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어(論語)』의 시작과 끝 - 유가(儒家) 소수파 담론과 『장자』(莊子)의 계보 -

        김시천 ( Kim¸ Sicheo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1 시대와 철학 Vol.32 No.3

        20세기 철학사 연구는 한대(漢代)의 문헌 분류 개념인 ‘가’(家)를 서구적 학파(school)와 동일시해 온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철학사 이해는 지난 몇십 년간 새로운 문헌이 발굴되고, 개별 텍스트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였다. 특히 선진 문헌에 대한 텍스트 이론적 연구는 보다 유동적이고 개방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해 주었다. 나는 이 논문에서 루이스(Mark E. Lewis)가 말하는 ‘텍스트 전통’(textual tradition) 개념을 발전시켜, 저자가 아닌 전사자(轉寫者, transcriber) 혹은 전술자(傳述者, transmitter)를 중심으로 『논어』와 『장자』에 접근하고자 했다. 왜냐하면 『논어』를 비롯한 선진 문헌들은 스승 자신의 저술이 아니라 그의 제자들 또는 추종자들에 의해 전사(transcribe)되거나 전술(transmit)되고 엮여진(compile) 텍스트들이기 때문이다. 선진 문헌의 기록자들은 특정 스승의 제자나 추종자들로서, 이들은 글쓰기를 통해 자신들의 이론을 기입하는 근거로 스승을 이용―전통적 표현으로 가탁(假託)―하였다. 기록자들은 자신들의 입장과 실천을 스승의 말로 텍스트에 기입함(inscribe)으로써 스승이 남긴 위대한 가르침의 전술자(transmitter)로 자처함으로써 스승의 권위를 자신들의 권위로 가져오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입장이 달랐던 전술자들의 다양성은 텍스트 내부에 ‘당파적 분열의 증거’(evidence of factional splits)를 남겼다. 『장자』와 『논어』는 이러한 내적 분열의 증거를 보여주는 주요 사례다. 『장자』에 실린 ‘중언’(重言) 중에 공자와 그의 제자들이 등장하는 부분들과 『논어』를 비교, 연구하면 『장자』 텍스트의 성격은 20세기의 철학사 구도와 다른 시각에서 조망할 수 있게 한다. 나는 이 글에서 20세기 철학사적 기술의 도식인 유가와 도가라는 이 분법의 틀로 『장자』에 접근하지 않고, 『장자』 철학의 유래와 그 문제의식을 밝혀내 보고자 한다. 첫째, 『장자』에 등장하는 공자와 그의 제자들에 관한 서사들은 『논어』의 내적 분열과 관계되며, 그 저자들은 ‘덕행파’(德行派) 혹은 ‘안회파’(顔回派)라는 가설을 제안할 것이다. 둘째, 『장자』에 등장하는 공자와 그 제자들에 관한 서사는, 『논어』 소수파(minorité)인 안회파의 소수 문학적 성격의 이야기들로서 재평가될 수 있음을 논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오늘날 우리가 장자 철학 혹은 ‘노장 전통’이라 부르는 사상의 핵심은, 공문(孔門)의 내적 분열의 과정에서 형성된 이른바 ‘소수파-되기’의 흔적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논의들은, 우리로 하여금 『장자』가 유가와 도가 등의 학파와 갖는 관계는 물론 그 사상적 유래와 후대의 ‘노장 전통’에 대해 보다 심화된 연구와 토론을 가능하게 해 줄 것이라 기대한다. Studies on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in the 20th century have tended to equate the Han dynasty's literary classification concept of 'jia'(家) with the western ‘school’. Such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has reached a new turning point as new texts have been unearthed over the past few decades and research on the individual texts has been deepened. In particular, text-theoretic studies on Pre-Ch’in texts enabled a more fluid and open understanding. In this paper, I develop the concept of 'textual tradition' that Mark E. Lewis refers to, focusing on the transcriber or transmitter, not the author. In particular, I tried to approach the Analects and the Zhuangzi. This is because Pre-Ch’in texts are not the writings of the masters themselves, but texts transcribed, transmitted, and compiled by their disciples or followers. The writers of Pre-Ch’in literature are students or followers of a specific teacher, who used the teacher as a basis for writing down their theories through writing― ‘jiatuo’(假託), as traditional expressions. Writers tried to bring the master's authority to their authority by inscribed in the text of their positions and practices in the words of the teacher, and by themselves as transmitters of the great teachings left by the teacher. In the process, the diversity of followers with different positions left the ‘evidence of factional splits’ within the text. The Zhuangzi and the Analects are examples of evidence of this internal split. If we comparatively study the parts in which Confucius and his disciples appear in the anecdotes in the Zhuangzi and the Analects, the nature of the Zhuangzi can be viewed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historiography of the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in the 20th century.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uncover the origin of the philosophy of Zhuangzi and his followers without approaching the Zhuangzi through the framework of the dichotomy of Confucianism and Daoism, the schemas of philosophical history in the 20th century. First, I will propoes the hypothesis that the narratives about Confucius and his disciples appearing in the Zhuangzi are related to the internal diversity of the Analects, and that the transmitters of the narratives are the followers, the 'Virtuous faction'(德行派) or the 'Yanhui faction'(顔回派). Second, it will be discussed that the narratives about Confucius and his disciples appearing in the Zhuangzi can be reevaluated as the stories of a minority literary character of the Yanhui faction, which is a minority of the Analects. Lastly,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core of the ideas that we call the Zhuangzi philosophy or the 'Lao-Zhuang tradition'(老莊傳統) today can be interpreted as a trace of the so-called 'becoming a minority' formed in the process of internal division of Kongzi school. It is expected that such discussions will enable us to further study and discuss the origins of Zhuangzi’s philosophy and the ‘Lao-Zhuang tradition’ later, as well as the relationship of the the Zhuangzi with schools such as Confucianism and Daoism.

