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 요인에 관한 환자-대조군 연구

        김수혜,이종태,엄상화,유병철,전진호,김동수 인제대학교 2001 仁濟醫學 Vol.22 No.1

        Objectives: Coronary artery diseases (CAD) are increasing in recent years among korean due to change of socioeconomic status and life style. We conducted a case-control study to analyze risk factors for CAD among Korean. Methods: The case series comprised 79 patients(47 Men, 32 Women) with confirmed CAD, who were admitted to Division of Cardiology of General hospital in Pusan. The controls were composed with 94 persons(48 Men, 36 Women) of absence CAD. We surveyed from July to October 1999 through questionnaire(general variables, life style, diet intake), body mass index,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sugar and lipid profile. Results: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risk factors, odds ratio of high education level was 0.296(p =0.01) in men and 0.333(p =0.032) in women, believer was 4.256(p=0.001) in men. passive smoking was 4.304(p=0.044) in women, alcohol drinking was 7.389(p= 0.008) in men, exercise was 0.237(p =0.001) in men, high meat intake was 3.635(p=0.004) in men, high vegetable intake was 0.370(p=0.003) in men, high sea food intake were 0.262(p=0.001) in men and 0.148(p=0.009) in women, high milk products intake was 14.500(p= 0.01) in men, severe stress were 7.280(p=0.001) in men and 16.807(p=0.003) in women, hypertension was 3.750(p=0.03) in wome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evere stress, high milk products intake, high meat intake, alcohol drinking, hypertension and passive smoking were risk factors of CHD. But physical activity and some dietary factor(high vegetable intake, high sea food intake) are protective against CHD. Educational level and religion were related to CHD.

      • KCI등재

        소매틱 무용/움직임 교육에 기반한 발레교육자 양성 프로그램 연구 개발

        김수혜,김경희 무용역사기록학회 2022 무용역사기록학 Vol.64 No.-

        This study considers methods develop a ballet educator training program that can improve ballet education in South Korea, where technique-focused training leads to physical and mental injuries and lack of artistry. A training program model is developed for ballet educators based on the philosophy of somatic dance/movement education, which integrates dimensions of body, mind, and spirit. The framework of the program was formulated by exploring the educational goals and principles of ISMETA, as well as factors such as ‘knowledge’, ‘autonomy’, and ‘peer networks’, presented in the international survey on education, TALIS. Then, we compared and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ballet educator training programs to select essential elements based upon the aforementioned three aspects. We made detailed programs such as ‘somatic dance/movement theory, movement anatomy and physiological dynamics, movement analysis, somatic ballet teaching method, dance education theory,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for the knowledge factor, ‘reflective practice’ for the autonomy, and finally ‘pedagogic workshop’ for the peer networks. 본 연구의 목적은 특화된 발레교육자 양성 프그램을 고안하여, 테크닉 위주로 편향된훈련이 학생들의 신체적, 정신적 부상과 예술성 부재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있다. 몸, 마음, 정신의 차원을 아우르는 소매틱 무용/움직임 교육철학에 기반을 두고, 소매틱움직임 교육 치료 협회 ISMETA의 소매틱 무용/움직임 교육목표 및 원리와 국제 학습환경 조사기관 TALIS에서 제시하는 교육자 전문성 개발영역 요소인 ‘지식,’ ‘자율성,’ ‘동료 네트워크’ 요소의 부합점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국내외 발레교육자 양성 프로그램들을 비교분석하여, 이 프로그램들의 기초가 되는 필수교육 요소들을 선별하여 지식요소는 ‘소매틱 무용/움직임 이론, 움직임 기능 해부학 및 생리 기능학, 동작분석법, 소매틱 발레 교수법, 무용 교육론 및 발달심리학,’ 자율성의 요소는 ‘성찰 실습,’ 동료네트워크 요소는 ‘페다고지 워크샵’으로 구성하였다.

