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석영 이문열 소설의 이념 분석과 수치적 해석 : 황석영 이문열 소설의 이데올로기 비교 연구

        김영(Kim Young)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1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6

        This article is written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novel world which Whang, Suk-Young and Lee, Moon-Yeol achieved centering around the ideology. Hwang, Suk-Young and Lee, Moon-Yeol are as well as the writers who consisted literal completion and representative novelists who give an ideological voice. Analysis and Numbering Interpretation of the ideology is possible in condition that fuzzy theory makes unmeasurings measurable. At the chapter 2, described their confrontation course about the experience of the alienation and loss through the absence of a hometown and their fathers which are two writers' common experience. Whang, Suk-Young's early works, 「Before resurrection」 and 「Standing stone vicinity (立石附近)」 are far with a progressive ideology and try to overcome a sense of alienation and loss with a rebellious spirit and invincible will. Otherwise at the 「Sae Ha Gok」 「Wild Ox」 「Portrait of the young」 of Lee, Moon-Yeol's early works, we can see there are progressive discourses contained which were influenced by Sartre but he try to deny the experience of the loss and the alienation with the off ideology through the self-inspection. The confrontation ways are different for resisting in a violation ideology and at the 「For my brother」 and 「Our twisted hero」, the methods to destroy the dictator are distinctive each novel as one is resolved by dependence of the people and another is by outside force. Through the experience of visiting North Korea, returning and imprisoning, Whang, Suk-Young's literal world became more mature and consisted the balanced in left with the harmony to move to right and finally his later representative piece, 「Guest」 「Gangnam Dream」 came out. Lee, Moon-Yeol had a controversy with 90 and 2000's progressive force and slanted conservatively but applied ‘Transcendental Sainsung(私人性)’ with balance which produced a lot of wonderful pieces, 「Homo Executans」 「Immortality」.

      • KCI등재

        새로운 한글 유산록 〈금강산졀긔 동유록〉의 작자와 작품 분석

        구사회(Gu, Sa Whae),김영(Kim, Young) 동악어문학회 2017 동악어문학 Vol.73 No.-

        〈금강산졀긔 동유록〉은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한글 유산록이다. 작자는 19세기 중기에 활동했던 승산(勝山) 김영근(金泳根, 1793~1873)이다. 그는 안동 김씨로 정묘호란 때에 척화대신으로 이름이 높았던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 1570~1652)의 9대손이고, 노론의 영수였던 김수항(金壽恒, 1629~1689)의 직계 후손이다. 〈금강산졀긔 동유록〉은 강원도 관찰사로 있던 작자가 1863년 음력 8월에 관할 고을을 순시한다는 명목과 함께 금강산을 다녀온 내용을 적은 것이다. 서술형태는 노정에 따라 날짜를 밝히고 내용을 기록한 일기체 유산록이다. 표현 방식은 주관적인 비유나 묘사를 피하고 대상을 객관적으로 서술하여 사실성을 중시하였다. 그래서 작자가 거쳤던 곳이나 유람한 내력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었다. 하지만 유람하면서 느꼈던 작자의 내면세계나 자연에 대한 감흥을 깊이 있게 담아내지 못하는 한계가 보인다. 〈금강산졀긔 동유록〉을 읽다 보면 다른 유산록에서 찾을 수 없는 특이점이 보인다. 대다수의 유산록에서는 작자가 산수 유람을 통해 심성을 연마하고 자연속에 내재된 이치를 탐구하면서 자신의 정신세계를 고양하고자 하는 태도를 보인다. 그런데 〈금강산졀긔 동유록〉에서는 그것보다는 안동 김씨인 자신의 조상과 가문에 대한 자부심을 곳곳에 쏟아내고 있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금강산 유람 기록은 100여 편이 넘고 대부분 한문으로 기록되어 있다. 반면에 국문으로 기록된 것은 10여 편에 지나지 않고 대개 19세기 말엽에서 20세기 전반기에 나왔다. 그리고 김영근 이전에 나온 한글 양식은 거의 가사 양식이었다. 그런 측면에서 보자면 김영근의 〈금강산졀긔 동유록〉은 앞선 시기에 나온 한글 유산록의 자료적 가치가 있다. 〈Geumgangsan-jyeolgwi Dongyurok〉is a new Korean record not widely known to the academic sector. The author is Kim,yeong Geun who was active in the mid-19th Century. He was from the Kim Family of Andong and a direct descent of Kim, Sang Hyeon. This record was written after he visited Mt. Geumgang in August 1863 of the lunar calendar as the governor of Gangwon-do Province. It was written as a diary under each date following the course of his trip. The expressions avoided subjective comparisons or depictions, but the objects were objectively described in realistic terms. Therefore, the places the author passed or visited are clearly listed. However, it does not reflect the author"s introversion or appreciation of nature. As you read 〈Geumgangsan-jyeolgwi Dongyurok〉, there are characteristics you cannot find in other records. Most of records alike reflect the author`s attitude to explore the laws of nature and enhance their spiritual world as they discipline themselves while traveling. However, 〈Geumgangsan-jyeolgwi Dongyurok〉 focuses on praising the author"s pride in the ancestors and reputation of the Kim Family of Andong. Most records of visits to Mt. Geumgang are written in Chinese letters and only 10 were written in Korean. Furthermore, most pieces before Kim, Yeong Geun were in the form of Gasa. In this respect, Kim"s record has value as a Korean work.

