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Digital Setting Perm시 트리트먼트제 사용에 따른 모발의 Wave 형성

        김양자,나명석 한국미용학회 2007 한국미용학회지 Vol.13 No.1

        The present study purposed.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on digital setting permanent wave particularly useful for beauty artists in the field of beauty service by comparing hair treated with a hair treatment agent with untreated on healthy curl hair and straight hair and damage hair. In order to investigate hair curl and hair damage resulting from digital setting permanent wave, this study experimented on healthy curly hair, straight hair and damaged hair. Hair curls were photographed with a digital camera and the forms of hair curls were compared. In case of healthy curly hair and healthy straight hair, the curl wave of hair treated with a hair treatment agent formed elastic S curls with clear ridge compared to that of untreated hair, and untreated hair formed natural S curls. In case of damaged hair, hair treated with a hair treatment agent formed natural S curls and untreated hair formed stretched S curls.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use of a hair treatment agent is considered effective in preventing hair damage and forming permanent wave even for healthy hair. Moreover, it is believed to be most important to care for hair preventively in order to express individual personality and the beauty of hair.

      • KCI등재

        미술치료자의 선호매체에 관한 연구

        김양자,최윤희,김태완,권젬마,김광웅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of therapy media of art therapists and it's therapeutic significance. The subjects were 103 art therapists working in Seoul area. A questionnaire produced by the present researchers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It was found that art therapists preferred ‘dry-types of art media’ in general because of easy handling and safe protection of clients and therapists themselves. They had low preferences in ‘untypical art media’ and ‘wet-types of art media’ because of difficult handling and possibility of making clients regressive. According to therapists career, there was some differences. Bu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rapy media preference and art major. It was also found that therapy media preference of therapists were reflected and affected by chronological changes of social and cultural aspects. In the next study, the therapeutic influence of preference media on art therapy should be analyzed. And to gain the deep understanding about clients, we will need to find a detailed review about new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alteration of times.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자의 선호매체를 조사하고 치료적 의미를 살펴보는데 있다. 수도권 지역에 종사하는 미술치료자를 대상으로 103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빈도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미술치료자는 비교적 통제가 가능하고 대상자와 치료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평면건식매체를 가장 선호하였다. 둘째, 미술치료자는 통제가 어려운 비정형매체와 평면습식매체를 선호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셋째, 미술치료자의 치료 경력에 따라 질적인 차이를 보였다. 넷째, 미술치료자의 전공여부는 선호매체에 별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술치료자들은 선호매체와 선호하지 않는 매체가 있고, 미술매체는 사회문화적인 시대 변화를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미술치료자는 대상자들의 욕구를 알아차려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매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추후 미술치료자의 선호매체가 구체적으로 임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시대변화에 따른 인간 이해를 위해 시대적 변화에 따른 매체선호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혁신초등학교 학부모가 경험한 의사소통 특성 연구

