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생활 글에 나타난 장소 경험

        김승미 ( Kim Seung-mi ),남상준 ( Nam Sang-jo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의 생활 글에 기술되어 있는 장소 경험의 유형과 그 특성을 파악해보고, 그것이 초등지리 교육과정에 주는 함의를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인 광주광역시 서구 C 초등학교의 5학년 한 학급의 20명 어린이들이 2017년 4월부터 8월까지 5개월 동안 쓴 생활 글을 수집하고, 수집된 어린이의 생활 글에서 장소 경험과 관련된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어린이들의 장소 경험의 유형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 어린이의 장소 경험에 대한 상황과 맥락을 더 자세히 알기 위해 그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관찰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들이 하는 장소 경험 중 직접 경험에 의한 장소 경험의 수에 비해 간접 경험에 의한 장소 경험의 수가 현저히 적었다. 둘째, 어린이들이 장소 경험을 할 때에는 여러 감각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단일 감각으로는 미각에 의한 장소 경험에 더 많은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셋째, 어린이들이 하는 장소 경험 중 가족과 함께 하는 장소 경험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지만 친구들과 하는 장소 경험 역시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 넷째, 어린이들은 마을 내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며 살아가고 있고, 드물지만 일부 어린이들은 세계 범위의 장소 경험도 하고 있었다. 다섯째, 어린이의 장소 경험에 어린이의 학업 성취도를 비롯한 장소 인식 정도와 성격, 현재 가지고 있는 고민, 걱정 등도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었다. 여섯째, 어린이의 체험 및 경험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했으나 부모의 현실적인 상황으로 인해 다양한 기관에서 이 역할을 일부 대신하고 있었다. 일곱째, 도시에 사는 어린이들은 놀이터, 공원과 같은 단순한 시설 외에 플레이방, 낚시카페처럼 새로운 놀이 장소와 카페, 잡화점, 대형마트 등 어른들의 생활 편의 시설이나 문화 시설 등을 이용하고 있었다. 여덟째, 인터넷 속의 가상공간도 어린이들의 장소 경험 대상이 되고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ence of places described in children’s writings in everyday life an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to the elementary geography curriculum. I collected the writings in everyday life of 20 5th graders (subjects of this study) of a class in C Elementary School in Seo-gu, Gwangju, written for five months from April to August 2017 and analyzed the details related with the experience of places in life. In this way, I identified the children’s place experience types. To grasp the situations and context of the children’s experience of places judged as requiring additional research,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argeting the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below : First, the experience of places by indirect experience was far smaller than the experience of places by direct experience. Second, when children experience places, they used various senses in many cases, and they gave a greater meaning to the experience of places by taste in terms of a single sense. Third, although there were the most experiences of places visited together with family, those experiences with friends took up quite a portion as well. Fourth, the children have lived diversely experiencing within their villages, and some children had experiences of foreign places, despite low ratio. Fifth, the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s, cognitive development level including place perception level, and character, worries, and concerns contributed to their experience of places to some degree. Sixth, although the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children’s experience increased, various institutions partially played this role instead of their parents, due to parents’ realistic situations. Seventh, children living in cities used new play places including play rooms and fishing cafes, and also adults’ convenience facilities and cultural facilities, such as cafes, general stores, and large discount stores. Eighth, the virtual world on the Internet became the subject of the children’s experience of places.

      • KCI등재

        Phenylhydrazine으로 유도한 용혈성 빈혈 흰쥐에 대한 녹용 추출물의 조혈 효과

        이미라(Mi-Ra Lee),김현호(Hyun-Ho Kim),조현호(Hyun-Ho Jo),강효진(Hyo-Jin Kang),고리주안(LiJuan Gu),이선영(Sun-Young Ly),이청하(Chung-Ha Lee),김승미(Seung-Mi Kim),양선아(Sun-Ah Yang),모은경(Eun-Kyung Mo),성창근(Chang-Keun S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2

