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인 김문현 서예의 가치탐구

        김수천 한국서예학회 2019 서예학연구 Vol.35 No.-

        Kim Moon-hyun is a calligrapher who distinguished himself as a calligraph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not only contributed to modernizing the Korean Gung style but also accepted the Chinese calligraphy based on the calligraphy which had been passed down for generation to create the new world for calligraphy. After failing to concentrate on calligraphy due to family affairs for a while, he started calligraphy activities again in 1957, starting with the founding of the Eastern Calligraphy Society. Kim Moon-hyun did calligraphy as a sophisticated hobby rather than as a career artist. However, we cannot help but to mention him because of the value and meaning of his calligraphy spirit. In Today's calligraphy, many people talk about outer shape and technique but the spirit of calligraphy contained in the work are not discussed. That's because the literary spirit of traditional calligraphy has been diluted. In this aspect, Kim Moon-hyun's calligraphy in which high academic, cultural, and calligraphic spirit are harmonized, is worth discussing. Kim Moon-hyun who was the eldest brother of 20th century Korean calligraphy masters Kim Chung-hyun and Kim Eung-hyun is not well known compared to his brothers. In this paper, we tried to express that Kim Moon-hyun has as much weight in modern calligraphy as his brother. 김문현은 일제강점기 때 필명을 날린 서예가다. 한글궁체를 현대화하는데 기여하였을 뿐 아니라 집안에서 내려오는 가학서예를 전승한 바탕위에 중국서예를 받아들여 새로운 경지를 열었다. 한동안 가정사정으로 인해 서예에 전념하지 못하다가 1957년 동방연서회 창립을 기점으로 그곳에서 서예지도를 하면서 다시 서예활동을 시작한다. 김문현은 직업서예가로 활동했다기보다는 교양적인 취미로서의 서예를 했다. 그러면서도 그를 거론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은 그의 서예정신이 갖는 가치와 의미 때문이다. 오늘날의 서예는 외형적인 조형과 기법을 논하는 사람은 많아도 작품 속에 담긴 서예의 정신을 이야기하려 하지 않는다. 그것은 전통적으로 이어져 내려오는 서예의 문인정신이 희석되었기 때문이다. 그런 견지에서 볼 때 높은 학문과 교양 그리고 서예의 탐구정신이 잘 조화를 이루었던 김문현의 서예는 논의할 가치가 많다. 김문현은 20세기 한국서예의 거장 김충현과 김응현의 맏형으로 동생들에 비해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김문현이 아우들 못지않게 근현대서예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을 피력하고자 했다.

      • KCI등재

        이열모 화백의 삶속에 담긴 교육적 함의

        김수천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6(B)

