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近代朝鲜移民对中国东北地区水田农业发展的影响(1875~1945)

        金?(김영) 이주사학회 2017 Homo Migrans Vol.17 No.-

        김영의 〈근대 중국 동북 지역 벼농사 발달에 대한 조선인 이주민의 영향 연구〉 이란 논문은 근대 중국 동북지역의 벼농사는 장장 200여 년간 계속된 봉쇄령이 점차 폐지되는 와중에, 관내 이민의 밭농사 중심의 농업 개발의 기반 위에서, 선진적인 냉지 벼농사 기술과 경험을 가진 조선인 이주민들이 중국 동북 지역으로 이주하는 과정에서 개시되고 파급되었으며, 그들은 줄곧 이 지역 수전농업자원 개발의 주요 노동력과 직접 담당자들이기도 하였다. 근대 동북지역 벼농사는 뒤늦게 19세기에 들어와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지만 벼농사 개발 과정에서 수준 높은 벼농사 기술과 경험을 가진 조선인 이주민에 의해 추진되었고 이들 조선인 이주민은 조선에서의 도작법을 도입하고 활용하면서 거듭되는 실패를 겪으며 중국 동북지역 각지 실정에 알맞는 냉지 도작법을 찾아냈고 줄곧 담당해 왔기 때문에 이 곳의 벼농사는 기나긴 발전단계를 거치지 않고 단 70년(1875~1945) 의 짧은 기간에 급격한 발전을 이루었다. 1945년 일제통치로부터 해방될 때 벼는 이미 동북 지역 6대 작물 중의 하나로 급성장 하였으며 수전은 동북 지역의 최북단 일부 지역을 제외한 동북 전역에 분포되었고 동북지역 수자원 개발이 조선인 이주민들의 벼 재배와 함께 개시되고 발전되기 시작하였다. 그 후로 수리 시설 개발은 점차 농업 발전에 없어서는 안 될 기본 조건으로 부상되어 갔다. 중국동북지역 벼농사가 발달하던 시기는 일제의 조선 식민지화, 일제의 중국 동북지역에 대한 침략세력의 침투와 점령, 전면적인 대륙침략전쟁시기와 겹치고 있었다. 일제는 대륙침략에 줄곧 벼농사에 종사하는 조선인 이주민을 이용하는 정책을 펴왔기 때문에 주로 조선인 이주민이 담당하고 있었던 벼농사는 중국 국가 안전을 위험하는 우려도 사기도 하여 벼농사는 복잡한 모순과 시련을 겪으며 발전해 갈 수 밖에 없었다. 위만주국시기 일제는 중국인을 주로 밭농사에 종사시키고, 일본인과 조선인 이주민이 벼농사에 종사하도록 하는 노동의 민족적 분담현상을 강화하는 정책을 시행하였기 때문에1945년 일본이 투항했을 때 현지 중국인들은 여전히 벼 재배에 대한 경험과 기술이 부족하였다. 중국동북지역 벼농사가 전체 농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그다지 크지 않아 이 지역 농업발전 전반에 대한 영향력이 일정한 한계가 있겠지만, 이 문제에 대한 연구는 중국동북지역 농업 근대화의 독특한 특징 및 중국 조선족 형성에 관한 문제연구를 한층 깊이 하도록 한다. Study on Influence of Korean immigrants in Modern Times on Agricultural Development of Paddy Fields in China Northeast Area written by Jin Ying demonstrates that modern paddy agriculture in Northeast area, after 200-year long seclusion from outside world, was brought in by Korean immigrants with the advanced cold-area rice farming techniques and expertise in the process of cross-border immigration to Northeast area and developed on basis of inland migrants’ dry land farming techniques. Korean immigrants had always been the main labor force and direct players in the development of paddy agricultural resources in China Northeast area. In spite of the late start of modern paddy agriculture in Northeast area, rice had become the sixth most important crop during a short period of 70 years (1875-1945), thanks to the Korean immigrants with the advanced techniques who utilized rice cultivation method brought from Korea in the practice of rice farming, and innovatively created and spread the techniques and expertise of hardy single cropping Japonica rice cultivation that are applicable everywhere in Northeast area. Paddy fields can be seen in any part of the Northeast except the northernmost. Irrigation development had become the essential basis for agricultural development in the Northeast area. However, paddy agriculture also experienced obstructions and interruptions because of threatening issues to the China’s national security during Japan’s imperialist invasion to and occupation of the Northeast when Japan expanded its interests in the Northeast with the immigration of Koreans and with rice planting by Korean immigrants. In the period of the puppet state of Manchuria, Japanese authority forcibly demanded that paddy agriculture should only be practiced by Japanese and Koreans. This led to the fact that local Chinese lacked the expertise and techniques of rice farming of paddy fields even after Japan’s surrender in 1945. The study on this issue will be of assistance to profoundly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 of agricultural modernization of China Northeast area, and will help to lead the study on the formation of Korean nationality in China to depth.