      • 상변화물질PCM을 이용한 소방배관의 동파방지에 관한 연구

        김영해(Young Hae Kim),김해빈(Hae Bin Kim),김동규(Dong Gyu Kim),김민수(Min Soo Kim),김지형(Ji Hyeong Kim),김회률(Hoi Youl Kim),금종수(Jong Soo Kum) 대한설비공학회 2021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1 No.6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vent of the freezing of fire piping when it is exposed to a certain temperature or below by unsing the properties of PCM that is absorbing or discharging latent heat by phase changing at the certain temperature. It verified PCM’s prevention effect of freeze through numerical analysis and measrement.

      • KCI등재

        임진왜란 시기에 작성된 <양호당이덕열언간>의 내용과 가치

        김영 ( Kim Young ),장고은 ( Jang Go-eun ) 구결학회 2021 구결연구 Vol.46 No.-

        이 연구는 임진왜란 시기에 작성된 <청풍김씨묘출토언간(양호당이덕열언간)> 13점의 편지 전문을 소개하고 그 내용적 특징과 의의를 밝혔다. 이 언간은 조선중기 주요 관직을 역임한 양호당(養浩堂) 이덕열(李德悅, 1534 1599)이 그의 부인 청풍김씨(1567 1637)에게 보낸 것이며 1점은 부인이 남편에게 쓴 편지이다. 편지의 발신 연대는 1590년대이다. 이 언간에는 조선 중기 주요 관직을 역임한 이덕열의 관직 생활이 담겨 있다. 그가 성주목사, 군기시 첨정, 개장도감 낭청, 명군(明軍)의 접반사로 재직할 당시의 상황, 즉 성주성 전투와 선조의 파천, 선릉과 정릉의 훼손과 복원 작업, 명군의 파병 등의 임진왜란의 역사적 사건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전쟁으로 인한 피난과 경제적 어려움, 아들의 요절 등 그가 겪어야 했던 참상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언간과 함께 많은 물건이 오갔는데, 특히 ‘홑철릭, 초록철릭, 삼베철릭, 백단령, 베중치막, 적삼, 속것’ 등 다양한 복식 관련 어휘가 등장하며 전쟁 중에도 아내에게 직접 관복을 제작하여 받는 등 당시의 복식 생활의 모습을 담고 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양호당이덕열언간>은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의 이행기적 면모를 보이는 소중한 국어사 자료이자 전쟁사, 생활사, 문화사 연구 자료로서도 매우 가치 있는 자료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introduced the full text of < Letters Excavated from Cheongpung Kim’s Tomb (Yanghodang Yi Deokyeol Eongan) > 13 letters, written in Korean during the Imjinwaeran period, and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Most of the letters were written by Yanghodang (養浩堂) Yi Deokyeol (李德悅, 1534-1599), who served as a major government official during the mid-Joseon Period, and sent to his wife, Cheongpung Kim (1567-1637), and one letter was written by his wife to her husband. The originating date of these letters is in the 1590’s. These letters contain the life of Yi Deokyeol, who served as a major government official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They show the historical events of Imjinwaeran, i.e. the battle of Seongjuseong and the leaving the Palace of the King Seonjo, destruction and restoration of Seolleung and Jeongneung, and the dispatch of the general of Ming army at the real time when he served as Seongju moksa (星州牧使), Gungisi Cheomjeong (軍器寺僉正), Gaejang Dogam nangcheong (改葬都監郎廳), and Jeopbansa (接伴使) of general of Ming army. They also contain the misery he had to suffer form, such as evacuating his family and experiencing poverty due to the war, and early death of his son. A lot of items came and went along with the letters, and in particular, various names of the things related to clothes appeared, such as single cheollik, green cheollik, hemp cheollik, white dallyeong, hemp jungchimak, jeoksam, sokkeok, etc. It is also characteristic that it contains the appearance of the clothing life such as making and receiving official uniforms from his wife during the war. Therefore, Yanghodang Yi deokyeol eongan is a valuable data for history of Korean language showing the transition between medieval and modern Korean, as well as research material on war history, life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 KCI등재

