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후보

        불안과 일상성: 마르틴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불안관을 중심으로

        김완종 한국기독교철학회 2022 기독교철학 Vol.33 No.-

        논자는 본 글에서 그리스도교의 불안의 의미를 확립하기 전에 철학에서 특히 현대철학의 거장 마르틴 하이데거의 작품에 나타난 불안(angst)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고찰한다. 또한 이러한 불안의 개념을 통해 그가 주장하려고 했던 바가 무엇인지를 평균적 일상성(durchschnittliche Alltäglichkeit) 속에 빠져 있는 그들-자아(das Man-selbst)로부터 본래적 자기(eigentlichen Selbst)로 이행하는 실존하는 인간 현존재의 탈근대적인 본래적 자기성을 탈은폐하는 것에 근거하여 주장한다. 이러한 불안은 하이데거를 따라 단순한 심리적 범주의 불안이 아니라 불안의 기능과 역할을 통해 존재론적 불안이라는 것을 모색하여 불안의 긍정성을 주장해 볼 것이다. 논자는 현존재의 비본래적 그들-자아로부터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로라는 사태를 드러내는 불안인 본래적 불안과 학문의 토대와 그 학문의 토대를 숙고하는 인간 현존재의 자기성이라는 사태를 드러내는 본질적(wesenhafte) 불안 혹은 근원적(ursprüngliche) 불안을 구별하지 않고 불안이 인간 현존재의 자기성이라는 사태 전체를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동일한 것으로 주장하며 하이데거의 불안을 탐구한다. 불안은 공공성(Öffentlichkeit) 속에 빠져 있는 그들-자아를 개별화 시키어 현존재의 자기성인 존재가능(Seinkönnen)이나 탈존적(ekstatische) 존재가능을 열어밝혀준다. 즉, 불안이 일상 속에 매몰되어 자기상실을 한 채 편안함(das Zuhause)을 추구하는 인간 현존재에게 가장 고유한 존재가능으로 향한 존재를 드러내준다. 그들-자아는 안정되고 편안한 평균적 일상성을 원한다. 불안은 일상인들에게 섬뜩함(집과 같지 않음, unheimlichkeit)과 불편함이다. 이런 이유로 일상성 속에 살아가는 그들-자아는 편안하지 않은 불안을 회피한다. 불안은 일상성 속에 빠져있음(Verfallen)에서 돌아서게 하며 일상적 친숙함을 무너뜨린다. 그래서 불안을 수용하려는 담대함(Tapferkeit)과 불안에 대한 용기가 절실하다. 집과 같지 않은 상태, 마음이 불편하고 편치 않은 상태와 같은 불안은 그 이유와 대상이 규정되어 있지 않은 무이다. 무엇 때문에 무슨 이유인지 모르는 불안이 엄습한다. 그들-자아는 평균적 일상성 속에서 살아가는 모두가 그들이기 때문에 본래적 자기를 상실한 채 살아간다. 그들-자아에서 본래적 자기로의 이행이 필요하다. 이러한 본래적 자기가 근대적 의미의 인간상은 아니다. 이 본래적 자기로의 이행은 또 다시 근대적 주체로 회귀한 것 같지만 무세계적인 고립된 자아, 이성적 동물, 표상적 자아, 사유하는 자아 등으로 규정되거나 경계를 정할 수 있는 자아가 아니라 무규정적이며 끊임없이 자신의 존재가능을 성취해 나가는 단독적 자기(solus ipse)나 탈자적 자기(ecstatic self)이다. 자신이 주인이 되어 모든 것을 표상화시키는 표상적 자아나 모든 것을 자아 속으로 환원시키는 유아론(solipsism)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인간이 표상화를 통해 모든 것을 자신의 발아래 놓고 자신뿐만 아니라 자연과 세계 모두를 굴복시키는 근대적인 인간상을 비판한다. 이런 점에서 본래적 자기는 탈근대적이다. 인간은 불안하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섬뜩한 불안은 일상성을 무너뜨려 그들-자아에서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를 탈은폐한다. 불안은 긍정이다. In this paper, I claim that what Heidegger intends to say with Angst(anxiety) through his works based on disclosedness of trans-modern authentic self of existing human Dasein that has to transit from the They-self that is falling in the average everydayness to authentic Selfhood. I examine this angst is not psychological angst but ontological angst in terms of functions and roles of angst. I argue that both authentic angst and primordial angst are the same in terms of unconcealment of human Dasein’s selfhood without distinguishing authentic angst, which discloses transition from inauthentic the they-self to authentic selfhood and primordial angst, which discloses ground of science and human Dasein’s selfhood that is reflecting that of science. Angst individualizes the they-self who is falling in publicity and discloses potentiality-of-Being or ecstatic possibility-to-be of authentic selfhood of Dasein. That is to say, Angst reveals Being toward ownmost potentiality-of-Being for human Dasein who pursues the Being-at-home(das Zuhause) with human Dasein falling in everyday life. They-self wants to desire stable, comfortable and average everydayness. Angst is unheimlichkeit(the not-Being-at home) or uncomfortability to beings in the world. For this reason, They-self try to avoid this state of angst. Angst effects a break with the busy work and activity of everyday existence in which it is absorbed. This is why we should have a courage of angst. Angst like the not-Being-at home, the state of being uncanny is cannot be defined by object( wobor, in the face of something) and reason(worum, about something) of it-in other words it is Nothing(Nichts) because it suddenly appeared without reasons and object of it. That is, Angst is impossibility of determinateness of it. They-self lives without being authentic selfhood because she or he lives in such a way that no one is himself, everyone is the other. Thus, They-self has always been the They who lives in the average everydayness and yet They-self is has been no one. For this reason They-self needs transition from They-self to authentic selfhood. But this authentic self is distinguished from modern subjective self. The transition to authentic self seems to be return to modern subjectivity, but this authentic self is not isolated ego, rational animal, subjective self, representational self, and self who is thinking, but rather undefined, unfixed solus ipse or ecstatic self who continues to fulfill potentiality-to-be. That is, this self does not mean representational self that represents objects as a whole and solipsism that reduces everything to self. In this sense, authentic self is trans(post)-self. According to Heidegger we criticizes modern self, who becomes self gathered together(Ge-stell) and gathers together unlimitedly through standing over and against as object(Ver-gegen-ständlichung) which masters. Human beings are anxious therefore they exist. Angst like being uncanny disturbs everyday life and discloses authentic self of human Dasein. Angst is affirmation.