        Lee, Yul Mo is a master of Korean painting, and he is a pioneer who is well-known for a new technique in real landscape painting. Visiting the hospital in the United States where my teacher Lee, Yul Mo was hospitalized, I interviewed with him. In this thesis, I tried to introduce the meaning of his life based on the interview contents. Lee, Yul Mo could not take food and even water due to his disease. In spite of the worst situation, he did not regard it as a misfortune and lived evolved, purified and fruitful life. I revealed that such an elevated life aspect is deeply related to ‘Ideology in Senescence”; also, the spiritual background t hat forms his life is connected to c hildhood, adolescence, middle age, and senescence. The life of Lee, Yul Mo implies that finding the life that they want to live by themselves, not by external factor, is important. Also, helping to realize such a life is a true education in terms of education. In this thesis, the life of Lee, Yul Mo is divided into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as a meaning of growth, development, collection and concealment which is the circulation of nature, and I tried to highlight mainly the meaning of the winter of life. There are many people who face their own death with emptiness. Lee, Yul Mo who is in his deathbed shows finishing his life completely. In short, financial support is necessary for the welfare of senior citizens; furthermore, they need a time to reconstruct their life sincerely. More importantly, they need to collect fruits while talking about their life; this is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이열모는 한국화의 거장으로 실경산수의 새로운 기법을 개척한 화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본 논문은 대학 은사인 이열모가 별세하기 한 달 전 그가 입원하고 있는 미국요양병원을 찾아가 인터뷰한 내용을 바탕으로 그의 삶속에 담긴 의미를 드러내고자 했다. 이열모는 병의 특성상 음식물은 물론이고 물도 마실 수 없는 최악의 상황에서도 그것을 불행이라 생각하지 않고 오히려 더 진화되고 정화되고 알맹이가 영그는 삶을 살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고양된 삶의 모습이 ‘노경사상’과 깊은 관련이 있다는 점과 함께 그의 삶을 형성하는 정신적인 배경이 유년기, 청소년기, 중년기,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열모의 삶이 주는 함의는 외부적인 요인보다는 자신이 원하는 삶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하고, 교육적인 입장에서는 그러한 삶이 발현되도록 돕는 것이 참된 교육이라는 점을 절실하게 느끼게 한다. 본 논문은 이열모의 인생을 자연의 순환인 생장수장(生長收藏)의 의미로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누고 인생의 겨울이 갖는 의미를 중점적으로 부각하려고 했다. 우리 주변에는 공허함을 느끼며 죽음을 맞이하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다. 임종을 앞둔 이열모의 삶은 자신의 삶을 온전하게 마무리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노인들의 복지를 위해서는 물질적인 지원도 필요하지만 진지하게 자신의 삶을 재구성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고, 이열모처럼 자기 삶의 이야기를 하면서 알곡을 추려내는 일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것이 본 논문의 결론이다.

      • SCOPUSSCIEKCI등재

        뇌 실질내 기생한 Sparganosis Mansoni의 현미경 수술

        김수천,형동,심재홍,홍숙희 대한신경외과학회 1981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10 No.2

        Clinical experience with a case of sparganosis invading the intracerebral region =as reported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s. A 17-year-old male who had a history of having eaten raw snakes and frogs, had suffered from uncontrolled seizure with medication. This seizure started from right thumb and then spreaded whole body. C-T scan revealed ring form enhancement in the left frontal area. Left frontoparietal craniotomy was performed and a live Sparganum mansoni was successfully removed from intracerebral region using surgical microscope. This is very rare case in which a live Sparganum Mansoni was removed from intracerebral region.

      • 국내특허DB의 특징 및 장단점 비교 분석 - 목적에 맞는 국내 특허 DB의 검색

        김수천 한국발명진흥회 1997 發明特許 Vol.22 No.4

        이제 국내에서도 특허 DB의 대부분이 온라인으로 되어 그 검색이 용이해졌다. 현재 특허 DB를 제공하고 있는 곳은 7군데 가량 되며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특허 자료의 수록 기간과 수록 항목, 또한 검색 가능한 항목이 차이가 있으면 또한 검색 비용에서도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국내 특허 정보의 검색시 번호조회와 같이 특허정보를 출원번호나 분류등의 서지사항으로 검색이 가능한 것과 권리나 기술에 관한 주제 검색의 경우와 같이 보다 복잡한 검색을 필요로 하고 전문적인 특허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특정 기술에 대한 최신 동향 조사는 온라인을 통하여 방대한 자료를 입수하는 것보다 관련 특허 CD-ROM을 통하여 조사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국내 특허 DB를 검색할 수 있는 DB를 선택하여 각각의 특징 및 장단점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실제 검색할 때 어떤 목적으로 어떤 결과를 원하느냐에 따라 적절한 DB의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통전적 영성형성을 위한 목회자의 영적 독서