        본 연구는 부위별 녹용 추출물이 PHZ 투여로 용혈성 빈혈을 유도한 흰쥐의 조혈작용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4주령의 암컷 Sprague-Dawley 흰쥐에 PHZ 10 ㎎/㎏을 4일간 미정맥 주사하여 용혈성 빈혈을 유발한 후 각 부위별 녹용 추출물 200 ㎎/㎏을 일주일간 경구투여 하였다. 용혈성 빈혈 유발군인 PHZ군은 hemoglobin, hematocrit치, 적혈구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망상적혈구수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반면, 녹용 추출물 군에서는 hemoglobin, hematocrit치, 적혈구수가 PHZ 투여군보다 증가하였다. 특히 분골, 상대, 중대 추출물 투여 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상대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망상적혈구수 증가가 유의적으로 억제되었다. PHZ 투여로 증가된 혈청 EPO 함량은 녹용 추출물 투여군에서 모두 정상적으로 회복되었다. Hemoglobin 합성에 관여하는 δ-ALAD 활성은 녹용 추출물 투여군에서 활성이 증가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녹용 추출물은 PHZ으로 유도한 용혈성 빈혈에 대한 바람직한 조혈효과가 있는 기능성 물질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tection of the extracts from four parts of deer antler in an anemia model induced by intravenous injection of phenylhydrazine·HCl (PHZ) at 10 mg/kg for 4 days. After PHZ injection,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administrated partial deer antler extract (200 ㎎/㎏/day, p.o.) daily for 1 week. Results showed that sever hemolysis was induced by PHZ. For antler extract-treated groups, the concentration of hemoglobin, hematocrit and red blood cells number increased much more significantly than PHZ-treated group. Upper antler extract-treated group was more remarkable than other parts in suppressing the increase of reticulocyte in whole blood. Moreover, antler extract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improved serum erythropoietin concentration. The activity of δ-aminolevulinic acid dehydrates (ALAD) in liver homogenate was increased in antler extract-treated groups, especially middle and base extract-treated group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ese results could be concluded that the deer antler extract improved anemia induced by PHZ injection through improving hematological values, serum EPO value, ALAD enzyme activity.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고학년 다문화 가정 아동의 쓰기 계획하기 능력과 계획하기 전후의 쓰기 능력 비교

        이상현(Lee, Sang-Hyun),김승미(Kim, Seung-Mi),이은주(Lee, Eun-Ju)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논총 Vol.33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아동이 쓰기 계획하기 능력에서 비다문화 가정 아동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 각 집단 별로 계획하기가 쓰기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다문화 가정 아동 12명, 비다문화 가정 아동 12명을 대상으로 브레인스토밍을 통한 내용 생성하기와 다발 짓기를 통한 내용 조직하기를 실시하였으며 계획하기를 실시하지 않는 사전 글쓰기와 계획하기 지도 후 실시하는 사후 글쓰기로 총 2번의 쓰기를 진행하였다. 계획하기 능력을 살펴보았고 쓰기 결과의 양적,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 가정 아동은 내용 생성하기의 소재의 다양성과 내용 조직하기의 내용의 적정성 항목에서 비다문화 가정 아동보다 낮은 수행을 보였다. 둘째, 다문화 가정 아동과 비다문화 가정 아동 모두 쓰기의 양적 분석 결과 중 산출성에서 사전 글쓰기보다 사후 글쓰기의 점수가 더 높았다. 질적 분석 결과에서는 두 집단 모두 글의 내용적 측면 중 내용의 풍부성 항목이 사후 글쓰기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고 조직적 측면의 두 항목(글의 체계성, 글의 흐름)에서도 사전 글쓰기보다 사후 글쓰기에서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위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다문화 가정 아동의 경우 쓰기 계획하기를 중재할 때 다양한 소재를 산출하고 주제와 독자를 고려하여 내용을 정리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하며 다문화 가정 아동과 비다문화 가정 아동 모두 계획하기를 사용한 쓰기 중재가 쓰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생각해볼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differ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in writing planning ability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writing planning on writing ability of each group.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2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12 children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The tasks to examine the writing planning ability are “Idea Generating” using a Brainstroming strategy and “Idea Organization” using a Clustering strategy. Pre-writing for children who did not take the planning instruction and post-writing for children who took the planning instruction was conducted. From the result of the task, the writing planning ability and pre, post-writing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 First,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low ability regarding variety of idea in Idea Generating aspect and 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s in Idea Organization aspect. Second, both groups got higher score from the post-writing than the pre-writing regarding productivity in the result of quantity analysis. systematicness and flow of writing in the result of quality analysis. Conclusion: In intervening the writing plann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focus on producing various idea and organizing contents of writing considering the subject and readers. And It can be thought that an intervention using a writing planning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writing ability for both groups.