      • KCI등재후보
      • 신·구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2중 생물영역에 대한 비교 연구

        김영,조운복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0 科學敎育硏究報 Vol.17 No.-

        새 교육과정에 의해 개편된 중학교 과학 2의 5종 교과서 중 생물영역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고, 종래의 과학 2 교과서의 내용과 상호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구 교육과정의 교육목표는 포괄적인 총괄목표를 제시하고, 이에 따라 다시 영역별로 도달목표를 세분하였으며, 구 교육과정에서는 4개 항목이었으나, 신 교육과정에서는 5개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2. 신·구 교육과정은 모두 학년당 5개 항목으로 목표가 세분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구 교육과정에서 생물체내의 물질대사과정의 이해로 된 생물영역의 목표가 생물체의 구조와 기능의 이해로 바뀐 것을 제외한 나머지 4개 항목에서는 거의 유사했다. 3. 신·구 교육과정 모두 지구과학, 생물, 물리, 화학의 4영역으로 구분이 명확하며, 물리영역을 제외한 3영역의 대단명이 바뀌었다. 4. 실험목표를 분석해 본 결과 신·구 교과서 모두 원리와 법칙응용을 목적으로 한 실험이 가장 많았고, 과학적 창조능력을 신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실험은 전혀 없었다. 5. 신·구 과학과 지도 및 평가상의 유의점 비교를 보면 구 교육과정에 있던 환경의 중요성 인식과 인구문제와 성에 대한 도덕적 가치항목은 신 교육과정에서 빠졌으며, 신 교육과정에서는 구 교육과정에 없던 과학에 관련된 학습내용 개발항목이 새로이 제시되어 있었다. 평가상의 유의점은 신·구 교육과정 모두 2항목으로 내용이 같았으며, 평가방법은 구 교육과정에서는 3항목, 시 교육과정에서는 4항목으로 앞의 3항목은 구 교육과정과 내용이 유사하였다. 6. 영역별 강조도를 보면 구 교과서에서는 물리영역이 가장 강조되었으나, 신 교과서 5종에서는 A교과서(물리영역강조)를 제외한 B,C,D와 E 교과서에서 생물영역을 가장 강조하였다. 실험, 관찰을 영역별로 보아도 신·구 교과서 모두 생물영역의 실험, 관찰수가 가장 많았으며, 신 교과서에서는 B와 E교과서가 거의 비슷하게 가장 많았다. 연구는 교과서에서는 B와 E교과서가 거의 비슷하게 가장 많았다. 연구는 구 교과서에서는 생물영역이 13회로 가장 많았으며 신 교과서 5종 중 B, C와 D교과서에서도 구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생물영역에서 가장 많았다. 읽을 거리, 익힘문제 등은 신·구 교과서에서 현저한 차이가 없으며, 종합문제는 신·구 모두 각 영역별로 1편씩 평균 4편이었다. 그림과 사진은 구 교과서 321편에 비해 신 교과서 5종 모두 증가하였으며, 표는 신·구 교과서에서 평균 19편, 21편으로 거의 유사했다. 물음은 구 교과서에서는 없었으나, 신 교과서에서 보완되었다. 생물역역에 대한 신·구 교과서의 총면수는 신 교과서 B에서 가장 많았고, C에서 가장 적었으며, 5종 모두 구 교과서 보다 늘었으며, 실험도 10회인 구 교과서에 비해 신 교과서에서는 11.8회로 더 많았고, 구 교과서에 없던 부록은 신 교과서 A와 C를 제외한 B,D,E 교과서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생물영역의 단원구성을 보면 구 교과서에서는 대단원 1개와 소단원 3개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신 교과서에서는 소단원이 1단원 줄어 2개로 되어 있었다. 7. 교과서 내용면을 볼 때 수준으로는 신·구 교과서 모두 조직과 기관이 가장 강조되었으며, 구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신 교과서 A, B, C에서는 세포수준을 다루었으나, 신 교과서 D와 E에서는 다루지 않았다. 신·구 교과서 모두 분자, 개체군, 군집, 생물권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주제로는 신·구 교과서 모두 구조와 기능이 가장 강조되었으며, 구 교과서와 신 교과서 A, C, D와 E에서 다루었던 생물 개념의 역사 주제는 B교과서에서는 다루고 있지 않았다. 신교과서에서는 구 교과서에 비해 구조와 기능이 덜 강조되고, 조절과 항상성이 더 강조되었으며, 구 교과서에 있던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생물과 환경주제는 빠져 있었다. 8. 실험과 관찰은 신 교과서 D는 14항목, A와 B는 13항목, E는 12항목으로 10항목인 구 교과서보다 증가하였으나, 신 교과서 C는 7항목으로 오히려 감소하였다. 실험주제는 신·구 교과서가 거의 같은 내용이었다. 9. 재료 생물은 6종 10회 사용된 구 교과서보다 신 교과서 A,D와 E교과서에서는 증가하였으나, B와 C교과서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신·구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된 재료는 없었다. 10. 약품 사용은 7종 7회 사용된 구 교과서보다 신 교과서 B와 D에서 증가하였으나, A, C, E교과서에서는 오히려 줄었다. 신·구 교과서 5종 평균은 7.8종으로 구 교과서와 거의 유사했다. BTB 및 녹말용액은 신·구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기구 사용은 신 교과서 5종 모두 구 교과서보다 증가하였다. 11. 그림 및 사진은 신 교과서 A, C와 D에서는 88편, 91편, 83편으로 구 교과서보다 늘었으나 B와 E교과서에서는 74편, 61편으로 80편이 실린 구 교과서보다 오히려 줄었다. 그림과 사진의 내용은 신 교과서 5종 모두에서 생물의 내부구조에 관한 그림 및 사진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생물학적 법칙, 작용에 관한 모식도 및 사진, 기타 순으로 생물학적 법칙, 작용에 관한 모식도 및 사진이 가장 많았던 구 교과서와 차이가 있었다. The present work was undertaken to obtain data for developing an ideal middle school biology curriculum in Korea. The new and the former editions of Korea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and compared each other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target of the new and the former curriculum presents all-inclusive omnibus goals, and subdivides the reaching goals in each domains. It presents 4 items in former curriculum, but 5 in the new one. 2. The targets in both the new and the former curriculums are subdivided into 5 items in each school year. In view of the contents, 4 items were almost similar to each other except 1 item in which the target of biology area has changed from understanding the metabolism process of living organism in the new curriculum. 3. Both the new and the former curriculum were clearly divided into 4 areas of earth science, biology, physics and chemistry. And the large unit name of 3 areas except physics were changed. 4. An outcome of analyzing the experimental purpose shows that the most experiment both i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was aimed to apply principles and rules, but there was not an experiment aimed to achieve the extension of the scientific creative abilites. 