      • KCI등재

        대졸 청년층의 취업준비 활동이 노동시장 진입에 미치는 영향: 정규직 취업 여부와 시점을 중심으로

        김수혜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6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15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를 활용하여 청년층의 취업준비 활동이 노동시장 진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다항 로짓 회귀분석과 생존분석을 통해 노동시장 진입의 질적차이와 정규직 취업 시점 관련 다음의 주요 결과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다항 로짓 회귀분석 결과 직업교육 및 훈련에 참여한 대졸자일수록 비정규직과 같은 2차 노동시장으로 진입하기보다 미취업 상태로 남을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대학에서 제공하는 진로선택 관련 상담 및 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학교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보다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미취업 대비 정규직으로 취업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생존분석을 통해 정규직 취업 시점에 영향을 주는 공변량을 통제한 이후에도 진로선택 및 취업준비 프로그램 참여와 직업교육 훈련 및 해외연수 경험이 정규직 취업 시점을 더 빨리 앞당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모형을 통해 대학소재지에 따른 해외연수의 차별적 효과를 분석한 결과, 어학연수 경험이 있는 서울 소재지 대졸자의 경우 전라권, 경상권 소재 대학의 졸업생보다 더 빠르게 정규직으로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입각하여 본 연구는 한국사회 청년층의 노동시장 양극화 문제 기저에 교육 계층화의 문제가 자리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보다 사회통합적인 관점에서 청년층 고용역량 증진을 위한 포용적 제도 마련과 학벌주의에 자유롭지 못한 고용문화 개선이 시급함을 결론에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ether pre-employment activities for a decent job relate to graduate transition to labor market. Using 2015 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it finds that those more satisfied with quality of the career guidance in university tend to be permanently employed rather than being risk at unemployment. Results of survival analysis indicate that the time of having a permanent job is significantly predicted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career guidance programs, studying abroad and job training during college. It is discovered that effect of studying abroad would be moderated by the location of college (Seoul), implying graduates from the college in Seoul are more likely to be ahead of having a decent job if going on such a language training abroad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 From these findings, I notice that the college graduates are vulnerable to the Korean labor market still affected by educational stratification. For a sustainable development of labor market, I advocate systematic interventions for disadvantaged young adults to enhance their employability.

      • KCI등재

        Unpacking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data of literate population: The challenge and opportunity for global monitoring on adult literacy

        김수혜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18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7 No.2

        As an inter-governmental commitment toward education for all i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context, Education 2030 Framework for Action has advocated to trace progress of adult literacy in within the lifelong learning framework.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the international assessment data as a global indicator on adult literacy. For this, the author uses a multi data source from three influential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and the World Bank. The international databases are analyzed by a mixed-method approach from literature review to non-parametric analysis. Using the secondary analysis of the data on global literacy assessment projec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ritically demonstrate that the global literacy assessments have been exclusively occupied in developed countries. Also, the non-parametric method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national policy on adult learning and education. Key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dult literacy skills need to be linked with lifelong learning matrix as well as more contextual measures are necessary for scaling up literacy learning with an improved monitoring tool.

      • KCI등재

        발레무용수의 척추 교정을 위한 아이다 롤프(Ida Rolf)의 구조 통합(Structural Integration) 실행연구

        김수혜,김경희 한국무용예술학회 2019 무용예술학연구 Vol.73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a specific solution to the spine illness like flat back and scoliosis which is common to ballet dancers unlike the other genres of d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allet dancers’ illness and their pain, who have spine illness including cervical, thoracic and lumbar vertebra, are getting better with 10 times ‘S·I Program’. Second, their understanding about their bodies and their body-awareness were upgraded.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education of movement could evoke change to ballet dancers by combination of structures and functions. It could be considered natural that experimentees got better spine condition, during ‘S·I Program’ was progressed. However, the most important point that should be recognized was that the experimentees made efforts to widen their changed understanding their bodies from just experiments to daily life. This awakening opened the possibility of changing correcting posture.

