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플라톤의 '에로스'

        金鎔貞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1975 東國思想 Vol.8 No.-

        인간들은 고해의 파도치는 물결위에 육신이라는 뗏목을 타고 어디론지 알 수 없는 「인생의 대항해」를 계속하고 있으나 그 방향을 측정할 아무런 나침반도 갖고 있지 않았다. 아름다운 신적인 것에서 즉 선미의 고향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표류의 항해를 계속하고 있는 동안에 프로타고라스는 인간은 만물의 척도이며 항해의 지휘자다 라고 외쳤다. 그러나 이 항해는 이 항해는 인간들에게 아무런 방향도 제시하여 주지 못 하였다. 따라서 인간은 만물의 척도라고 단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오히려 인간으로 하여금 일절의 척도를 상실케 하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인간들은 척도에 대한 참된 지식 다시 말하면, 바른 방향을 관측할 수 있는 측정술(metere ̄tike ̄)을 발견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따라서 소크라테스가 “너 자신을 알라”(Gnoti seauton)고 외쳤을 때 인간들은 항로를 변경하여 「제이의 항해(ton deuter on plum)를 시작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이 때부터 사람들은 변화무상한 감각적 인간이 만물의 척도가 될 수 없음을 깨달았다. 그리고 선미의 이데아만이 모든 존재의 척도이며, 이데아에 대한 사랑만이 모든 것을 가능케 하고 일절의 존재에 통일성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인간이 자기자신속에 사적인 개인을 초월한 보편적이고 신적인 로고스로서의 초월적 자아를 지니고 있고, 그것에 의하여 다이몬(Daimon)의 소리를 경청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 KCI등재
      • 相對性理論의 '場'論과 佛敎의 '空'觀

        金鎔貞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1971 東國思想 Vol.6 No.-

        만물은 유전(Panta rhei)한다' '두쟁(πб'λεμos)은 만물의 아버지요 王이다'. '만물은 불(πυ ρ)의 교환물이며 불은 만물의 교환물이다'. 생성과 소멸일일소멸과 생수의 철학자 Herakleitos는 세계는 무의 심연에 잠들어 있는 것이 아니라 연소하는 방대한 화재의 회신에서 다시 재생과 소생 그리고 다시 소멸하는 자주적대화에 의한 순환의 비유로서 마치 불사조와 같이 '불꽃이 일었다가 연기로 사라지고 다시 재(회)속에서 불꽃이 일어나는' 《영원히 산 불의 영상》 이라고 선언하였다. 그리하여 생과 멸 두쟁과 해조(α`ρμουιη)의 순환적 영겁회귀의 사상은 탄생하였든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혼을 불(화)과 동일시한 Herakleitos의 사상은 그러기 때문에 《생명의 열》, 《정열의 불꽃》혹은 《우리들을 태워버리는 사랑의 열병》이라는 표현속에서 인생유전의 비극성을 담고 있기도 하며 한편 그것이 극복될 수 있는 종교적열광성의 상징으로서 죽엄을 밀바탕에 숨겨저 있는 혼의 재생을 주재하는 신(θεοs)을 노래하기도 한다.

      • J. Dewey의 經驗의 哲學과 價値의 문제

        金鎔貞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1976 東國思想 Vol.9 No.-

        그러므로 Dewey의 경험의 철학은 전통적인 형이상학의 절대적인 보편성은 부정하지만 존재의 이상화에 있어서의 보편성까지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앞에서 말한 Dewey의 개연성의 원리는 합리적인 보편적 법칙과는 반대되는 것이지만 사회적 현실적 조건을 전제로 한 가능성으로서의 이상의 보편성과 배치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것에 포섭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결국 Dewey의 경험의 철학은 사회과학의 방법론을 제시한 것으로서 존재의 근본문제나 인식 내지 가치의 근원적인 문제를 제시하거나 해명한 것은 아니다.

      • Kant의 直觀空間과 非 Euklid 幾何學의 空間

        金鎔貞 東國大學校 1973 論文集 Vol.11 No.-

        It is already well known fact that the epistemology of Kant is based on Euclidean geometry and Newton's physics. Especially, in his theory of space, as the condition of establishing, he brought light on a revolution of the method of thought through the Copernicus revolution not that our cognition must conform to the objects but that object must conform to our cognitions. Accordingly, he thought space as transcendental pure intuition including the possibility of arriving at the cognition of objects a priori that can determine something about those objects, before they are given to us. However, the problem began arising whether the theory of Euclidean space of kant was right or not, according as the pseudo-spherical geometry of Lebatchefski and the spherical geometry of Riemann were made clear. Therefore, two kinds of theories arose. One was the critical opinion that the basis of the transcendental deduction of Kant collapsed, the other it concluded the possibility of non-Euclidean geometry. So, Kant himself explained that his theory of space must be amended through physical geometry of Rieman and Helmholtz, and he criticized gain them in the point of pure geometry. Thus, therefore, if the space of pure intuition of Kant is explained as the formal conception of transcendental thought, namely, categrical space, the cognition a priori of euclidean geometry of Kant can be established validly. At the same time, after all the transcendental deduction of Kant includes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the Euclidean geometry and non-Euclidean geometry universa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