5. The comparison of guide and tips on appreciation between the new and the former science shows that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for environment, the population problem and the moral value for sex were exempted in the new curriculum and development item for studying material concerned with science was newly presented in the new curriculum. Both the new and the former curriculum have 2 items of the tips on appreciation and the contents were same. The former curriculum has 3 items and the new one has 4 in the appreciation method and the first 3 items of the new curriculum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former one. 6. Upon noticing the emphasizing degree of each area, the physics area was most emphasized in the former textbook. But B, C, D and E except A in the new textbooks emphasized the area of biology. Both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have the most frequency of experiment and observation in area of the biology. And B and E textbook competed in the frequency of experiment and observation among the 5 kinds of new textbooks. The investigation was presented 13 times in the biology area of the former textbook. B, C and D among new textbooks have the most number of investigation in the area of the biology. The reading material and the practice don't have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There were 4 pieces of general question in average with one piece of each area both i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The illustration and picture in the new textbooks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former one which contains 321 pieces. There were 19 pieces of tablet in average in the new textbooks and 21 pieces in the former one, thus being similar to each other. There were no inquiries in the former textbook but supplemented in the new ones. The most in number of the total page of the biology area was the new textbook B and the least was the textbook C. All of the new textbooks preceded the former one. The experiment was also increased in the new textbooks, being 11.8 times compared to 10 times in the former one. The appendix which was not contained in the former texbook was also not treated in the new texbook B, D and E except A and C. Upon noticing the structure of unit, the former textbook consisted of one large unit and 3 small units. But the new one had 1 less of small units. 7. Over the level of the contents of textbooks, the tissue and organ was most emphasized both i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And the new textbook A, B, C treated the level of cell as the former textbook did so ut the new textbook D and E didn't. The molecule, population, colony and biosphere were not treated both in the former and the new textbooks. In view of the subject, the stucture and function were most emphasized both i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 The history of biological concept which was treated in the former and the new textbook A, C, D, E was not treated in the new textbook B. The structure and funcion was less emphasized and the regulation and homeostasis was more done so in the new textbooks than the former textbook. The biological basis of action and the living organism and environment in the former textbook were exempted in the new one. 8. In view of the experiment and observation, the new textbook D had 14 items, A and B has 13 items and E had 12 items, thus being increased compared to 10 items of them in the former one. But those of the new textbook C was decreased to 7 items. The subject for experiment had the same contents in both of them. 9. The living organisms for material which was used 10 items with 6 kinds in the former one was increased in the new textbook A, D, E, but decreased in B, C. There were no commonly used material in the new and the former textbooks. 10. The use of chemicals which was used 7 times with 7 kinds in the former textbook was increased in the new textbook B, D. But decreased in the A, C and E books. The average of the 5 kinds of new textbooks were 7.8kinds, thus being similar to that of the former one. BTB and starch liquid were commonly used in the former and the new textbooks. The use of appliances in the new textbooks was increased than the former one. 11. The illustration and picture in the new textbook A(88 pieces), C(91 pieces) and D(83 pieces)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e former textbook(80 pieces). But the new textbook B(74 pieces), E(61 pieces) were decreased. In view of the contents of the illustration and picture, the most in number of the illustration and picture about the living organism's internal structure was follwed by the drawing and picture of the biological principle and operation and etc. in the 5 kinds of kinds textbooks, thus being different from the former one in which the most in number was the drawing and picture of the biological principle and operation.

