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연결주의적 의미망에서 유사성과 연관성의 설명

        김영분(Youngboon Kim),민창우(Changwoo Min),명원(Myung Wo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7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4 No.10

        기존의 기호주의적 인공지능 시스템이 추론을 하는데 있어서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연한 지식 표현과 추론을 할 수 있는 연결주의적 의미망인 CSN(Connectionist Semantic Network)을 이미 제안하였다. CSN은 프라이밍 현상과 실어증에 관한 논의에서 볼 수 있듯이 인간의 유연한 추론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인 유사성(similarity)과 연관성(association)을 기반으로 하여 근사추론 및 상식추론을 할 수 있는 모델이다. 그러나 CSN을 비롯한 신경망을 이용한 시스템들은 정보를 분산적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추론한 결과를 설명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SN을 기반으로 하여 추론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설명 알고리즘(explanation algorithm)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먼저 개념층의 가중치를 분석함으로써 추론에 중요하게 영향을 끼친 개념들을 추출한다. 이 개념들과 초기에 입력된 개념들이 공유하고 있는 하위개념의 정도에 따라서 유사정도를 계산하고 각 개념간의 하위개념들의 연결정도와 공유된 하위개념의 정도에 따라서 연관정도를 계산한다. 이러한 유사정도와 연관정도를 이용하여 추론 결과를 설명함으로써 유사성과 연관성을 이용한 CSN의 유연한 추론과정을 잘 설명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설명 알고리즘의 수행과정을 보이고 타당성을 검토한다. It is well known that the conventional symbolic approach suffers from lacking flexibility in representing knowledge and inference. For solving this problem, we have recently proposed the Connectionist Semantic Network(CSN) as a model for flexible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inference based on neural networks. CSN is capable of carrying out both approximate reasoning and commonsense reasoning based on similarity and association which are important factors for human-like flexible inference as evidenced by priming phenomena and aphasia. However, it is the case that neural networks lack transparency in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reasoning, which causes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reasoning proces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xplanation algorithm for CSN using conceptual similarity and association. Our method, first, extracts important concepts relevant to the inference results by analyzing weights in concept level and then calculate similarity and association. While the similarity is calculated in terms of the degree in which two concepts share their subconcepts, the association is calculated in terms of the degree in which two concepts are correlated. Using similarity and association, we can better explain the flexible inference based on CSN.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method is powerful and flexible in explaining connectionist inference.

      • KCI등재

        부산측후소(釜山測候所)를 중심으로 본 근대기 측후소 건축의 설치과정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고찰

        김영분,기수,Kim, Young-Boon,Kim, Ki-Soo 한국건축역사학회 2014 건축역사연구 Vol.23 No.2

        This study researched changes over time regarding the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meteorological station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meteorological station construction using the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Busan Meteorological Station. First, meteorological stations were located in port areas, and then moved to high altitude areas for stable meteorological observation beginning in the transition phase. Here, office buildings and residences were joined, but were separated due to the increase in functions from the stabilization phase. Second, as for spatial composition, in the establishment phase, existing buildings were used, and the scale of newly constructed buildings differed according to time and area. However, after the Japan-Korea Annexation, with increased funds and increased observation equipment, floor plans subdivided by function started to appear. In the stabilization phase, space was subdivided with redundancy due to the increase in functions. In the wartime transition phase, '一' shaped floor plans with redundancy became the norm. Meanwhile, the location of the maritime customs where the first meteorological observations took place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s, and the loc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Busan Temporary Observatory built in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 transition phase (1905) were investigated. Also,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Busan Meteorological Observatory, newly constructed before 1934, the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era meteorological observatories were studied.

