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ECD 7개국 중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실태와 ICT의 교육적 활용 간 관계 탐색 - PISA 2018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

        김수혜,신형석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2

        본 연구는 OECD 7개국 중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실태와 ICT 활용 간 관계를 파악하고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과 관련하여 개인 및 학교요인을 탐색하는 데 주요 목적이 있다. 특히 학교의 디지털 학습환경 및 중등교사의 ICT 활용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격차를 규명하고 이러한 차이가 국가별로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PISA 2018 자료를 활용하여 분산분석 및 다변량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OECD 7개국 중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은 스페인, 칠레, 영국, 미국에서 활발하게 시행되고 있는 반면, 한국에서는 가장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등교사의 ICT 활용빈도 또한 한국이 OECD 7개국 중 가장 낮으며 스페인, 칠레, 포르투갈, 미국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OECD 7개국 중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관련 개인수준에서는 성별, 초임교사 여부, 수업 효능감, 학생과의 관계효능감,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협력활동, 온-오프라인 독서활동, ICT 활용빈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왔으며, 정책과 관련하여 지난 1년간 ICT 역량강화 교원연수 이수 및 학교의 ICT 수업 관련 정책의 유무가 영향요인으로 파악되었다. 학교수준에서는 지역, 설립유형, ICT 인프라에 따라 중등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전술한 영향요인의 유의성은 국가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를 토대로 결론에서는 국제비교의 관점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및 ICT 학습환경 관련 정책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unpack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ICT application of teacher at secondary school and to identify key factors of teacher’s digital literacy education at both individual and school levels among 7 OECD countries. A special interest was paid to investigating to what extent digital literacy education relates to school’s ICT learning environment and teachers’ ICT application and to examine national variations of this relationship. For this, we applied sets of ANOVA and multivariate regression model into comparative analyses using the latest dataset of PISA (2018). Results of ANOVA revealed that digital literacy education was more proactively observed in Spain, Chile, UK and US while it was rarely performed in Korea. Also, Korea had the lowest frequency of teacher’s ICT application whereas top 4 countries were Spain, Chile, Portugal and US. Focusing on all 7 OECD countries, th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found that digital literacy education might differ by gender, novice teacher, self-efficacy in instructional settings,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with students, collaboration for improving teaching with colleagues, online and offline reading, frequency of ICT application at individual teacher level. In terms of policy influence, digital literacy educa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ICT skills and ICT policy for teaching and learning at school. Also, school location, school type, and ICT infra might make a difference in digital literacy education. However, national difference was discovered in these key factors. Based on empirical results, we further discussed implications on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ICT learning environments from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perspective.

      • KCI등재

        미국의 직업교육과 사회이동에 관한 종합적 고찰 - 직업교육훈련(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VET) 프로그램 효과와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

        김수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5

        This study aims to review scholarly and policy discussions on what vocational education has brought in terms of social mobility in US and to provide insight for a Korean society. For this, I first put two contrasting perspectives, functionalism and conflict theory on vocational education in the US context and synthesize key literature which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tional education and social mobility. In particular, time-series approach is applied for exploring antecedent and consequence of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VET) program by reviewing empirical studies drawing on N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1972(NLS-72), High School and Beyond (HSB), National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 of 1988 (NELS: 88) and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NLSY). Also, I scrutinize the contemporary research on vocational education effect of the American adult population using Programme for International Assessment Adult Competencies(PIAAC). Lastly, I study how the US federal government has intervened in the field of 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VET) and present implications of the US case for Korea. 본 연구는 미국 내 직업교육과 사회이동성에 대한 학술적·정책적 논의를 고찰하여 한국 사회에 주는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미국 사회 맥락에서 직업교육의 기능과 한계를 설명하는 이론을 정리하고, 직업교육과 사회이동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미국 교육통계청(National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NCES)의 대규모 교육자료인 N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1972(NLS-72), High School and Beyond (HSB), National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 of 1988 (NELS: 88),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의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NLSY)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Programme for International Assessment Adult Competencies(PIAAC) 자료분석을 바탕으로 직업교육훈련(Vocational Education Training, VET) 프로그램 효과를 실증한 연구 결과를 시계열적으로 탐색하였다. 아울러 직업교육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 도입된 미국 내 직업교육훈련(VET) 주요 정책을 살펴보고, 미국 사례가 주는 시사점을 결론에 제시하였다.