      • KCI등재

        독서, 자기성찰과 세계인식의 통로

        김영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5 한국문화연구 Vol.8 No.-

        이 논문은 자기를 올바로 성찰하고 세상을 바르게 인식하기 위한 독서론을 모색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성리학자 퇴계, 율곡과 대표적인 실학자 연암과 담헌과 다산의 경우를 검토한다. 이 글에서는 먼저 독서는 우리에게 자기성찰의 계기를 마련해줌을 지적하였다. 책은 선현들의 말과 행적을 담아 우리에게 전해줌으로써 우리를 되돌아보게 하는 시간을 갖게 하며 어떻게 살 것인가 하는 문제를 생각하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또한 독서는 역사와 현실을 올바로 인식하고 바람직한 세상, 인간적인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논리와 힘을 제공해준다. 과거의 역사적 경험을 알려주는 역사서나 인류의 지혜를 담고 있는 사상서들은 그 시대에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는 데 많은 시사점과 교훈을 전해준다. 그런 의미에서 독서는 자기성찰과 세계인식의 통로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지식인들은 자기성찰을 위해서는 먼저 사서삼경과 같은 유가경전을 읽어야 하며, 현실세계를 올바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역사서 특히 우리나라의 역사서와 현실개혁의 의지와 경세제민의 구상이 담긴 저작들을 읽으라고 권했다. 자기성찰과 세계인식을 위한 독서법으로는 올바른 문제의식의 설정과 야독을 통한 집중적인 독서법, 그리고 책을 읽으면서 그것의 이치와 활용법을 생각하는 궁구완색법, 자기의 생각과 저자의 저술의도 간의 상호소통을 강조하는 ‘이의역지’의 독서법을 제론하였다. 이러한 독서법은 단지 책에 있는 지식과 정보를 이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자기의 생각을 확장하고 현실세계를 변화시키는 힘으로 작동하는 데까지 이른다는 의미에서 ‘수동적 독서’가 아니라 ‘창의적인 독서’라 할 것이다. This thesis deals with the discussion on classic reading that provide self-reflection and the point of view on existing world. Therefore, this thesis search for the cases of Lee Hwang, Lee Yi, Park, Ji-won, Hong Dae-Yong and Jung Yak-yong. First of all this classic reading provide the opportunity of self-reflection. Secondly it offer recognition on historical reality that we live. In this point, the classic reading is the way of self-reflection and recognition on historical reality. For the right recognition on the existing world, it would be recommended to read books on history and culture in order to reform the real world, through intensive reading method. I believe that every one has a right to excellent reading instruction, delivered by highly qualified and prepared Scholars. Korean traditional scholars deliver us intensive reading as desirable way of reading for self-reflection and recognition on historical reality.

      • KCI등재

        조선시대 <列國志> 번역본의 유통과 향유 - 필사본을 중심으로

        김영 중국학연구회 2016 中國學硏究 Vol.- No.77

        The Ming Dynasty historical novel 『Lie-guo-Zhi』 is a representative work which is brought to the Joseon Dynasty and enjoy a lot of popularity with 『San-guo-Zhi』, 『Shui-hu-Zhi』 among many readers. The fever of reading 『Lie-guo-Zhi』 in Joseon Dynasty has been presented through Chinese edition, translated manuscripts, adapted versions, and the various literature records. This study is to investigating the translation aspects and enjoyment of translated manuscripts of <Lie-guo-Zhi> Trend and enjoyment of translated manuscripts cause expansion of readers in terms of studies in the history of novels, and they were preferred in a sense that it is a continuance of realizing studies with ethical factors that can materialize morale human and society. The results are highly expected to be the basis for an overall study of the translated version of 『Lie-guo-Zhi』 in the future. Studying translated novels is an extremely difficult task demanding much time since I must compare while carefully reading both the original and Korean copy, but it has it significance from the view that it can not only correct the pieces recognized as original works of Korean, but also widely observe the attitude of recognizing the novels and the situation of distributing books at the time through such proces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