        김수천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7

        본 논문은 한국교회 목회자들이 통전적 영성을 형성하기 위한 영적 독서를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는가를 연구하였다. 한국교회는 복음서에서 예수님이 보여 준 균형 잡힌 영성을 실천하지 못해 위기를 경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예수님은 복음서에서 다섯 가지의 균형 잡힌 사역을 실천하셨다. 첫째, 기도와 묵상의 삶을 사셨다. 예수님은 언제나 기도의 삶을 최우선으로 삼으셨고 홀로 묵상하는 삶을 사셨다. 둘째, 거룩한 삶을 사셨다. 예수님은 언제나 거룩한 삶을 강조하셨는데 산상수훈의 가르침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예수님은 성령의 능력 가운데 사는 삶을 사셨다. 성령의 능력으로 신유, 축사, 그리고 많은 기적들을 행하셨다. 넷째, 예수님은 복음 전도의 삶을 사셨다. 하나님 나라의 복음을 위해 마을과 마을을 전전하시면서 잃어버린 영혼들을 구원하시기 위해 헌신하셨다. 다섯째, 이웃사랑과 사회정의의 삶을 사셨다. 사회적으로 소외된 자들과 함께 하시면서 부당한 지배와 권력에 대항하셨다. 한국교회는 예수님의 다섯 가지 사역 가운데 세 가지의 사역에 집중해왔다고 할 수 있다. 첫째, 기도와 묵상의 삶, 둘째, 성령의 능력 안에서의 삶, 셋째, 복음전도의 삶이다. 아쉽게도 한국교회는 성화를 경험하는 거룩한 삶이나 이웃사랑과 사회정의의 실천에는 미흡한 면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한국교회가 추구했던 사역은 1980년대까지의 산업화 기간까지는 사회 경제적으로 잘 부합하는 사역이었었다. 하지만 2000년대에 접어들며 한국사회는 산업화 사회에서 웰빙을 추구하는 사회로 바뀌었다. 단순한 경제 성장을 지나 경제적 번영 이후의 삶의 질이 중요한 시대가 된 것이다. 이러한 웰빙 시대에 사람들은 신적 능력을 통한 기적 보다는 정신적 영적 평안을 추구하고 있다. 또한 단순한 전도를 통한 교회의 양적 성장 보다는 이웃에 대한 봉사 같은 삶의 의미를 추구하고 있다. 이렇게 변화된 상황에서 한국교회가 새로운 목회를 추구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데 우리는 그 새로운 목회의 패러다임을 예수님의 균형 잡힌 사역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예수님이 실천하신 통전적 영성을 실천하려면 담임목사 중심의 한국교회 구조 속에서 담임목사가 통전적 영성을 형성하여야 한다. 다행히 한국교회 목회자들은 독서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기에 목회자들이 영적 독서를 통해 통전적 영성 형성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목회자들의 영적 독서를 위해 본 논문은 통전적 영성 형성의 정의, 영적 독서의 의미, 그리고 도서 선정의 기준들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현존하는 개신교 최고의 영성신학자의 하나인 리차드 포스터의 방법론에 따라 묵상과 기도의 삶, 성결의 삶, 성령의 능력 안에서의 삶, 이웃사랑과 사회정의의 삶, 그리고 복음전도의 삶을 균형 있게 실천할 수 있는 영성 고전들을 소개하였다. 포스터는 자신의 저서에서 2000년간 영성가들이 경험을 토대로 쓴 영적인 저술들을 위와 같은 다섯 가지의 영성 방향으로 구분하여 각 저술들의 핵심적인 내용들을 다루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시 그 내용들을 엄선하여 제시함을 통해 독자들이 통전적 영성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경험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그 경험을 토대로 목회자들이 자신의 사역 현장에서 통전적 영성이 구현되는 목회를 고민해 보기를 기대하였다. This research proposes a method of spiritual reading for pastors interested in the formation of holistic spirituality.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Korean church’s crisis is a failure in the practice of holistic spirituality as demonstrated by Jesus in the Gospels. In the Gospels, Jesus practiced a holistic ministry in five areas. First, Jesus committed his life to prayer and meditation. He always ensured that this was a priority in his life. The second area that Christ emphasized was a holy life, which he stresses to his audience in the Sermon on the Mount. In the third, Jesus lived in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He healed the sick, relieved the demon-possessed, and practiced divine miracles, all in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The fourth area was evangelism. He journeyed town to town in order to save the lost, and in the last area Jesus lived a life of love and social justice. He shared a community of solidarity with the outcast while challenging unjust political authority and power. Many comment that the Korean church has focused on three areas of Jesus' ministry among the five: prayer and meditation,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and evangelism. This was suitable until the end of the 1980’s when Korea was in the course of economic growth, since many ordinary people needed divine miracles like physical healing. In the 21st century, however, people are interested in the quality of life. With the conception of a national healthcare system, divine miracles for healing are less necessary. Instead, people are more interested in achieving a peace of mind and the meaning of life. In this new situation, the church requires a paradigm shift in her ministry, and Jesus' holistic spirituality is a suitable model. Senior pastors must form a holistic spirituality to practice it in their ministry since they are the leaders. Given that reading comprises a substantial and crucial portion of the ministry, this form of spirituality can be developed through their readings with the proper guidance. For pastors reading this study, this research first discusses the definition of holistic spirituality, the significance of spiritual reading, and concrete guidelines to select spiritual books for study. Following the methodology of Richard Foster, one of the most influential scholars in Christian spirituality amongst Protestant scholars, this study introduces the classics of Christian spirituality in five fields: life of prayer and meditation, life of holiness, life in the divine power, life of love and social justice, and life of evangelism. In his book Devotional Classics: Selected Readings for Individuals and Groups, Foster classifies the entire classic compendium of Christian spirituality written over the course of two thousand years within those five categories and highlights selected readings. This paper presents some of these passages to introduce the experience of forming a holistic spirituality through reading. As a result of the reading the pastors would reflect the ministries of holistic spirituality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of the formation of holistic spirituality.