      • SCOPUSKCI등재

        고구마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dinner roll의 품질특성과 당뇨 유도 흰쥐의 혈당에 미치는 효과

        모은경(Eun Kyoung Mo),김승미(Seung Mi Kim),제갈성아(Sung A Jegal),최영심(Young Sim Choi),송칠석(Chil Suk Song),안상란(Sang Lan An),이명호(Myung Ho Lee),성창근(Chang Keun Sung) 한국식품과학회 201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No.1

        SPP를 첨가하여 제조한 빵(dinner roll) 반죽의 pH는 대조구와 실험구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SPP 첨가량과 반죽의 밀도 사이에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반죽의 발효팽창력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Dinner roll의 굽기손실율은 SPP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비용적은 차이가 없었다. Dinner roll crust의 L value, b value, chroma 및 Hue angle은 대조구보다 SPP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았고, a value는 대조구보다 SPP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Crumb의 L value와 Hue angle은 대조구보다 SPP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낮았고, a value, b value 및 chroma는 대조구보다 SPP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SPP 첨가량과 dinner roll의 hardness 및 cohesiveness 사이에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springiness 및 chewiness와는 상관관계가 형성되지 않았다. Streptozotocin 투여로 당뇨병이 유발된 흰쥐에 SPP가 첨가된 dinner roll을 4주간 섭취시킨 결과, SPP 첨가구의 혈당 농도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이는 SPP에 함유된 β-carotene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crease the availability of sweet (Ipomoea batatas) and to develop dinner roll with the reducing ability of blood glucose levels. Different contents of lyophilized sweet potato powder (SPP) were added in dinner roll. Compare to the control group, batter density, a value, hardness, and cohesiveness of the SPP-trea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dough expansion rate, baking loss rate, L value, and Hue angl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wenty four Sprague-Dawley rats were administered with the SPP-treated diet for 4 weeks after diabetes was induced with the injection of streptozotocin.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of the SPP-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Although the SPP-treated groups possessed the ability of reducing blood glucose level, the sensory qualities were inferior to the control. Thus, follow-up study was required to improv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texture properties.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돌나물 즙을 첨가한 젤라틴 젤리의 제조 및 품질특성

        모은경(Eun Kyoung Mo),김현호(Hyun Ho Kim),김승미(Seung Mi Kim),조현호(Hyun Ho Jo),성창근(Chang Keun Sung) 한국식품과학회 200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9 No.6

