생각되며, 추후 운동빈도, 강도를 고려한 보다 구체적인 운동 프로그램이 기대된다. Effects of Aerobic Dancing on the Thigh Muscle Function and Serum Enzymes Level in Obesity Women. Exercise Science, 8(1); 39-52, 1999. In order to inquire the effect of aerobic dancing on muscle function and enzyme during muscle contraction exercise in obesity women, the results of inquire to strength, muscle endurance and serum muscle enzyme by using kin-com according to exercise prescription duration during 12-weeks, peak torque showed high increase to quadriceps(40.4%) and hamstrings(65.5%) in the experimental group. Total work showed high increase in quadriceps(42.1%) and hamstrings(27.4%) in the experimental group. LDH level of pre and post isokinetic maximum exercise were not significantly decrease for each duration, CPK level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 at pre-test(-40.7%), post-test(-72.4%) in the experimental group. According to this results, aerobic dancing of long-term suggested to effect of strength, endurance increase and positive change of muscle enzymes level in obesity women, afterwards, expects to detail program regard to exercise frequence and intensity.

      • KCI등재

        러시아의 최근농업동향과 교역현황 분석

        김유섭,방진기,방관호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4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6 No.3

        러시아의 最近 農業動向은 '92넌 이후 생산수단의 가격앙등과 공급감소, 사료부족과 家畜의 大量屠殺, 穀物調達부진 및 화학비료의 施用量 급감소로 인한 土壤肥沃度저하의 가속화 등 農業基盤의 취약으로 '93년 穀物生産量이 전년에 비하여 7.4%, 식육 및 계란 등 畜産物은 6∼7%, 소, 돼지, 양 및 염소 등 가축수도 2∼11% 줄어드는 등 전체적으로 감소추세에 있는 반면 식료품의 평균소비량은 회복세를 보여주고 있다. 농업생산성 향상을 모색하기 위하여 集團農業體制인, 콜호즈, 소호즈의 재편, 개인농의 창설 및 조달제도의 재검토 등 농업정책에 개혁을 시도하였으나, 국가지원의 불충분과 농업 전체가 엄한 조건하에 있어 큰 기대를 올리지 못하고 있다. 한편, 러시아의 對外交易 수지는 개선되고 있으나 생산 설비의 노후화에 따른 생산량 감소, 품질조악, 경쟁력 부족 및 낮은 勞動生産性 등으로 계속적인 黑字趨勢가 불투명하며, 한·러 교역에 있어서는 '92년 부터 우리가 貿易赤字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 있다. This paper reviews recent situation of agriculture and trade in Russia. The production of grain in 1993 was 99 million tonnes. This was about 7% down compared to that of the previous year which was 106.9 million tonnes. Russian livestock production fell as well in 1993. Sales of cattle and poultry for slaughter fell by 7% and eggs by 6%. Milk output remained the level of 1992. The above drop in the outputs of livestock industry was pronounceable with the decrease in livestock numbers. The reduced output was due to a number of factors, including the price rise and shortage of farming materials, such as fertilisers, pesticides, fuel and machinery. With the decline in average consumption per capita of most food production in 1992, a restoration in many production sectors was observed in 1933. The agricultural trade with Korea was imbalanced after 1992, in which Russia exported 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