      • KCI등재

        영성가들이 실천한 영적 묵상의 개신교 목회적 의의 고찰

        김수천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2

        21세기 들어 한국교회는 대내외적 위기에 직면해 있는데 그 내적 위기는 영성의 위기라고도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성령의 임재를 위한 기도회나 QT 같은 다양한 영 성훈련 프로그램들을 실천함에도 한국교회는 세상을 향해 성화의 열매를 보여주는 데 한계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본 논문은 기독교 영성가들이 전통적 으로 실천한 영적 묵상을 살펴보고 그것의 개신교 목회적 응용 방안을 고찰하였다. 먼저, 전통적 영적 묵상에 대한 고찰로 묵상과 영성의 관계, 묵상의 대상들, 묵상의 상태, 그리고 묵상의 열매를 살펴 보았다. 이어서 한국교회에 대한 응용으로 경건을 위한 훈련과 한국교회의 목회 현장에 구체적으로 적용해 볼 수 있는 방안들을 하나의 예로 제시해 보았다. 이를 통해 영성목회에 관심 있는 독자들이 각자 창의적인 방법 으로 전통적인 영적 묵상의 원리들을 목회 현장에 응용하는데 안내가 되기를 바란다. This research aims to draw insight from traditional Christian meditation in order to apply them towards the contemporary Korean church. In detail, it reviews basic areas of Christian meditation, such as the relation between meditation and spirituality formation, the objects of meditation, the state of meditation, the commitment towards meditation, and the fruits of meditation. In addition, it suggests some practical ways of application, using the Korean church as an example. Although these applications are relatively brief, they are useful for pastors and theology students who struggle towards a deeper spirituality formation in the Korean church.