        관측정 자연표류 실험을 통한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오염 지하수의 생물학적 복원 타당성 연구

        김영,김진욱,하철윤,김남희,홍광표,권수열,안영호,하준수,박후원,Kim Young,Kim Jin-Wook,Ha Chul-Yoon,Kim Nam-Hee,Hong Kwang-Pyo,Kwon Soo-Yul,Ahn Young-Ho,Ha Joon-Su,Park Hoo-Won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5 지하수토양환경 Vol.10 No.3

        본 연구는 현장 관측정 자연표류 실험 (SWNDT, Single-Well Natural Drift Test) 을 이용하여 트리클로로에틸렌 (TCE, trichloroethylene) 으로 오염된 지하수의 생물학적 복원 가능성 조사 방법 및 결과 해석법을 제시하였다. 현장 SWNDT 실험에 사용한 용액은 일정 양의 추적자 (브롬이온), 생분해 기질 (톨루엔, 에틸렌, 용존산소, 질산성질소) 을 현장 지하수에 용해시켜 준비한다. 준비된 실험용액을 대수층에 주입하고, 주입 시 시료를 채취하여 추적자와 생 분해 기질들의 초기 농도를 측정한다 주업 후 시간에 따라서 시료를 채취하여 추적자, 생분해 기질, 생분해 부산물들의 농도를 측정한다. 현장 SWNDT 실험은 생분해 기질과 추적자의 상대적 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Push-pull Transport Test (PPTT), 토착 미생물의 양과 활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Drift Biostimulation Test (DBT), 트리클로로에틸렌과 미생물 반응이 유사하리라 예상되는 기질을 시험하기 위한 Drift Surrogate Activity Test (DSAT) 순으로 진행되었다 SWNDT 실험 양수 시 추적자로 사용한 브롬이용의 농도변화 곡선은 톨루엔, 에틸렌, 용존산소, 질산성 질소 농도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즉 대수층에서의 생분해 기질들의 이송이 추적자와 유사함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토착 톨루엔산화 미생물의 존재를 톨루엔 농도의 감소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발생 및 용존산소 농도의 감소로 확인하였고, 그 톨루엔 산화 미생물은 트리클로로에틸렌 생분해 유사기질로 사용된 에틸렌을 분해하며, 부산물로 산화에틸렌 (ethylene oxide) 을 생성하였다. 이는 DBT 실험을 통하여 활성화된 톨루엔 분해 미생물이 트리클로로에틸렌 분해능이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현장 SWNDT 실험 방법 및 결과 해석 방법은 트리클로로에틸렌으로 대표되는 염화 지방족 탄회수소화합물(Chlorinated Aliphatic Hydrocarbons, CAHs)로 오염된 지하수의 생물학적 복원 타당성 평가를 위한 경제적이고 용이한 현장 실험 방법이다. The feasibility of stimulating in situ aerobic cometabolic activity of indigenous microorganisms was investigated in a trichloroethylene (TCE)-contaminated aquifer. A series of single-well natural drift tests (SWNDTs) was conducted by injecting site groundwater amended with a bromide tracer and combinations of toluene, oxygen, nitrate, ethylene and TCE into an existing monitoring well and by sampling the same well over time. Three field tests, Push-pull Transport Test, Drift Biostimulation Test, and Drift Surrogate Activity Test, were performed in sequence. Initial rate of toluene degradation was much faster than the rate of bromide dilution resulting from natural groundwater drift, indicating stimulation of indigenous toluene-oxidizing microorganisms. Transformation of ethylene, a surrogate probing overall activity of TCE transformation, was also observed, and its transformation results in the production of ethylene oxide, suggesting that some tolueneoxidizing microorganisms stimulated may express a orthomonooxygenase enzyme. Also in situ transformation of TCE was confirmed by greater retardation of TCE than bromide after the stimulation of toluene-oxidizing microorganism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this environment, toluene and oxygen additions stimulated the growth and aerobic cometabolic activity of indigenous microorganisms expressing orthomonooxygenase enzymes. The simple, low-cost field test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provides an effective method for conducting rapid field assessments and pilot testing of aerobic cometabolism, which has previously hindered application of this technology to groundwater remediation.