      • KCI등재

        정신(精神)과 유희(遊戱)

        김시천(Kim, Sicheon) 한국도교문화학회 2012 道敎文化硏究 Vol.37 No.-

        ‘놀이’와 축제는 오늘날 일종의 문화적 장치이자 인간 본성의 일부로서 다루어진다. 그리고 동양 철학에서 이와 관련되어 단골로 다루어지는 텍스트는 『장자』이다. 이 점에서는 이 논문 또한 이러한 상식에서 벗어나지는 않는다. 하지만 나는 이 글에서 ‘유’에 관한 분석을 통해 놀이에 관한 기존의 논의와는 다른 차원의 요소를 강조하고자 한다. 첫째, 『장자』의 ‘유’(遊)’의 개념, 즉 ‘노닐다’는 말은 ‘놀다’와 ‘놀이’와는 일정한 의미상의 차이가 있다. 그것은 분명 놀이의 요소를 포함하지만 그와는 삶의 차원과 더 가까운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장자?의 ‘유’(遊)’를 ‘놀이 정신’ 혹은 ‘유희 정신’이라 하며 그 자체로 놀이에 관한 담론이라고 접근하는 것은 제고될 필요가 있다. 둘째, 『장자』의 ‘유’(遊)의 개념은 정신적 요소와 관련된다는 점이다. ‘유’는 초월적이거나 종교적인 차원의 것과 관련되기보다 오히려 정치적인 것과 관련되며, 이로부터 기인하는 어떤 ‘정신적 초월’(心遊)의 의미를 갖는다. 특히 ‘유’는 일정하게 무엇으로부터 ‘떠남’ 혹은 ‘거리두기’를 의미하지만, 정신적 과정으로서 마치 여행처럼 나갔다가 되돌아옴이며, 결국에는 ‘일상성으로 회귀’(世遊)한다. 셋째, 이러한 논의를 통해 『장자』에게서 드러나는 태도는 삶 자체가 ‘유’(遊)가 된다는 생각이다. 『장자』의 ‘유’(遊)의 정신은 현실이나 세속을 떠나려는 탈속적(脫俗的) 태도가 아니고 현실의 모순을 비판하거나 변화시키려는 변혁적(變革的) 실천은 더욱 아니다. 그것은 정치적, 사회적 변화의 의지가 아니라 한 개체가 겪는 갈등과 억압의 승화를 의미한다. 그런 의미에서 『장자』의 ‘유’는 소극적이며 한계가 있다. 나는 이러한 ‘유’(遊)가 놀이로서 예술적 영감이나 창조적 활력을 가져온다는 평가에 동의하지만, 오늘날 자본주의 사회의 예술처럼 그러한 힘의 범위는 개체적이며 제한적이다. 따라서 그것이 우리 삶의 변혁, 삶의 조건의 개선, 삶의 향유의 가능성을 가져올까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Play and fest have been studied for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a cultural tool or a part of human nature. Zhuangzi has been the most favorable text in this aspect in Asian philosophy studies. This paper is to articulate a new element of ‘play’ never examined in analogous researches, by analyzing a concept of you[遊], carefree wandering. The concept of ‘carefree wandering’ not only encompasses usual concepts standing for ‘play’. It can even embrace a life in whole. Thus the concept of carefree wandering needs to be studied further, diverging from a frame of play spirit alone. The new frame I suggest is carefree wandering as a spiritual transcendence. However I do not mean religions by putting ‘transcendence’, but politics. Carefree wandering can stand for leaving or keeping a distance from something, but also for going back to quotidian lives. To Zhuangzi, life is filled with carefree wanderings. You遊 does not tell you to leave from the world nor does it command to criticize or change the world. You遊 only asks a sublimation of conflicts and oppressions which are political events. This paper examines certain limits of Zhuangzi’s you遊 in this aspect. I am positive on the you遊 filling the role of bringing artistic inspirations and vitalities. However, this paper will shed light on the negative aspects of you遊 in bringing changes into our lives.