      • KCI등재

        힐링목회를 위한 영성학적 힐링의 의미 고찰 - 헨리 나우웬의 관점을 중심으로

        김수천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82

        21세기 들어 한국인들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힐링을 갈망하고 있다. 목회가 시대 적인 필요에 대한 신학적 응전이라고 한다면 힐링목회를 위해 힐링의 신학적 의미를 고찰해 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삼성경제연구소에서 연 구한 힐링을 필요로 하는 원인들을 살펴 보았다. 그리고 힐링에 대한 인문학적 관점 으로 한국사회의 철학적, 사회복지학적, 그리고 종교학적 담론들을 살펴 보았다. 이어 서 힐링에 대한 신학적 이해에 참고하고자 융 심리학에 기초한 목회상담학적 관점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융이 심리학적 힐링을 위해 종교경험의 중요성을 역설했음을 살펴 보았다. 끝으로 신학적 힐링목회의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많은 목회자들에게 21 세기에도 영성적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헨리 나우웬의 목회에 대한 관점을 분석하였 다. 헨리 나우웬은 목회란 예수님의 사역을 상기시키는 것이라고 이해하며 세 가지 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목회자는 신자들이 과거의 상처들을 대면하고 치유하도록 돕 는 자이다. 일반적으로 신자들은 과거의 상처에 얽매어 하나님이 원하는 삶을 살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에 신자들에게 과거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영성적이고 신학적 으로 안전한 힐링의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한다. 둘째, 목회자는 신자들이 현재 지속되는 새로운 상처들을 지탱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인간의 삶이란 상처를 주 고 받는 과정의 연속이라고 할 수 있기에 성령의 임재를 통해 지속되는 삶의 상처를 지탱하도록 도와 주어야 한다. 셋째, 목회자는 신자들이 현재의 지속되는 상처들을 지 탱하는 것을 넘어 하나님이 원하시는 삶을 살도록 영감을 불어 넣어야 한다. 대부분 의 신자들은 삶의 상처에 눌려 젊었을 때 추구하였던 바람직한 삶에 대한 비전을 상 실하고 살 수 있는데 목회란 그들에게 새로운 삶의 비전을 불어 넣는 것이다. 헨리 나우웬은 그러한 목회를 위해 목회자는 말씀묵상 훈련과 기도의 삶을 통한 영성훈련 의 삶을 지속해야 함을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헨리 나우웬의 가르침에 의하면 목회란 상처를 받지 않는 삶을 약속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되는 상처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이 원하시는 삶을 살도록 이끄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이 힐링을 갈망하는 세상에 서 교회가 추구하고 보여 주어야 할 삶의 한 양식이 될 것이다. Nowadays more and more Korean people are eager for the experience of healing, because they feel that they are overburdened by many reasons. If we define the task of ministry as the theological response to the needs of the people, then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meaning of theological healing. This research reviewed Samsung Global Research’s report that analyzes the reasons Korean people need healing. Then it explored the various aspects of healing: philosophical view, social welfare position, religious view, and pastoral counseling viewpoint based on Jungian psychology. Finally, it reviewed Henry Nouwen’s view on the ministry based on Christian spirituality. Nouwen believed that the ministry is to follow the ministry of Jesus, which is characterized by making the church members confront their past sufferings, sustain their present sufferings, and lead them to the future of a life that fulfills God’ will beyond their ongoing sufferings. First, confronting past sufferings means to offer a safe moment of healing to church members psychologically and spiritually. Many Christians live with unsolved past pains, so they are not healthy enough psychologically and spiritually for the life fulfilling God’s will. Second, to sustain the present pains means to live in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while present pains remain persistent. The pastor helps the believers experience the presence of the Holy Spirit, who goes through their consistent pains, just as the Father did with Jesus as He shared Jesus’ suffering on the Cross. Third, to lead the believers to the fulfilling life of the Father’s will is to offer the inspiration of that life to the church members because many Christians could live without the vision of achieving God’s will, especially when they are overburdened by the sufferings of life. Finally, Nouwen stressed that the pastor should live a spiritual life to imitate the ministry of Jesus, specifically his ministry of healing. He suggested two basic spiritual disciplines: mediation on the Word of God and prayer life. The Bible is full of stories that inspire people towards a life committed to God’ will. Prayer life makes the pastor filled with the inner life of God, so it overflows to their church members. In conclusion, the meaning of healing is not about a life without suffering, but about life alongside pain. Although Christians experience their ongoing sufferings it does not matter because of God’s grace. This is the theological meaning of healing which the church members are to experience and to testify to the suffering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