      • 계배 망막의 초기 형태형성과정

        김완종 순천향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8 순천향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4 No.1

        Early morphogenesis of the developing chick retina was observ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At the day of 3 after incubation, retina already consisted of the outer pigment epithelium and the inner retina proper. The pigment epithelium was composed of several cell layers and contained a few small melanin granules which increased in number and size as development proceeded. Neuroblasts in the retina proper were characterized by the wide intercellular spaces, the high ratio of nuclear to cytoplasmic volume, the prominent nucleoli, and the plentiful free ribosomes. At the days of 5 after incubation, while the layers of pigment epithelium decreased in number, those of retina proper was thickened owing to the proliferation. At the day of 7 after incubation, neuroblasts in the retina proper were fully differentiated in aspect of ultrastructure and basal folds between the pigment epithelium and the retina proper appeared to maximize the transport of nutrients or wastes and gases. And differentiation of the pigment epithelium preceded that of the retina prop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arly morphogenesis of the developing chick retina is more or less achieved at early developmental stage and the pigment epithelium fosters the differentiation of the retina proper.

      • KCI등재

        포스트모던인들의 삶의 조건 비판: 하이데거와 레비나스의 죽음관을 중심으로

        김완종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3

        하이데거에게 죽음은 자아 유아론적(egoistic solipsistic) 죽음, 다시 말하면 죽음의 각자성(jemeinigkeit, mineness)이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죽음은 인간 현존재(Dasein)의 전체존재를 드러내는 방식이다. 그에게 죽음의 의미는 죽음을 향한 존재(Sein zum Tode)라는 점, 아직-아님과 항상-이미의 존재론적 구조를 가진다는 점, 죽음은 고유한 존재가능이라는 점, 즉 죽음은 현존재의 불가능성의 가능성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죽음을 향한 존재는 아직 경험되지 않았지만 이미 닥쳐 있는 임박한 종말로 죽음을 향해 앞질러(Vor) 달려갈 수 있다(laufen)는 점, 즉 현존재 자신은 가장 고유한 가능성 속에서 앞에 서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죽음에 의미가 인간 현존재에게 적용될 때 무슨 의미가 있는가? 모두가 대중 속에 있는 그들-자아이고 이 속에서는 본래적 자기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그들이란 아무도 아닐 수밖에 없고 아무도 아니다. 무한 긍정을 통해 무한 자본만을 획득하는 그들-자아의 일상성을 깨고 자신의 존재가능을 실현하며 계속 성취해 나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은 다름 아닌 죽음을 향한 존재 앞에서 자신의 현존재를 문제시하며 의문을 던지는 본래적 자기이다. 이에 비해 레비나스의 타자의 얼굴에 노출된 연약성은 그의 가사성이나 죽음을 의미하며, 그에게 얼굴은 타자의 죽음을 노출시킨다. 레비나스에게 신비로서의 죽음은 주체가 주인이 될 수 없는 사건이며 그 사건과의 관계에서 주체는 더 이상 주체가 될 수 없다. 하이데거와는 다르게 죽음은 나의 죽음이 아니라 사건과 주체간의 심연을 도입한다. 죽음은 대상을 환대하고 환영하는 사건에 마주하는 관계를 도입한다. 레비나스의 죽음 이해가 타자나 타자성과 관련성을 가질 수밖에 없는 것이 바로 이러한 점 때문이다. 레비나스에게 형이상학적 욕구는 다름 아닌 타자에 대한 욕구이다. 죽음은 주체에게 낯선 것이나 타자이다. 죽음은 절대적 타자이다. 타자는 미래이다. 그래서 죽음은 미래와 같은 타자이다. 하이데거의 죽음은 현존재의 본래적 자기성을 정립시키는 현존재의 고유한 존재가능의 근거인 반면에 레비나스에게 죽음은 절대적 타자성이다. 레비나스에게 죽음은 타자와의 관계 물음의 근거이다. 레비나스에게 하이데거의 죽음을 향한 나의 존재는 죽음을 향한 타자의 존재로, 다시 말하면 내가 죽음을 향해 있다는 것이 타자가 죽음을 향해 있다는 것으로 바뀐다. 논자는 이러한 하이데거와 레비나스의 죽음관을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일견 대립해 보이는 두 견해가 오히려 포스트모던 시대의 우리에게 유의미가 있다는 점을 제시할 것이다. 논자는 이러한 하이데거의 자기중심적 죽음이해와 레비나스의 타자 중점적 죽음이해가 무한 긍정, 무한 능력, 무한 경쟁을 통해 무한 자본, 공간, 권력 등을 소유하며 편안함과 안락함, 즉 포스트모던인들의 삶의 조건들을 추구하는 포스트모던 시대 현대인들의 사유와 삶의 방식에 통찰력 있는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Heidegger 's death and Levinas' death, and examines the difference of meaning. I would present the implications of the negative discourse of death on the thinking and way of life of postmoderns in postmodern times, pursuing only comfort and easiness by acquiring infinite capital and power through infinite affirmation, infinite ability, and infinite competition. To Heidegger death is egoistic solipsistic death, that is mineness of death. According to