      • KCI등재

        고대 중국에서 ‘동물’(動物) 표상의 철학적 함의 ―동양철학 동물연구 서설 (1)

        김시천 ( Sicheon Kim ) 한국공자학회 2021 공자학 Vol.44 No.-

        이 논문은 매우 단순한 물음에서 시작한다. 즉 고전 한자어 ‘動物’은 ‘animal’과 같은 말일까? 상식적으로 보면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 ‘動物’은 ‘animal’에 대한 번역어로서 본격적으로 사용되는 현대적 개념이란 점은 잘 지적되지 않는다. 실제 고전 문헌을 찾아보면 ‘動物’보다는 ‘禽獸’나 ‘蟲’ 등의 다양한 한자어들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서설적 연구의 성격을 지닌 이 논문은 고대 중국의 고전 속에서 동물에 대한 표상과 그 철학적 함의를 다루고 있다. 이 글은 먼저 한국 학계에서 다루어 온 동물 관련 연구 논의들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면서, 보다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아울러 고대 중국의 고전에서 동물에 대한 대표 분류어가 부재함은 물론 신과 인간 그리고 동물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묵자』, 『맹자』, 『순자』와 『장자』의 동물에 대한 표상과 그 맥락을 살펴봄으로써, 동물에 대한 인식 또한 문헌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살피고 있다. 현대생물학이라는 과학적 시각에서 자연과 동물의 세계를 일의적으로 바라보는 현대인과 달리, 고대 중국의 고전이 보여주는 동물에 대한 관점은 훨씬 다양하고 독특한 성격을 드러낸다. 오늘날 인간은 자연과 기계, 심지어 동물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와 관련하여 커다란 인식의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우리는 고대 중국의 고전에 등장하는 동물 표상을 연구함으로써, 고대의 철학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동아시아 전통에서 ‘동물’이 어떻게 이해되고 사유되어 왔는가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어쩌면 그런 성과 속에서, 과거의 세계관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함은 물론 나아가 21세기의 다양한 문제를 새롭게 볼 수 있는 시각을 얻을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This thesis begins with a very simple question. Is the classical Chinese word ‘animal’ the same as ‘dongwu’(動物)? Common sense might think so, but it was not pointed out that ‘animal’ is a modern concept that has started to be used in earnest as a translation for ‘animal’. If you look at the classical literature, you can see that various Chinese characters such as ‘chin-shou’(禽獸) and ‘chong’(蟲) were used rather than 'animal'. This thesis, with the character of an introductory study, deals with the representation of animals in ancient Chinese classics and their philosophical implications. This article outlines animal-related research discussions that have been dealt with in Korean academic circles, and raises the need for more systematic research. In addition, I pointed out that there is no representative taxonomy for animals in ancient Chinese classics, and that the boundaries between gods, humans, and animals are ambiguous. Lastly, by examining the representations and contexts of animals in 『Mozi』, 『Mengzi』, 『Xunzi』, and 『Zhuangzi』, we are examining that the perceptions of animals are also different. Unlike modern people who view nature and the animal world unilaterally from the scientific point of view of modern biology, the viewpoints on animals shown in ancient Chinese classics are much more diverse and unique. Today, humans are facing a major shift in how they relate to nature, machines, and even animals. We can understand ancient philosophy more concretely by studying animal representations in ancient Chinese classics.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that more active interest and research is needed on how ‘animals’ have been understood and thought in East Asian traditions. Perhaps through such achievements, we can not only understand the worldview of the past more concretely, but also gain a new perspective on the various issues of the 21st century.