      • KCI등재

        성인교육 정책의 지향점과 성인교육의 사회적 혜택에 관한 연구 —문해교육 프로그램의 사회문화적 성과를 중심으로

        김수혜 한국성인교육학회 2019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2 No.3

        Corresponding to the global commitment to implementing the Belém Framework for Action (BFA), UNESCO Member States have reported national progress in adult learning and education (ALE) since 2009. The latest third edition Global Report on Adult Learning and Education (GRALE 3) delivered empirical evidence based on the survey data and reports from 139 countries. It mainly focused on the impact of ALE on sustainable development embracing qualify of life and social cohesion. This study is to build and empirically validate the prediction model of how ALE policy orientation has been associated with sociocultural outcomes in literacy skills program and development at societal level using the survey data of GRALE 3. For this, I apply two types of latent variable model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to identifying socio-cultural factors of ALE and exploring the empirical associations of socio-cultural outcomes with social benefits of ALE. For better performance with a non-randomized small sample in GRALE 3 data, Bayesian statistics are added to reinforce the empirical results. In both the traditional maximum likelihood (ML) and Bayesian analyses, social benefits of ALE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increased social outcomes in literacy program. Particularly, I find that those social outcomes in adult literacy programme might be facilitated by ALE policy emphasizing the non-economic outcomes and benefits for both individuals and society as well. Based on key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why the benefit of ALE socially matters. 2009년 제 6차 세계성인교육회의(CONFITEA Ⅵ)에서 채택된 벨렘행동강령(the Belém Framework for Action)에 따라 성인교육의 제도적 발전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국제적 수준의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2016년 제3차 글로벌 유네스코 성인학습 보고서(Global Report on Adult Learning & Education, GRALE 3)는 139개 유네스코 회원국을 대상으로 성인교육의 현황 및 정책에 대한 실증적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이 보고서는 지속가능발전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평생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성인교육이 건강과 삶의 질, 노동시장, 사회, 시민 그리고 공동체 번영을 도모하는 데 미치는 파급효과를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GRALE 3 공개 자료를 바탕으로 유네스코 회원국 성인교육 정책의 지향점이 성인기초 문해교육 프로그램의 사회문화적 성과를 통해 정책 입안자가 인식한 사회적 혜택에 실재적인 영향을 발휘하는지를 탐색하는 데 주요 목적을 두었다. 실증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GRALE 3 자료의 문항이 유네스코 회원국 정책입안자가 인식한 성인교육의 사회적 혜택, 성인기초 문해 교육 프로그램의 사회문화적 성과와 성인교육 정책의 지향점을 표현하는 잠재변인으로 구인화 될 수 있는지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이후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통해 이러한 변인들 간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성인 문해교육 프로그램의 사회문화적 성과가 뚜렷하거나 성인 문해교육 프로그램이 기초역량을 넘어 사회문화적 발전을 추구하는 경향이 짙을수록 성인교육의 사회적 혜택에 대한 인식 또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성인교육의 정책이 개인의 삶의 질이나 사회적 신뢰 및 통합과 같은 비경제적 영역의 중요성을 강조할수록 문해교육 프로그램의 사회문화적 성과 또한 지대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특히 이러한 정책적 기조는 문해교육 프로그램의 사회적 성과 증진을 통해 성인교육의 사회적 혜택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데 유의미한 간접효과를 발휘하고 있었다. GRALE 3 설문조사 데이터의 한계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한 베이지안 분석결과에서도 상술한 변인들 간 관계는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대어 결론에서는 성인교육의 혜택을 사회 통합의 관점에서 조망해야 할 당위성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세대 간 지위이동 결정요인의 구조적 관계 : 사교육 및 어학연수의 효과를 중심으로