Heidegger, death is a way of revealing the Ganzsein of human Dasein. For him, the meaning of death is that of Sein-zum-Tode, and the ontological structure of not-yet and always-already, in other words the possibility of impossibility of Dasein. Sein-zum-Tode has not yet been experienced, but it is that it is already standing before (bevorstehen) the imminent end that has already can run (latufen) ahead (vor) toward death. In other words, Dasein is standing in front of itself in its ownmost potentiality for Being. Everyone is a They-self in the public, and because they cannot find their true selves in this, they are nobody and no one. It is the authentic self, who is able to break his everydayness to acquire only infinite capital through infinite affirmation, to realize his existence possibility and continue to fulfill own potentiality for Being. It is an authentic self who asks question of its own Dasein in front of Sein-zum-Tode. On the other hand, Levinas' vulnerability to the other's face means his mortality or death, and his face exposes the other's death. For Levinas, death as a mystery is an event in which the subject cannot be master, and the subject can no longer be subject in relation to the event. Unlike Heidegger, death is not my death, but the abyss between events and subjects. Death introduces opposing relationships in events that welcome and welcome objects. This is why Levinas' understanding of death has to do with other or otherness. For Levinas, metaphysical desire is a desire for the Other. Death is an unfamiliar thing to the subject. Death is an absolute Other. The Other is the future. So death is the same as the future. Heidegger 's death is the basis for its ownmost potentiality-for-Being that establishes the authentic selfhood of Dasein, whereas to Levinas death is an absolute Other. To Levinas, death is the basis for a relationship with the Other. To Levinas, Being for my death turns into Being for the death of the Other. In other words, my Being towards death turns into the Being of the Other towards death. I would not criticize both Heidegger's view of death and Levinas's view of death. I would suggest that both Heidegger's self-centered understanding of death and Levinas' the other-centered understanding of death will give They-self to those who live in the conditions of postmodern life, that is, infinite capital and space through infinite affirmation in-depth thought about what Being of the other person and the original human being is in their place.

      • 흰쥐 전립선의 미세구조 분화에 미치는 Di-(2-ethylhexy1) phthalate의 영향

        김완종,길영천,신길상 순천향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0 순천향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6 No.1

        Di-(2-ethylhexyl)phthalate(DEHP) is a plasticizer and is known as one of endocrine disrupto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prostate during differentiation in male rat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DEHP in dosages of 1g/kg, 2g/kg or 3g/kg in 0.5mℓ of corn oil daily for 15 days. In rats treated with DEHP, the prostate exhibited extensive histological alterations compared to that observed in controls. Many of the glandular lumens in the prostate were collapsed or reduced in width. The alteratrions of epithelial cells in the prostate of DEHP treaten rat were characterized by the increases of the nuclear to cytoplasm ratio and the heterochromatin, the reductions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d secretory vesicle, and the irregularity of nuclear envelope. In conclusion, DEHP altere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male rat prostate, dose-dependently. It is suggested that these detrimental effects of DEHP are due to the decreased level of testoster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