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ICT 활용 실태에 대한 연구

        김운화(Wn-Hwa Gim),서정희(Jeong-Hee Seo),용진(Yong-Jin Ki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교육연구 Vol.51 No.-

        지난 10년간 과학 수업에 활용될 수 있는 ICT 기자재의 보급과 자료의 개발이 정책적으로 이루어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노력들이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중소 도시에 위치한 1개 중학교 과학교사 3명의 과학 수업을 한 학기동안 관찰하고, 수업일지 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160명의 중학교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과학 수업에서의 ICT 활용에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수업에 활용될 ICT 기자재는 구비되었으나 과학교육용 ICT 자료의 공급은 부족하였다. 과학교사들은 PPT 등의 자료 편집은 가능하였으나 새로운 ICT 자료를 개발하는 능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관찰에서 과학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ICT 자료는 교과서 내용과 순서가 동일하면서 사진과 동영상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CD와 PPT이었으며, 웹사이트를 주 1회 이상 활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과학 수업에서 ICT 자료를 활용하는 목적은 학생의 흥미유발과 내용 이해, 실험보조 등의 기능이었으며,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을 위한 편리성으로 ICT를 활용하였다. 유비쿼터스 구축과 스마트러닝을 추구하는 시대에 교수자 중심의 ICT활용 과학 수업은 학습자 중심의 과학 학습 활동으로 변화가 필요하다. During last decade, dissemination of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equipments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aterials used in science class have been promoted as a government polic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use of ICT in a middle school science class. For this, class observation for the duration of one semester, investigation of teacher journals, and teacher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ree science teachers of a middle school in a small city. To compliment this, survey was additionally done on utilization of ICT of science teachers in their science classes. 160 science teachers at middle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CT devices and equipments which could be used in science class was well equipped, but contents utilized in science class was inadequate. Second, science teachers had some ability to edit instruction materials like PPT files, but they were poor at creating ICT materials for themselves. Third, science teachers preferred multimedia CDs, PPTs, websites which were in the same order as textbooks and including abundant photos, pictures and video clips, and they were usually using them once a week. Fourth, the aim of using ICT materials in science class by science teachers was to improve student’s interest, to help student’s understanding, and to support science labs, and these all were more focused on teacher-centered using ICT and improving teacher’s convenience. We are approaching a “Smart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every student has their own digital device and student-centered learning is becoming more dominant. So science classes should be augmented to become more student-centered.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동물 분류에서 오류 원인이 되는 사고 내용 분석

        김운화 ( Wn Hwa Gim ),황의욱 ( Ui Wook Hwang ),용진 ( Yong Jin K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科學敎育硏究誌 Vol.36 No.1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N=300)을 대상으로 질문지와 면담을 통해 주요 동물의 분류에 관한 오류와 그 이유가 되는 사고 내용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로 분류하는데 있어서 뱀(31.7%),새우(28.3%), 거북이(25.6%), 개구리(24.7%), 불가사리(10.7%) 등의 순서로 오류의 빈도가 높았다. 이러한오류의 이유는 각 동물의 운동 특성과 외형적 특성에 따른 직관적 사고, 다른 동물의 특성에 비유하여 잘못된 유추를 하는 것, 각 동물의 척추 관찰 부족 때문인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척추동물의 하위분류군을 구분함에 있어서``도롱뇽은 파충류(45.3%), 거북이는 양서류(40.3%)``로 대안개념을 갖는 오류가 높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분류 용어의 모호함으로 인한 혼동과각 동물의 생리·생태적 특성을 분류 기준의 특성에 연계시키지 못하는 것에 있었다. 박쥐, 고래, 펭귄의 분류에서는 사회·문화적 요인이 오류의 빈도에 영향을 주었다. 동물 분류의 교수·학습이 암기 위주의 주입식보다는 관찰을 통한 분류 기준의 특성을 탐색하는 활동의 지도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requent mistakes and the causes of the alternative conceptions in the animal classification by using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ith the middle school students (N=300). As results, some students have difficulties classifying suggested animals into vertebrates or invertebrates : snakes (31.7%), shrimps (28.3%), turtles (25.6%), frogs (24.7%), and starfish (10.7%) in order of precedence. These errors seemed to be caused by intuitive thinking over characteristics of physical motions and appearance of suggested animals, wrong inference from comparing to features of familiar animals and the lack of observation experience of the vertebrate backbone. Furthermore, the results showed that relatively many students made a mistake classifying subgroup members of vertebrates such as classifying salamanders into the class Reptilia (45.3%) and turtles into Amphibia (40.3%). It is likely that those errors are affected by ambiguousness of classification terminology (e.g. the term of Amphibia) and weak ability in relating the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feature to standard of classification feature. In addition, sociocultural factors could influence animal classification as ``bat in birds``, ``whale in fish, and ``penguin in mammals``. The present study implied that teaching and learning animal classification may require an appropriate guide focused on activities to explore major characteristics used for the animal classification standard through providing more chances of animal observation rather than the cramming method of learning induced by technical memoriz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