      • KCI등재

        近代期 釜山 主要建築物의 立地 및 計劃的 特性에 관한 硏究

        김영분(Kim, Young-Boon),기수(Kim, Ki-Soo) 대한건축학회 201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9 No.3

        This study focuses on the position and project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building structures of the modern times in Busan, focusing on the urban districts and major building structures developed through the effect of historical events, changing times. The major building structur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ere mostly built on the street intersection. They were built in the manner of th the western building style and their symbolic emphasis was identified. This was a result of the colonial policy that integrated urban & construction planning. Meanwhile, some of the major building structures concentrated in a single district and disregarding the major roads were identified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ct. It was for the development of city of Busan was centered around the district where the Choryang Waegwan was located since the Chosun dynasty. Busan also has building structures built with the influence of economy, society, and convenience, with no relations to major roads and streetcars. There are a number of building structures were not built following the western construction styles, which had rather simplified construction formats and some other building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trends of time, as well.

      • 유연한 지식 표현과 추론을 위한 연결주의적 의미구조의 모델

        김영분(Youngboon Kim),민창우(Changwoo Min),명원(Myung Wo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1A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기호주의적 인공지능이 가지는 기호체계와 의미체계의 구조 차이에 의한 brittleness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Roman Jakobson이 정의한 유사성(similarity)과 인접성(contiguity)에 기반한 추론을 수행할 수 있는 연결주의적 의미공간 모델 CSN(Connectionist Semantic Network)을 제안한다. CSN은 상위개념과 그 개념을 구성하는 구체적 하위개념의 구조를 가지고 이들의 상호 연결 부분을 학습함으로써 의미의 기본적인 두 측면 즉, 유사성과 인접성에 기반한 추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델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사성과 인접성을 사용한 추론 예제를 가지고 실험하여 제안한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며, 신경망을 사용한 정보처리가 기호주의적 방법에 비하여 유연함을 고찰한다.

      • KCI등재후보

        지방공기업 커뮤니티센터 표준 모델 연구 : 인천시설공단의 도입 사례를 중심으로

        김영분(Kim, Young boon),홍왕기(Hong, Wang ki),곽원석(Kwag, Won seok),유진주(Yu, Jin ju),강신희(Kang, Shin hee) 한국지방공기업학회 2020 한국지방공기업학회보 Vol.16 No.1

        본 연구는 지방공기업 경영혁신의 방안으로써 관리 중인 공공시설물에 「시민 중심의 커뮤니티센터 표준 모델」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사회 경제적 변화에 따라 정부와 기업, 공기업의 역할과 서비스 질은 달라져야 하며 특히 공공분야에서는 보다 다양한 혁신정책으로 시민 만족 제고에 노력해야 한다. 이에 시설관리공단 유형의 공기업들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하기 위해서는 시설물을 하드웨어적으로 단순하게 ‘관리’한다는 시각을 전환하여, 소프트웨어적 관점으로 시설을 ‘운영’하는 단계까지 나아갈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시민 요구의 다양화 및 시민 수준 향상에 부응하여 ‘시설’이라는 공간을 바라보는 관점을 혁신하고 시민과 함께 공간을 조성해 나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기업 혁신과 시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 대안으로써 지방공기업형 커뮤니티센터 표준 모델을 제안한다. 표준 모델의 실제성을 높이기 위해 인천시설공단의 실제 도입 사례를 제시하여 타 지방공기업에의 적용 및 확산 가능성을 제고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tandard model of citizen-centered community center that is able to apply to public facilities administrated by regional facilities corporation as management innovation. Advent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uses socio-economic changes, so qualities of services and role of local public enterprise have to be changed. Especially, the public sector has to endeavor to enhance citizen s satisfaction by various innovation policies. So for corporate sustainable management, facilities corporation typed public enterprise changes view of management from hardware-wise to software-wise. For this change, in response to citizen s diverse demand and improvement of a level, facilities corporation has to innovate the way of looking facilities as concept of space and create new space with citizens. This study suggests standard model of community center specialized in local public enterprise as the specific measures of innovation and fostering civic participation. An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raising applicability and spread possibility of community center to other local public enterprises by analysis of application cases of Incheon facilities corporation.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 유연한 추론을 위한 연결주의적 지식 표현 구조

        민창우(Changwoo Min),김영분(Youngboon Kim),명원(Myung Wo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7 정보과학회논문지(B) Vol.24 No.6