      • KCI등재

        감정의 형이상학과 과학

        김시천(Kim Sicheon) 한국도교문화학회 2009 道敎文化硏究 Vol.31 No.-

        이 논문은 유가와 도가를 아우르는, 기철학적 세계관에서 감정이 어떠한 의미와 위상을 점하고 있는가를 다룬다. 감정이란 인간의 바른 심성을 어그러뜨리거나 사회적 해악을 낳는 요소로서 인간의 본성에 속하지만 부정적이고, 절제되거나 벗어나야만 하는 그런 것으로 사유된다. 그러나 이것은 서양 근대철학적 사유의 영향 아래에서 성립된 견해이다. 나는 서구적 사유와 달리 고대 중국철학에서 만개한 인간 이해의 토대 자체가, 보편적이고 합리적인 인간상과 달리 ‘정’(情)이라는 독특한 개념에 있다고 본다. 이 ‘정’은 근본적으로 우주와 인체에 충만한 ‘기’(氣)가 우리 몸에서 울려내는 생명의 리듬이자 표현으로서, 생물학적으로나 사회적으로 감응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정의 인간학’의 토대에서 형이상학적 사유로 나아간 것이 유가와 도가 및 제자백가의 공유점이었다고 필자는 본다. 그러나 도가와 유가로 대변되는 두 흐름은 도덕적 관점의 개입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바로 이것이 유가와 도가의 자기계발의 차이를 초래했다고 이 글은 논증하고 있다. 유가의 경우 ‘심’(心)을 중심으로 도덕적 자기수양이라 부를 수 있다면, 도가의 경우는 ‘정신’(精神) 중심의 양생론으로 전개되었음을 『논어』, 『맹자』, 『장자』, 『순자』, 『노자』 등의 문헌 분석을 통해 입증하고자 하였다. 유가는 성선과 성악의 주장 여부에 상관 없이 도덕적 심성(心性)의 계발에 초점을 둔다. 이는 심(心)의 사유 능력에 바탕하는 것으로서, 사회적 조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윤리적 계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하며 따라서 이 글에서는 ‘심성수양론’(心性修養論)으로 규정하고자 했다. 이와 달리 『노자』와 『장자』를 위주로 하는 흐름은 ‘심’보다 ‘정신’(精神)의 허정(虛靜)한 경지를 강조하며 양생을 목표로 한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이 흐름을 ‘정신양생론’(精神養生論)이라 규정하고자 했다. 또한 양생의 이념을 통해 기의 정신론은 한의학이라는 과학으로 이어진다고 보았다. 더 나아가 이 글에서 나는 이러한 사유의 사회적 원인을 제시하고자 했다. 유가든 도가든 제자백가의 사상가들은 불평등한 위계적 사회 속에서 생존을 위해, 자기 단련을 위해 이러한 이론들을 치열하게 제시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고자 했다. 이 글은 이러한 구도를 통해 이성과 감정, 정신과 육체라는 이원적이고 서구적인 접근보다 원전들에 충실하며, 고대적 사유의 흐름에 보다 가까운 모습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리라 기대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xamine the theories of self-improvement in early China. In this paper what I mean the notion of ‘self-improvement’, is a term by which I have explained two visions of the Way as a comprehensive retainer. Some Scholar conceived two ways of self-improvement in classical Chinese thoughts as the concept, ‘self-cultivation’. But I believe that there were two trends of the theory for improving oneself in early China that had branched into two traditions, Confucianism and Taoism. In Confucianism one's endeavors for self-improvement aimed at the attainment of the superior man that was the ideal man in Confucian tradition. According to Confucians, he was not only a leader of his society but also a moral model for contemporary people. His primary tasks were at first to cultivate himself in both morality and literal ability, and later to preceed to guide all person's steps in the path of righteousness and to pacify all things Under Heaven. I will call the efforts of moral improvement in Confucian tradition as the moral self-cultivation. In a different way, Taoism sought after the Way and its power for their own happiness and longivity in the world. The core concept was the longivity in both the religious and the philosophical of Taoism. They developed various methods for their well-being, by which they would be reached the state of political stability and physical health. They made out many prescriptions such as non-activity, tranquility, silence, etc. And also they offered many methods for physical health such as the prevention of ejaculating essence, holding to spirit, etc. I will call the ways and prescriptions in Taoist tradition as the nourishing-life theory. The important differences are their theoretical foundations: the one based on the mimd-and-heart, the other based on the spirit-and-essence. But, the two, the mimd-and-heart and the spirit-and-essence, related to the concept of emotions which was the expression of our inner life and the motion of ch‘i. This Schma will give a light on understanding classical Chinese philosophy, I believe.