      • KCI등재

        OECD 형평성 지표로 본 교육격차 추이: - 서울교육종단연구 1~9차년도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

        김수혜,손수경,임혜정,노언경 서울연구원 2020 서울도시연구 Vol.21 No.2

        Seoul citizens have faced an increasing inequality of income and wealth resulting in the achievement gap among students with diverse backgrounds. This study aims to examine student achievement gap trends longitudinally observed in the transition from primary school to high school. By shedding light on the achievement gap, particularly, it is to provide a policy implication for dealing with socioeconomic disparity issues in Seoul City. For these research purposes, authors analyzed urban patterns and trends in variations of academic achievement starting from 4th grade up to 12th grade using all waves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2010 (SELS: 2010~2018). Drawing on the analytical strategy suggested by OECD (sets of multivariate regression, ANOVA and T-test analyses), we investigated variability of the achievement gap in terms of three dimensions (impact of social backgrounds, achievement gap by social backgrounds and ratio of academically resilient students) during 9 years. Key results are 1) impact of social backgrounds has been consistently prominen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from 5th grade to 12th grade, 2) the SELS 2010 cohort demonstrated a significant gap by social backgrounds starting from 5th grade and maintaining to middle school in which the biggest gap came up; the gap gradually decreased during high school and 3) the ratio of academically resilient students has annually declined within the period 2010-2018. Based on these results, we further discussed policy implications on educational equity and future directions of achievement gap research. 서울의 소득·자산 불평등은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가정배경에 따른 교육격차로 귀결되기 쉽다. 이 연구는 초·중·고 학교급 변화에 따라 교육격차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추이를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교육격차를 면밀하게 파악하는 것은 서울의 사회경제적 불평등 문제의 대책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 1~9차 연도 자료를 활용하여 2010년 당시 서울시내 초등학교 4학년이었던 학생이 중·고등학교를 마친 2018년까지 가정배경에 따른 교육격차 추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OECD(2018)가 제시한 교육 형평성 지표 세 가지(가정배경의 영향력, 가정배경에 따른 성취 격차, 역경을 극복한 학생들의 비율)를 적용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으로는 다중회귀분석, 일원분산분석, T-Test가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수학 학업성취에 미치는 가정배경의 영향력은 초등학교 4학년을 제외한 모든 기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학력, 가구소득, 가족구조에 따른 수학 학업성취의 격차는 초등학교 5학년부터 벌어지기 시작하였고, 중학교 시기에 가장 격차가 컸으며, 고등학교 시기에 점차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셋째, 취약한 가정배경에서도 높은 성취를 보이는 역경을 극복한 학생의 비율은 학년이 올라가면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시 교육정책의 방향과 후속연구 제언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대한 자유학기제 효과 분석

        김수혜,신수영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아시아교육연구 Vol.24 No.1

        This study is motivated by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changed of the educational paradigm for the future. The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he effect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o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Free Semester System has been implemented to provide students opportunities to navigate one’s pathways, and to improv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hich is one of the key competencies for the emerging societies. Using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2013 data, this study applie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into estimating the causal effect of the Free Semester System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pecifically, we use a difference-in-differences(DiD) technique. Our analytic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gnitive aspect of self-directed learning by the Free Semester System. However, program participation shows positive effects on behavioral aspect and the effect size is larger for the long-term difference. In addition, empirical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substantial amount of the impact of the Free Semester System might be mediated by teacher-related and other school-level characteristics. Based the empirical findings, we further discuss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research on the Free Semester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자기주도학습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실을 직시하여 청소년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대한 자유학기제의 정책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자유학기제는 학습자의 다양한 성장경로를 모색하고 미래사회 핵심 역량인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사실험설계(quasi-experimental analysis) 방법을 통해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2차와 3차, 5차년도(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1학년 및 3학년) 자료를 활용하여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대한 자유학기제의 정책 효과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s, DiD)을 적용하여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인지적 영역과 행동적 영역 각각에 대하여 중학교 1학년 당시 자유학기제 참여에 따른 단기적 효과와 장기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주도학습의 인지적 영역에 대해서 자유학기제 참여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행동적 영역에 대해서는 자유학기제 미참여 학생에 비해 참여 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이 유의하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중학교 1학년에 측정된 단기적 효과보다 중학교 3학년에 측정된 장기적 효과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 외, 순차적 모형분석을 통해 학생의 자기주도학습 관련 장·단기 변화에 대한 자유학기제의 차등적 효과를 탐색한 결과 교사의 특성과 학교 관련 변인에 의해 상당 부분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자유학기제의 발전방향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과 관련 후속연구를 위한 학술적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럽의 노동시장 정책 사례 및 청년 빈곤 실태 탐색 : 영국, 독일, 스웨덴 자료의 시계열 분석을 중심으로