        김수혜,김경근 한국교육사회학회 2010 교육사회학연구 Vol.20 No.3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determinants of intergenerational mobility using Youth Panel data from Korean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ascertaining the effects of shadow education and language training abroad on status attainment. The results show that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has a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socioeconomic status. Language training abroad is closely related to family background, and is proven to be conducive to attaining high status. The results imply that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could be inherited by children through various mediators and that language training abroad might play a key role in the process.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female's status attainment is more strongly affected by family background than male's.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 데이터를 사용하여 세대 간 지위이동 결정요인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본 연구는 사교육과 어학연수 변인이 세대 간 지위이동에 미치는 효과에 중점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고, 주요 변인으로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중고등학생 시절 사교육, 청소년기 친구성향, 수능성적, 취업 사교육, 어학연수, 자기개발, 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설정되었다. 분석 결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그 자체로도 본인의 지위획득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지만 다른 매개변인들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매개변인들 가운데, 청소년기 친구성향, 교육성취, 어학연수는 실제 지위획득에 유의미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어학연수 참여 양상이 다르고, 이러한 차이가 실제 지위획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다양한 매개경로를 통해 자녀에게 전달되며 동시에 어학연수가 세대 간 지위이동의 새로운 결정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남녀를 구분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여성은 남성에 비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해 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결정되는 경향이 더 강했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의 지위획득이 남성보다 제한된 구조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대한 자유학기제 효과 분석

        김수혜,신수영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아시아교육연구 Vol.24 No.1

        This study is motivated by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changed of the educational paradigm for the future. The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he effect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o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Free Semester System has been implemented to provide students opportunities to navigate one’s pathways, and to improv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hich is one of the key competencies for the emerging societies. Using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2013 data, this study applie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into estimating the causal effect of the Free Semester System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pecifically, we use a difference-in-differences(DiD) technique. Our analytic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gnitive aspect of self-directed learning by the Free Semester System. However, program participation shows positive effects on behavioral aspect and the effect size is larger for the long-term difference. In addition, empirical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substantial amount of the impact of the Free Semester System might be mediated by teacher-related and other school-level characteristics. Based the empirical findings, we further discuss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on the Free Semester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자기주도학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실을 직시하여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대한 자유학기제의 정책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자유학기제는 학습자의 다양한 성장경로를 모색하고 미래사회 핵심 역량인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사실험설계(quasi-experimental analysis) 방법을 통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2차와 3차, 5차년도(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1학년 및 3학년) 자료를 활용하여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대한 자유학기제의 정책 효과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s, DiD)을 적용하여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인지적 영역과 행동적 영역 각각에 대하여 중학교 1학년 당시 자유학기제 참여에 따른 단기적 효과와 장기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주도학습의 인지적 영역에 대해서 자유학기제 참여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행동적 영역에 대해서는 자유학기제 미참여 학생에 비해 참여 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유의하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중학교 1학년에 측정된 단기적 효과보다 중학교 3학년에 측정된 장기적 효과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 외, 순차적 모형분석을 통해 학생의 자기주도학습 관련 장·단기 변화에 대한 자유학기제의 차등적 효과를 탐색한 결과 교사의 특성과 학교 관련 변인에 의해 상당 부분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자유학기제의 발전방향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과 관련 후속연구를 위한 학술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An Analysis of Odors in Traditional Market in Wonju, Gangwon-do

        김수혜,이우식,정태환,정민재 한국웰빙융합학회 2022 웰빙융합연구 Vol.5 No.3

        Purpose: As interest in odor increases, odor complaints are also rapidly increasing. Traditional markets are not included in malodor control areas and are not easy to manage, so measure the odor substances generated in traditional markets and analyze the cause of high concentration poin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average value was presented by continuously measuring the combined odor, TVOC, hydrogen sulfide, and ammonia for 5 minutes at 100m intervals in Joong-ang traditional market, Jayu traditional market, Doraemi traditional market, and Sundae Alley in Wonju, Gangwon-do. In each market, up to the third highest concentration point for each measurement item was marked and analyzed. Results: The Joong-ang traditional market, Doraemi traditional market, and Sundae Alley had high readings at the intersection. The Jayu traditional market had high measurements around restaurants and clothing stores. In addition, the concentration of complex malodors was also high at the points where the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 was measured. Conclusions: Odor generated in traditional markets is an important indicator for merchants and consumers. Therefore, in future studies, analysis that can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measurement data and seasonal effects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