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켄터키 블루그래스(Poa pratensis L.) 종자의 보증 기준에 따른 품질 분류와 적용

        김신재,주영규,이재필,김두환,Kim, Shin-Jae,Joo, Young-Kyoo,Lee, Jae-Pil,Kim, Doo-Hwan 한국잔디학회 2009 한국잔디학회지 Vol.23 No.2

        The purpose of seed certification is to preserve the genetic purity and identity of seed varieties.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concerning seed certification procedures and certification standards of Kentucky bluegrass especially used in golf courses. We analyzed data from the seed certification standards of three states (Washington, Idaho and Oregon) in U.S.A. The certification processes both field inspection and laboratory requirement satisfying the minimum seed quality standards. The seed harvesting field must be propagated with the specified class of seeds and requires an adequate isolated distance from other crops. Moreover, the field should be clean and free from the objectionable weeds. The seed analysis tests include a germination rate, a percentage of pure seed, contents of other crop seed, weed seed, and inert matter. The certification standards of the certified seed and the sod quality seed showed general similarity in all three states. The certification standards of the sod quality seed should have less than 0.02% of maximum weed seed. The certified seed should have less than 0.3% of maximum weed seeds. Those certification standards of seed quality should guaranty the quality of turfgrass establishment of golf course. 종자보증의 목적은 종자의 유전적 순수성과 품종의 혈통을 보장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골프장에 사용되는 켄터키 블루그래스 종자의 품질 보증 규정과 절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행하여졌다. 연구 방법은 미국3개주(와싱턴, 아이다호, 오리건주)의 종자 보증과정과 종자 품질 보증 규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보증과정은 포장과 실험실 내에서의 최소 종자품질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종자 수확포장은 정해진 수준의 종자를 파종하여야 하고, 다른작물로부터 일정거리를 격리하여야 한다. 더구나 수확포장은 청결하며 금지잡초로부터 안전하여야 한다. 종자보증 시험은 발아율, 순수종자 백분율, 이종종자, 잡초 및 이물질 함량 검사를 포함한다. 품질보증종자와 뗏장용 종자의 품질기준은 3개 주에서 비슷하였다. 뗏장용 종자의 품질 기준은 최대 0.02%, 품질보증종자의 경우에는 0.3% 이내의 잡초종자 함량을 허용 기준치로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종자품질기준은 종자의 품질을 보장하고 골프코스의 잔디조성 품질을 보장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시술 전 아미노필린 투여가 회전형 죽상반절제술시 서맥성 부정맥의 발생과 혈역학 변화에 미치는 영향

        차광수 ( Cha Gwang Su ),김무현 ( Kim Mu Hyeon ),김영대 ( Kim Yeong Dae ),김진우 ( Kim Jin U ),김신재 ( Kim Sin Jae ),김종성 ( Kim Jong Seong ) 대한내과학회 2003 대한내과학회지 Vol.64 No.6

        목적 : 우관상동맥 또는 우위성 좌회선동맥에서의 회전형 죽상반절제술은 서맥성 부정맥을 초래할 수 있어 예방적 심박조율기의 설치를 필요로 한다. 아데노신은 허혈 또는 저산소증때 세포에서 유리되며 관상동맥 혈류장애와 연관되는 서맥성 부정맥을 매개한다. 아데노신 수용체 길항제인 아미노필린은 저산소증때 유발되는 서맥성부정맥을 예방한다고 알려진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술 전 아미노필린 투여가 회전형 죽상반절제술시 서맥성 부정맥의 발생과 혈역학 변화에 미치는 영향 Background : Rotational atherectomy or rotablation in right coronary artery (RCA) or dominant left circumflex artery (LCX) can cause bradyarrhythmias and requires the placement of prophylactic pacemaker. Adenosine is released endogenously by ischemic or h

      • SCOPUSKCI등재

        피부역류 , 유미성 복수 및 단백소실 장질환을 동반한 유미성 역류증후군 1 예

        김신재(Shin Chae Kim),이승옥(Seung Ok Lee),이수택(Soo Teik Lee) 대한소화기학회 2002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0 No.4