        김수혜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4 한국과 국제사회 Vol.8 No.6

        본 연구는 Esping-Andersen의 복지레짐을 대표하는 영국, 독일, 스웨덴 청년 빈곤 관련 정책동향을 탐색하고 실태를 분석하는 데 주요 목적을 두었다. 세 국가의 청년실업 해소를 위한 노동시장 정책을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불평등의 구조적 완화에 방점을 두고 있으며, 상대적 빈곤율 및 니트족 비율과 같은 지표를 활용하여 관련 정책의 성과를 실증적으로 탐색하는 데 제도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아울러 정책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한 결과 파트너십, 신뢰, 인간적 관계 형성과 같은 사회적 자원 및 지지가 중요한 성공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유럽연합 통계청(Eurostat)의 자료를 바탕으로 2014년-2023년 기간 세 국가의 청년 빈곤율과 니트비율을 시계열 분석한 결과 독일의 청년 빈곤율은 코로나가 시작된 2020년 22%로 급증한 추이가 포착되었다. 스웨덴 또한 청년 빈곤율과 니트비율은 2019년까지 감소세를 보이다 2020년 이후 니트비율은 7%로 증가하는 추세가 확인되었다. 유럽연합 탈퇴로 2019년까지 통계청 자료가 공개된 자유주의 모델의 영국 또한 2017년 이후 청년 빈곤율과 니트비율이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본 논문의 결론에서는 각 국가의 사례로부터 한국 빈곤 청년층의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과 교육제도 혁신의 필요성을 심도 있게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rends of youth poverty and labor market policy cases from the UK, Germany and Sweden within the welfare regime theory of Esping-Andersen. I find that policy orientation has been commonly observed to mitigate structural inequality among all three countries and policy outcomes have been empirically scrutinized. Policy case analyses demonstrate that positive results come from social resources and supports(partnership, trust and relationship) among stakeholders. Drawing the Eurostat data from 2014 to 2023, I analyzed the time-series of youth poverty rate and NEETs rate. Results show that the youth poverty rate has risen sharply up to 22% in Germany and the Swedish youth NEET rate has also risen to 7% since 2020 at the COVID-19 pandemic onset. Due to Brexit, the UK data is available until 2019 and shows both youth poverty and NEET rate have increased since 2017. In conclusion, policy implications have been further discussed to advocate systematic interventions for vulnerable youths in South Korea.

      • KCI등재

        가정배경, 사회심리학적 매개요인들과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

        김수혜,황여정,김경근 안암교육학회 2010 한국교육학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데이터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가정 배경, 사회심리학적 매개변인들과 학업성취의 구조적 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 히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매개변인들과 학업성취의 관계가 일방적이라기보 다는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라고 전제하고,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고 모형의 현실적합성 을 제고하기 위해 이전 학업성취를 모형에 투입하였다. 주요 매개변인들로는 학생의 교육포 부, 부모와 교사의 기대교육수준, 부모의 교육적 관여, 학업효능감, 수업 비참여, 학습시간 등이 설정되었다. 분석 결과, 가정배경과 이전 학업성취는 이들 매개변인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전 학업성취, 교사의 기대교육수준, 학습시간, 수업 비참 여 수준이 최종 학업성취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과 여학 생을 대상으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의 학업성취 결정기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배경이 열악한 학생들은 사회심리학적 측면에서도 체계적으로 불리한 경험을 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 학생들에게 보다 각별한 관심과 배려가 기울여져야 하며, 성별에 따라 차별화된 학업성취 제고방안이 강구되어야 함 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