        돌나물(Sedum sarmentosum Bunge)은 영양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산채류이나 저장성이 낮고 이를 이용한 가공 식품이 없어 부가가치가 매우 낮은 식품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돌나물의 이용률과 부가가치를 높이고자 돌나물추출액을 첨가하여 젤라틴 젤리를 제조하고, 그 물리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돌나물 젤리의 ascorbic acid 함량은 돌나물 즙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그 농도가 증가하였다. 돌나물 젤리에 함유된 양이온 농도를 측정한 결과, 칼슘은 대조구보다 4-28배가 증가하였고, 대조구에 없었던 철분은 각각 0.023-1.031 mg/100 g(젤리 건조 중량)을 함유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돌나물 즙 첨가 젤리는 영양소 강화 등 별도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ascorbic acid, 칼슘, 철분 및 마그네슘 등의 영양소 섭취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돌나물 젤리의 녹색도(a value)와 황색도(b value)도 돌나물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돌나물 즙 2% 첨가구와 3% 첨가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관측되지 않았다. 돌나물 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젤리(sol 상태)의 pH가 감소하였고, 이에 따라 돌나물 젤리의 hardness와 gumminess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대조구와 0.5-1% 돌나물 즙 첨가구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관능검사 결과와도 일치하였다. 또한 돌나물 즙을 2% 첨가한 젤리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edum sarmentosum, also known as stonecrop (dolnamul), is a widely consumed herb, and is used as an ingredient in salads in Korea. Unfortunately, sedum is perishable and vulnerable to tissue damage during preservation. Therefore, this feasibility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crease the availability of sedum and increase its value. Various concentrations of sedum extract (0.5-3%) were added to gelatin jelly,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determined. The ascorbic acid content of the sedum jelly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sedum extract concentration. Calcium content of the sedum jelly was 4 to 28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Contrary to the control, iron was detected in the sedum jelly (0.023-1.031 mg/100 g dry weight). Furthermore, magnesium and potassium levels were higher in the sedum extract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greenness (a value) and yellowness (b value) between the control and the sedum extract group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2% and 3% sedum extract groups were not detected. As sedum extract concentration increased, the pH level of soft jellies (solid state) decreased. Therefore, hardness and gummines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These results are in agreement with the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sensory tests, the values for palatability, appearance, and color in the 2% sedum extract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0.5-1% and 3% sedum extract groups.

      • SCOPUSKCI등재

        Puromycin aminonucleoside로 유발된 흰쥐에서의 사구체 비후 및 경화증의 형태학적 변화

        고철우(Cheol Woo Ko),구자훈(Ja Hoon Koo),김승미(Sung Mi Kim),장희숙(Hee Suk Jang),홍인희(In Hee Hong),김용진(Young Jin Kim) 대한신장학회 2000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19 No.2

        N/A Purpose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serial morphological changes of rat's kidney with chronic puromycin aminonucleoside (PAN) nephropathy. Special emphasis was given to the occurrence of glomerular hypertrophy and its relationship to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focal segmental glomerulosclerosis(FSGS). Methods: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00- 230g were used and divided into control(n=9) and experimental group(n=15). Rats were given subcuta-neous injections of PAN at a dose of of 2mg/100g body weight, or an equivalent volume of normal saline and six injection were given over a period of 9 weeks, at weeks 0, 1, 3, 5, 7 and 9. At weeks 4, 8 and 11, rats were sacrificed and kidney weight, kidney weight/body weight(%) and various laboratory tests including serum protein and albumin were determined. Renal tissues were prepared with Histo-choice fixative and paraffin embedding for morpho-logic study. Results : Kidney weight and kidney weight/body weigh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controls at 4, 8 and 11 weeks. Heavy proteinuria along with lowering of serum protein and albumin and elevation of serum cholesterol was seen in experimental group at week 4 and this change became more marked on weeks 8 and 11. The frequency of FSGS in experimental animal, at week 4, 8 and 11 were 0.6%, 10.6% and 26.2% respectively(p<0.05) and the development of FSGS was more marked in juxtamedullary glomeruli compared to cortical glomeruli. Glomerular surface area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experimental animals compared to controls(p<0.01), the percentage of increase being 12.0, 14.7 and 12.3% at week 4, 8 and 11. And the surface areas of juxtamedullary glo-meruli were larger than those of cortica1 glomeruli throughout the study period. Conclusion: In summary,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glomerular hypertrophy occurs and precedes the development of FSGS in rats with chronic PAN nephropathy and juxtamedullary glomeruli are more susceptible to developing FSGS compared to cortical glomeuli.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