        Chylous reflux syndrome is an entity describing a primary disturbance in which there is a back flow of chyle from its normal pathway from the bowel lacteals through the cysterna chyli and the thoracic duct, into the venous system. It may show itself clinically in many different ways. Small vesicles containing chyle may appear on the skin and discharge milk-like fluid. Occasionally chyle may collect in the serous cavities of the body.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chylous reflux syndrome with complaints of abdominal swelling, edema of lower extremities and scrotum, and small vesicles discharging milk-like fluid on the skin. We performed ascitic fluid examination, several imaging studies, which showed chylous ascites, a mass at the mesenteric base, and the protein-losing enteropathy and a cutaneous chylous reflux. After ingesting a medium-chain triglyceride diet, the generalized symptoms improved, and the ascites, swelling, and vesicles on the skin disappeared gradually. (Korean J Gastroenterol 2002; 40: 272-277)

      • KCI등재

        일제강점기 경주 소재 문화재의 지정 현황과 성격

        김신재 ( Kim Sinjae ) 대구사학회 2021 대구사학 Vol.143 No.-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때 ‘보물’과 ‘고적’으로 지정된 경주 소재 문화재의 현황을 파악하고 해방부터 1960년대 말까지로 국한하여 경주 소재 문화재의 지정 추이를 분석하여 일제강점기의 문화재 보존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일제강점기 때 지정된 경주 소재 문화재가 문화재보호법 제정 전후로 지정 해제된 것은 없다. 민족의식을 고취할 우려 때문에 일제강점기에 문화재로 지정받지 못하다가 해방 후 지정된 경주 소재 문화재는 없다.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문화재가 재지정된 후 1960년대 말까지 경주 소재 문화재로 금관총 금관, 감은사지 삼층석탑 등이 ‘국보’로, 양동마을의 무첨당과 향단 등 조선시대 목조 건축물이 ‘보물’로, 신라 왕릉 다수가 ‘사적’으로 신규 지정되었다. 일제가 경주 소재 문화재를 지정하여 보호한 것은 식민지 문화정책의 일환이었다. 일제강점기 때 경주 소재 문화재 보존정책은 식민지 문화정책의 테두리 안에서 신라문화 유산과 석조건축물 중심이었다. 조선시대를 상징하는 관아 등의 목조건축물은 소홀히 취급되고 신라문화 유산은 민족동화와 문명동화 차원에서 보존과 개발이 되고 제국의 유산으로 관리되었다. 철로와 도로로 인해 훼손된 신라문화 유적지의 원형 회복과 조선시대 및 근대의 문화유적의 복원과 정비에 보다 힘을 기울이는 것이 일제강점기의 문화재 보존정책을 극복하는 길임을 밝혔다.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assets in Gyeongju, which were designated as 'treasures' and 'historic sit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also analyzes the designation trend for cultural assets in the city from the day of liberation to the end of the 1960s in order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asset preservation. No cultural asset in Gyeongju has lost the designation before and after the enact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dditionally, there has been no cultural asset in Gyeongju that had not been designated as a cultural treasure due to concerns over promoting national consciousness but received the designation after the day of liberation. By the end of the 1960s, the Gold Crown from the Geumgwanchong Tomb and the East and West Three-story Stone Pagodas at Gameunsa Temple Site in Gyeongju were designated as National Treasures. In addition, wooden structures from the Joseon Dynasty period, such as the Mucheomdang House and the Hyangdan House in the Yangdong Village, were designated as 'treasures' and many of the royal tombs of Silla were newly designated as 'historical landmarks'. Part of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s cultural policy involved protecting the cultural assets in Gyeongju by assigning them designatio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policy was centered on the cultural assets and stone structures from the Silla period. While wooden structures, such as the magistrate's offices, which symbolize the Joseon period, were neglected, the Sillan cultural assets were preserved and protected as assets of the Japanese Empire to promote national assimilation and civilization assimilation. The study came to a conclusion that making greater efforts to restore the original Sillan cultural and historical sites damaged by railways and roads is the preferable way to overcome the Japanese Colonial Era's policy of preserving cultural assets. (Dept. of korean history, Dongguk University / ksj@dongguk.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