        김양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초등학교의 합리적 의사소통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학부모가 경험한 의사소통의 특성을 탐구하는데있다. 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사례연구를 통해 혁신+학교인 들꽃초등학교 학부모가 교사와의 관계에서 어떤 의사소통을 경험하였는가를분석하였다. 학부모 7명을 대상으로 혁신학교에 대한 경험, 담임교사와의 소통 경험, 학교운영에 관한 소통경험, 일반적인 대화 경험, 학교참여 의식에 대한 반구조화된 질문지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Merriam(2009)의 순차적이고 순환적 방법을적용하여 3개 주제, 6개 범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들꽃초등학교는 온 & 오프라인을 통한 정보개방과 공유, 대등한 관계에서의 참여, bottom-up 소통방식으로 교사와학부모 간의 합리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는 비권위적인 태도, 배려와 존중하는 마음, 합리적인 설명으로학부모와 진정성으로 소통하고 있었다. 셋째, 학부모는 학교에 대한 기대감과 학교에 대한 이해, 학부모간 상호교류 활동으로 학교와교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었다. 합리적 의사소통에서 드러난 한계에는 학부모들이 일부 교사로부터 느끼는 불편과 실망, 그리고 학부모 상호관계에서의 내적인 대립과 불만이 있었다. 결론 혁신학교에서 합리적 의사소통으로 민주적인 자치공동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소통 가능한 적정 학교 규모, 교사들의 진정성있는 태도, 학부모 연수를 통한 학부모의 의사소통 역량 향상, 졸업생 학부모의 학교 참여 등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experienced by parents in order to find the possibility of rational communication in innovation elementary schools. Methods This study used a case study method and analyzed how parents of Deulkkot Elementary School, an innovation plus school, experienced communication with teachers. Seven parents were interviewed in-depth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on experience in innovative schools, communication experience with homeroom teachers, communication experience in school management, general conversation, and school participation consciousness. The collected data were derived from three topics and six categories by applying sequential and cyclical method of Merriam(2009). Results First, Deulkkot Elementary School strived for reasonabl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through online and offline information opening and sharing, participation in equal relationships, and bottom-up communication. Second, the teacher tried to communicate with parents with truthfulness through an unauthorized attitude, a mind of consideration and respect, and a reasonable explanation. Third, parents actively supported schools and teachers through expectations for schools, understanding of schools, and mutual exchange activities between parents. The limitations revealed in rational communication were the inconvenience and disappointment that parents felt from some teachers, and internal confrontation and dissatisfaction in parent interaction. Conclusions In order to realize a democratic autonomous community through rational communication in innovative schools, efforts such as the appropriate size of schools that can communicate, sincere attitudes of teacher, parents'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parent training, and participation of graduated parents in schools are necessary

      • KCI등재
      • "농촌관광" 관련 용어에 관한 연구

        김양자 梨花女子大學校 師範大學 社會生活科 2000 綠友硏究論集 Vol.39 No.-

        농촌관광의 개념은 국내에서 비교적 생소하며 다만 도시 관광과 반대되는 것쯤으로 인식되고 있을 다름이다. 그러나 영국, 프랑스, 일본 등지에서는 농촌관광을 녹색관광과 동의어로 사용하고 있으며 1980년 초반부터 이에 깊은 관심을 표명해 왔다. 본연구에서는 농촌 관광이 하나의 용어로 등장한 1980년대 이후 부터의 각종 연구물을 중심으로 농촌 관광 및 그와 유사한 용어를 규명하려 한다. ‘녹색관광’, ‘지속가능한 관광’, ‘저영향 관광’, ‘대안관광’, ‘새로운 관광’, ‘생태 관광, 에 관한 여러 논의를 규명할 것이며 구체적으로 이들 용어가 등장한 발생 동기, 실행 방법, 실행사례를 소개한다. 이 모든 관광 형태의 공통성은 농촌 지역같은 민감하고 취약한 지역에서는 대중 관광의 문제점을 배제하자는 것이다. 농촌 관광의 개발은 지역사회 주민들이 주체가 되어야 하며, 특히 민박 형태가 숙박 시설의 주체가 되어야한다. 개발 이익은 주변 지역(periphery) 또는 지역 사회에 반드시 돌아가야 하며 환경에 영향을 주어서는 안된다는 것이 공통된 목표이다. Rural tourism is unfamiliar word in domestic geography and only known as something opposite to urban tourism. In UK, France, Japan, however, this word is used as synonym of green tourism. They have expressed deep interest in rural tourism since early 1980. This report will explain rural tourism and similar forms like green tourism, sustainable tourism, low impact tourism, alternative tourism, new tourism, eco tourism from papers which consider rural tourism as one of professional words. The research will demonstrate background, form and example of each tourism. Those behaviors try to get rid of problems of mass tourism in the countryside. They have same goal: the inhabitant should lead tourism development; Minbak should be a main accomdation; the benefit of development should be divided to local society; tourism development have not to give negative effect on environment.