      • KCI등재

        ‘K-철학’은 가능한가?

        金是天(Kim, Sicheon) 한국동양철학회 2021 동양철학 Vol.- No.55

        한국의 20세기에서 고전 철학의 이해는 중국이나 일본과는 차별화된 성격을 보인다. 예컨대 함석헌 등의 기독교 사상가 계열의 ‘노장’(老莊) 전통은 한편으로는 기독교와 유학, 도가의 회통을 말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민주주의와 인권, 자유와 평등의 가치를 올곧이 담아내고자 하는 철학적, 사상적 실천을 보여준다. 이 글에서 나는 이러한 실천을 규명하기 위해 세 가지에 주목하고자 했다. 첫째는 철학적 텍스트에 대한 논리적 해석에 멈추지 않고, 특정한 철학적 관념이 현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드러나는 맥락에 초점을 맞추고자 했다. 이는 ‘텍스트 철학’이 아닌 ‘느낌의 합의’ 혹은 보다 쉬운 말로 상식을 대상으로 한다는 말이다. 둘째로 나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문 철학자가 아닌 저자들의 텍스트에 주목했다. 김대중과 기세춘 그리고 함석헌의 텍스트를 논의의 중심에 둔 까닭이 이 때문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나는 이러한 두 가지 논점을 포용하는 해석학적 기반을 ‘초월의 해석학’ 이라 이름 붙여 보고자 했다. 이는 특히 함석헌이 말하는 ‘씨의 자리에서 고전고쳐 읽기’는 표현을 가리키는 말이다. 엄밀한 의미에서 보면 20세기 내내 ‘동양철학’은 하나의 기호로서 혹은 식민지 경험의 유산으로 단지 허명(虛名)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같은 텍스트들을 비교적 관점에서 한국철학 혹은 ‘K-철학’으로 읽고자 할 때 우리는 보다 풍부한 철학적 사유의 여정을 확인할 수 있다. Korea’s understanding of Classical philosophy in the 20th century is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China and Japan. In particular, the tradition of ‘old age’ of Christian thinkers such as Ham Seok-heon, on the one hand, refers to the conversion of Christianity, Confucianism, and Daoism on the one hand, while on the other hand, it aims to convey the values of democracy and human rights, freedom and equality. This is because it shows the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practice of doing. In this article, I wanted to focus on three things to clarify this practice. First, I tried to focus on the context in which certain philosophical ideas are revealed in the interaction with reality, not stopping on the 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philosophical text. This means that it is aimed at ‘consensus of feeling’, not ‘text philosophy’, or in simpler words, common sense. Secondly, I focused on the texts of authors, not professional philosophers, for this purpose. This is why the texts of Dae-jung Kim and Se-chun Ki, and Seok-Heon Ham were put at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And finally, I tried to name the hermeneutic basis that embraces these two issues as the ‘transcendental hermeneutics’. This is a word 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expression Ham Seok-heon refers to as ‘reading revised classics in the place of ‘people’. In a strict sense, ‘Oriental Philosophy’ throughout the 20th century was nothing more than an empty name as a sign or as a legacy of colonial experience. However, when we try to read the same texts as Korean philosophy or ‘K-philosophy’ from a relatively perspective, we can find a richer journey of philosophical thin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