      • KCI등재
      • KCI등재
      •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 인정 기준 : 노동생명표를 이용한 은퇴기대연령의 활용 -대법원 2019. 2. 21. 선고 2018다248909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김영서(Young Seo Kim),서예린(Ye Rin Seo) 서울대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2020 법학평론 Vol.10 No.-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은 손해배상 시 일실이익 산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준이 된다. 대법원은 1989. 12. 26. 선고 88다카16867 전원합의체 판결 이후로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만 60세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를 유지해 왔다. 그러나 대법원은 2019. 2. 21. 선고 2018다248909 전원합의체 판결(이하 ‘대상판결’)에서 경험칙의 기준이 되었던 제반 사정들이 현저히 변화하였으므로 만 60세를 넘어 만 65세까지도 가동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경험칙에 합당하다고 판시하였다. 대상판결의 다수의견과 별개의견 1, 별개의견 2는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만 60세를 넘어서까지 인정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이견이 없었다. 그러나 대법원이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일률적으로 특정 연령으로 선언해도 되는지 여부, 선언해도 된다면 어떤 연령으로 선언할 것인지에 대하여 견해를 달리했다.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가동기간의 의의 및 기능을 개관하고, 가동기간 전반에 관한 기존 대법원 판례의 흐름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가동연한 인정 기준에 대한 판례의 태도를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적용되는 가동연한의 인정 기준에 있어서 ‘경험칙상’ 가동연한이 가지는 체계적 위치를 규명하였다. 먼저 본고는 경험칙상 가동연한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요인과 노동시장 요인, 제도적 요인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 기존에 대법원이 인정하던 만 60세를 넘어 경험칙상 가동연한이 상향조정되어야 할 만큼 사회 현실이 변화했다는 점에 대해서 대상판결과 견해를 같이하였다. 다음으로 대법원이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특정 연령으로 단정하여 선언해서는 안 되고, 별개의견 2의 견해와 같이 포괄적인 법리를 제시하는 데에 그쳐야 한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더 나아가 손해의 공평한 분담이라는 관점에서 구체적 타당성을 추구하는 방법으로 바람직한 가동연한 산정방식의 탐색이 필요하고, 구체적으로 육체노동의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인정함에 있어서는 통계적인 수치를 활용하여 법 규범과 현실의 간극을 좁힐 것이 요구된다는 점을 보였다. 이 점에서는 고령자고용법상 법정 정년을 경험칙상 가동연한의 기준으로 하자는 별개의견 2의 견해와 의견을 달리하였다. 본고에서는 노동생명표를 이용한 연령별․성별 은퇴기대연령의 산출방식을 소개하고, 이를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인정하는 기준으로서 활용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언하였다. 이 방식을 통해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특정 연령으로 단정하여 선언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통계적인 수치를 활용하여 법 규범이 현실을 시의 적절하게 반영하도록 함으로써 구체적 타당성을 제고할 수 있다는 점을 보이고자 했다. 나아가 직종별 가동연한을 달리 보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는 별개의견 2의 첨언에 대하여, 직종별로 경험칙상 가동연한을 달리 보는 현재 대법원 판례의 태도가 타당하다는 입장을 개진하였다. The legal maximum working age based on empirical standards (hereinafter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of manual laborers is a very important criterion for calculating damages for lost earnings. Since th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88Daka16867 decided December 26, 1989, the Supreme Court had maintained the view that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of manual laborers should be 60 years old. However, in the en banc decision 2018Da248909 (hereinafter ‘the Case’), the Supreme Court declared that manual laborers are highly likely to work beyond the age of 60 to the age of 65, considering significant changes in the underlying soci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that substantiated the previous standards. The majority opinion, the first concurring opinion and the second concurring opinion in the Case all agreed that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of manual laborers should be beyond the age of 60. However, they disagreed with each other on whether the court can uniformly set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at a certain age and what the age should be, if the court could. By analyzing the existing Supreme Court cases concerning the legal working period including the Case, this paper identifies the status of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in the current legal regime for determining the legal maximum working age ultimately applied to an individual. This paper agrees with the Supreme Court that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should be raised from the age of 60, considering biological, economic, and institutional factors. However, this paper stands with and explores the second concurring opinion’s idea that the Supreme Court should refrain from declaring a uniform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for manual laborers and should only present comprehensive legal principles about it. Furthermore, this paper purports to show that the gap between legal norms and reality should be narrowed by adopting statistical measures in calculating damages, as it would enhance the specific justice. Regarding this point, this paper differs from the second concurring opinion, which contends that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should be primarily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legal retirement age set by the Act on Aged Employment. This paper introduces a method of estimating the expected retirement age by age and gender groups using the Work-Life Table, and subsequently suggests using it as the new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The new method is expected to enhance the specific justice as it would resolve the problems that may arise when the Supreme Court uniformly declares a certain age as the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and ensure that legal norms reflect reality in a timely manner. Finally, whereas the second concurring opinion added that courts should not discriminate based on profession when determining the legal maximum working age,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Supreme Court’s current approach, which applies different Empirically Derived Working Age by profession, is more valid.