        기존의 기호주의적 인공지능 시스템이 지식을 표현하고 추론하는데 있어서 유연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것은 기호주의적 지식표현 방법이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구조를 반영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유연한 지식표현과 추론을 위한 연결주의적 접근방법으로써 신경망에 기반한 새로운 지식표현과 추론체계인 Connectionist Semantic Network(CSN)을 제안한다. CSN에서 지식은 개념을 나타내는 상호연결된 노드로써 표현된다. 각 상위개념은 그것과 연관이 있는 하위개념의 네트워크 형태로 표현된다. 각 개념들 사이의 연결은 유연한 추론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사성과 연관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CSN에서, 추론은 관련된 개념들의 활성화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파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CSN이 유연한 지식표현과 추론에 효율적인 구조라는 것을 보인다. It is well known that the conventional symbolic approach suffers from lacking flexibility in representing knowledge and inference. It mainly attributes to the fact that symbolic knowledge representation does not well reflect semantic structure to be represented.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a connectionist approach to flexible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reasoning. We propose the Connectionist Semantic Network (CSN), a new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reasoning system based on neural networks. In the CSN we represent knowledge as a network of interconnected nodes representing concepts, Each high level concept is, in turn, represented by its semantic structure, a network of its associated subconceptual components. Connections incoporate similarity and association between concepts, which are important for flexible inference. In the CSN inference can be done by propagating the activations of pertinent conceptual nodes through the network. Our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SN is an efficient structure for flexible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inference.

      • 시뮬레이티드 어닐링의 생성 메카니즘이 최적화 성증에 미치는 영향의 실험적 분석

        김영분,명원 崇實大學校 生産技術硏究所 1995 論文集 Vol.25 No.2

        시뮬레이티드 어닐링 (simulated annealing)은 고체를 고온으로 가열하였다가 서서히 냉각시킴으로써 그 고체의 강도나 결정성을 향상시키는 어닐링이라는 물리적 과정을 모방한 최적화 알고리즘으로 쿨링 스케줄(cooling schedule)에따라 최적화 성능이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쿨링 스케줄뿐만 아니라 생성 메카니즘(generation mechanism)이 시뮬레이티드 어닐링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분석하고 효율적인 생성 메카니즘의 특성을 제안한다. 대표적 최적화 문제인 TSP에 대하여 시뮬레이티드 어닐링을 적용함에 있어서 다양한 생성 메카니즘을 정의하고, 각각의 생성 메카니즘에 대한 최적화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제안된 특성의 타당성을 고찰한다. Simulated annealing is an algorithm which is useful for solving combinatorial optimization problems since it allows to find near-optimal solutions. In simulated annealing the performance largely depends on its cooling schedule which describes how to reduce temperature and at any given temperature how many state transitions are made to reach thermal equilibrium.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a generation mechanism on optimization performance in simulated annealing. We experiment with TSP(Travelling Salesman Problem) by defining various generation mechanisms and analyze their performances. From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we derive some of important characteristics required for a good generation mechanism.

      • KCI등재

        실직자의 심리사회적 대처기능 향상을 위한 위기개입 프로그램 개발

        유순,영분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998 한국가족복지학 Vol.- No.2

        실직이라는 위기가 개인의 심리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으로 상실감과 우울, 자살, 정신질환, 스트레스와 신체적 반응, 가족관계 등이 논의되고 있다. 실직자의 심리사회적 기능 향상을 위한 개입 지침이 제시되고 있으며, 개입 형태로는 Group Work과 위기개입이 제안되고 있다. 연구자들에 의하여 개발된 실직자의 심리사회적 기능 향상을 위한 위기개입 집단 프로그램은 6회로 구성되어 있고 각 회 2시간씩 진행된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실직에 대한 감정 이해, 가족관계 개선, 의사소통 기술 향상, 우울감 해소, 자신감 고취, 자기주장능력향상, 구직기술습득, 자조집단 형성 등이다. 끝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몇 가지 제안점을 논의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