      • KCI등재

        한국에서 역전이 연구 동향

        김양자 한국국회학회 2024 한국과 세계 Vol.6 No.3

        본 연구는 한국의 역전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0년부터 2023년 12월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 게재된 135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국에서의 역전이에 관한 연구는 2002년 6월에 처음 발표되어, 급격한 성장을 보인 2005년부터 2023년까지 연 평균 35%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에서 역전이에 관한 분야별 연구 동향은 상담/치료에서 107편(79%), 사회과학, 교육, 문학과 종교, 간호 분야 순으로 나타나 상담/치료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셋째, 연구 대상자를 치료자로 보는 견해 86편(80%), 치료자-내담자로 보는 견해 18편(17%), 내담자로 보는 견해 3편(3%)으로 나타나 역전이 발생에 관한 치료자의 이론적 관점을 살펴볼 수 있었다. 넷째, 연구 방법에 따른 역전이 주제는 양적연구에서는 ‘역전이 관리 능력’이, 질적연구에서는 ‘역전이 관리’와 ‘역전이 활용’이, 이론연구에서는 ‘역전이 활용’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결과 양적연구에서는 역전이는 관리되어야 한다는 입장이, 이론연구에서는 역전이 활용이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 역전이와 관계된 변인 중 치료자의 자아가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치료자의 자아를 강화할 수 있도록 역전이 교육과 무의식적인 역전이 이해와 활용을 확장할 수 있도록 질적연구와 이론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untertransference research trends in Korea and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 selected and analyzed 135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Citation Index(KCI). As a result, first, research on countertransference in Korea was first published in June 2002, and was found to be increasing by an average of 35% from 2005 to 2023, when it showed rapid growth. Second, in Korea, the trend of research on countertransference by field was in counseling/ treatment, with 107 papers (79%), followed by social science, education, literature and religion, and nursing, with it being used the most in the counseling/treatment field. Third, 86 (80%) views of the study subject as a therapist, 18 (17%) views of the therapist-patient, and 3 views of the patient(3%) were found, allowing us to examine the therapist's theoretical perspective on the occurrence of reversal. Fourth,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was most frequently used in quantitative research,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nd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in qualitative research, and "countertransference utilization" in theoretical research. As a result, the position that countertransference should be managed prevails in quantitative research, and the use of countertransference prevails in theoretical research.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countertransference, the therapist's ego was found to have a great influence. Therefore, qualitative and theoretical research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to expand countertransference education and understanding and use of unconscious countertransference to strengthen the therapist's ego in the future.

      • KCI등재

        미술치료에서 매체제공 환경 조건에 관한 연구: 미술매체 수량을 중심으로

        김양자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stable material supply in art therapy.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collected 103 questionnaires from art therapist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in 2018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with the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35%, 29%, 24%, and 12% of the subjects had a career of 10 years or more, 5-10 years, 1-5 years, and less than a year, respectively; second, the number of art materials provided by art therapists was under 50 in 68%, 50-100 in 29%, and 100-200 in 3%; third, the “proper amounts” assessment was the highest among the art therapists with a career of 10 years or longer, and the “small amounts” assessment was the highest among those who had a career of 1-5 years; and finally, clay recorded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being followed by drawing tools, paper, and paints in the orde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a stable art material supply include the number of art materials provided limited under 50 frequent use and the art therapists' abilities of making use of materials, putting proper limits on them, and adjusting to changes. These conditions require a need for ongoing re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에서 안정적인 매체제공 환경 조건이 무엇인지 살펴보는데 있다. 2018년 수도권지역에 종사하는 미술치료사로부터 103부의 자료를 수집하여 빈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 대상의 경력은 10년 이상 35%, 5년 이상-10년 미만이 29%, 1년 이상-5년 미만이 24%, 1년 미만이 12%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사가 제공하는 미술매체의 수량은 50개 미만이 68%, 50-100 미만이 29%, 100-200미만이 3%로 나타났다. 셋째, 10년 이상의 경력자의 ‘적당하다’라는 평가가 가장 높으며, 1년 이상-5년 미만의 경력군에서는 ‘적다’라는 평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사용빈도가 높은 매체는 점토류, 그리기도구, 지류, 물감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정적인 미술매체 제공 환경 조건은 사용빈도가 높은 50개 미만의 미술매체 제공과 미술치료자의 매체활용능력, 미술매체를 적절히 제한 할 수 있는 능력,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사의 꾸준한 재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