      • KCI등재

        서울지역 주요 연주회장에서의 피아노독주회 현황과 레퍼토리 분석(2017-2019)

        김영 ( Kim¸ Young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21 음악교수법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2017-2019년 서울의 주요 클래식 공연장에서 개최된 피아노독주회 실태 고찰을 통해 2000년 이전 독주회와의 양상 변화를 살펴보았다. 지난 3년간 개최된 625회의 피아노독주회를 연주목적과 기획 의도에 따라 분류한 결과 약 80%가 단회성으로 이루어지는 일반 독주회였고, 총 2797곡의 연주곡목 중 19세기 쇼팽의 작품들이 가장 선호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약 100여 년의 한국 피아노 연주사 측면에서의 변함없는 흐름이지만 3년(2017-2019) 사이 새로운 변화도 감지되었다. 다양한 부제 사용, 해설ㆍ토크 콘서트, 청중과 교감하는 즉흥연주, 타 예술 장르와 결합한 다원예술적 공연 등이 혁신적으로 시도되었고 연주된 작곡가 수와 초연작 수가 눈에 띄게 증가하면서 레퍼토리가 확장되었다. 특히 한국 작곡가 작품의 연주가 급증하였음도 유의미하다. 본고는 피아니스트들의 독주회 기획에 있어 다양한 시도들이 참고되기를 바라며 새로운 변화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도록 적극적인 연주와 홍보 등 다양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조심스럽게 시사하는 바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aspects of the previous solo concerts in 2000 by examining the status of piano recitals held at major classical concert halls in Seoul over the last three years (2017-2019). After analyzing 625 piano recitals held in the past three years, this study found that the recitals were classified into either the purpose or the character of performance, and it also found that about 80% of the recitals were generally one-time performances for career development. The analysis of the repertoire showed that 19th-century Chopin's works among a total of 2,797 pieces ever played were most preferred. The findings implied that this unchanging trend of Korean piano history over about 100 years has been continued, but new innovative changes have been observed in the last three years between 2017 and 2019. It was observed. Innovative attempts such as the application of various sub-titles, commentary or talk concert, improvisation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and interdisciplinary artistic performances combined with other art genres, and it was also recognized that the repertoire was expanded through the in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composers and premiere performances. Distinctively, the number of Korean composers’works played has increased rapidly. Given these findings, this study carefully suggests that various attempts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in the pianist's solo recital planning, and that performance publicity should be continuously emphasized to motivate such innovative attemp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